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장재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장재호는 워크래프트 III와 스타크래프트 II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이다. 2003년 데뷔 이후 워크래프트 III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여러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고, 특히 나이트 엘프 종족의 혁신적인 전략을 선보여 "제5종족"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도 활동하며 여러 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했고, 2019년에는 ESL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나틱의 선수 - 한지원 (1992년)
    한지원(1992년)은 스타테일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MVP를 거쳐 스타테일로 복귀 후 여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은퇴 후 프랩 e스포츠에 합류하여 선수 생활을 재개했다.
  • 프나틱의 선수 - 김학수 (프로게이머)
    김학수는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활동했으며, GSL 준우승 및 WCS 아메리카 준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 이후 아프리카TV BJ로 데뷔하여 무클랜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장재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재호, ESL 스타크래프트 2 마스터즈 2023 겨울
장재호, ESL 스타크래프트 2 마스터즈 2023 겨울
아이디moon
본명장재호
로마자 표기Jang Jae-ho
별명Fantasista (판타지스타)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86년 12월 14일
종족워크래프트 III: 나이트 엘프
스타크래프트 II: 저그
별명워크래프트3계의 임요환, 안드로장, 장회장님, 외계인, 제5종족
경력
활동 시작2003년
활동 종료2012년
2005–2006: Mousesports
2006–2008: MeetYourMakers
2009–2011: WeMade FOX
2012: Fnatic
소속팀비전 스트라이커스
수상 경력
기타 정보
키보드큐센 DT-35
마우스레이저 크레이트

2. 프로게이머 경력

2. 1. 워크래프트 III

워크래프트 III: The Frozen Throne이 출시된 2003년 7월 이후, 한국의 프로 e스포츠(e-sports) 환경에서 장재호는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2003년 MBC 게임 MBC GAME 소노콩(Sonokong) 프라임 리그 II 결승에서 천정희(Sweet)를 꺾고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 해 말에 열린 리그 다음 시즌 결승에서는 박세룡(Swain)에게 패했는데, 이 경기는 *워크래프트 III*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역전 경기 중 하나로 꼽힌다.

2004년 월드 사이버 게임즈 글로벌 결선에 진출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20] 2005년 월드 e-스포츠 게임 첫 번째 시즌에서 무패 행진을 이어갔고, 프레드릭 요한슨과 리 "스카이" 샤오펑과 같은 선수들을 꺾고 결승에서 황태민(Zacard)을 3:0으로 승리하며 우승했다.[20] 같은 해, 월드 e-스포츠 게임 두 번째 시즌에서 결승에서 김동문(Gostop)을 꺾고 우승했다.[20]

2006년 IEST에서 결승전에서 리샤오펑을 꺾고 우승했다.

2007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Game-X에서 우승하며 워크래프트 III 대회에서 역대 최고 상금을 기록했다. 월드 시리즈 오브 비디오 게임즈 중국 우한에서 열린 대회에서 우승했다.

2008년 월드 사이버 게임 (WCG) 그랜드 파이널에서의 장재호


2008년 블리자드 월드 와이드 인비테이셔널에서 당시 세계 최고의 오크 선수 린(Lyn)을 꺾고 우승했다. ESWC 마스터즈 오브 파리에서 리샤오펑을 결승에서 꺾고 우승했다. 우한에서 열린 IEF 2008 토너먼트에서 리샤오펑을 꺾고 우승했다.

그 외에도, W3 시즌 1, 2, 3, 섬머 그랜드 프릭스, Game-X, NSL, WSVG China, 블리자드 래더 시즌 5, Dreamhack Summer 2007, PGL 시즌 2,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WWI) 2008, ESWC Masters 2008, IEF 2008, NGL-One 2010, IEF 2011 등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최정상급 선수임을 입증했다.

  • 2003년 '''MBC GAME 프라임리그 II 우승''' (VS 천정희)
  • 2004년 MBC GAME 프라임리그 III 준우승 (VS 박세룡)
  • 2005년 온게임넷 워3 리그 준우승 (VS 장용석)
  • 2005년 '''WEG 2005 워크래프트3부분 1,2차 리그 우승''' (1차 결승 VS황태민, 2차 결승 VS김동문)
  • 2005년 '''MBC GAME 프라임리그 V 우승''' ( VS 김홍재)
  • 2005년 '''MBC GAME WARCRAFT3 LEAGUE(MWL)-WEF 2005 한국리그 챔피언 결정전 우승'''(VS 박준)
  • 2006년 '''IEST 2006 워크래프트3 우승'''
  • 2006년 '''MBC GAME K-SWISS 배 워크래프트3 월드 워(W3) 시즌 1 잠정우승'''(VS 마누엘 센카이젠 결승 불참)
  • 2006년 '''MBC GAME K-SWISS 배 워크래프트3 월드 워(W3) 시즌 2 우승''' (VS 조대희)
  • 2006년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워크래프트3부문 최우수선수
  • 2007년 '''MBC GAME 해태 마시는 산소수배 워크래프트3 월드 워(W3) 시즌1 우승''' (VS 마누엘 센카이젠)
  • 2007년 '''MBC GAME 해태 마시는 산소수배 워크래프트3 월드 워(W3) 시즌2 우승''' (VS 리샤오펑)
  • 2007년 '''MBC GAME 해태 마시는 산소수배 워크래프트3 월드 워(W3) 시즌3 우승''' (VS 박준, 장재호 대오크전 34연승 기록 깨짐)
  • 2007년 '''MBC GAME 해태 마시는 산소수배 워크래프트3 월드 워(W3) 섬머 그랜드 프릭스 우승''' (VS 박준)
  • 2007년 '''Game-X(러시아) 우승'''
  • 2007년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워크래프트3부문 최우수선수
  • 2007년 NGL리그 팀MYM 준우승
  • 2007년 '''NSL(중국) 우승'''
  • 2007년 World Series of Video Games China (중국) 우승
  • 2007년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4강
  • 2007년 '''블리자드 래더 시즌 5 우승'''
  • 2007년 '''Dreamhack Summer 2007 (Sweden) 우승'''
  • 2007년 나이스게임TV 아프리카 워크래프트 리그(AWL) 시즌1 준우승
  • 2007년 WCG 2007 동메달
  • 2008년 '''PGL 시즌2 우승'''
  • 2008년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우승'''
  • 2008년 '''ESWC Masters 우승'''
  • 2008년 WCG 2008 은메달(결승 VS 마누엘 센카이젠)
  • 2008년 '''2008 IEF 워크래프트3 부문 우승''' (vs 리샤오평)
  • 2009년 ESWC 아시아 마스터즈 8강
  • 2009년 IEM3 청주 4위 ($1,000)
  • 2009년 Norton Anti-Virus GOMTV World Invitationa 3위 ($800)
  • 2009년 E-Stars 서울 2009 King of the Game 4위 ($800)
  • 2009년 World Cyber Games 한국지역 Final 우승 ($1,600)
  • 2009년 ESWC 아시아 마스터즈 4 청주 준우승 ($2,500)
  • 2010년 '''NGL-One 우승''' ($8,000)
  • 2011년 '''2011 IEF 워크래프트3 부문 우승''' (vs 박준)
  • 2011년 2011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QSENN 10대 스타상
  • 2012년 WCG 2012 4위 (vs 리샤오펑)
  • 2013년 WCG 2013 2위 (vs 후앙시앙)
  • 2014년 2013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우정상
  • 2020년 WCG 2020 단체전 금메달
  • 2020년 WCG 2020 개인전 은메달


장재호는 건물을 이용한 크립 사냥, 매스 탤론 전략, 핏로드 활용 등 기존의 틀을 깨는 창의적인 전략과 전술을 선보였다. 특히, 나이트 엘프 종족의 약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며 "제5종족"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네덜란드 국적의 프로게이머 마누엘 쉔카이젠("Grubby", 오크)이 그의 라이벌로 유명하다.

2. 1. 1. 데뷔 및 국내 활동

워크래프트 III: The Frozen Throne이 출시된 2003년 7월 이후, 한국의 프로 e스포츠(e-sports) 환경에서 장재호는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인천전자공업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프로게이머로 데뷔했으며[18], 2003년 MBC 게임 MBC 게임 소노콩(Sonokong) 프라임 리그 II 결승에서 천정희(Sweet)를 꺾고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 해 말에 열린 리그 다음 시즌 결승에서는 박세룡(Swain)에게 패했는데, 이 경기는 *워크래프트 III*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역전 경기 중 하나로 꼽힌다. 워크래프트3를 처음 시작할 때에는 Pooh 클랜 소속이었으나, 오프라인 대회에서 부진하고 주전 경쟁에서 밀리자 Clan WCB [https://web.archive.org/web/20110207121620/http://wcbclan.com/]로 이적하였다. 이후 덴마크의 MYM팀에 입단하여 세계적인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이머로 성장하였다. 2009년 3월 12일에는 이윤열이 있는 위메이드 폭스로 이적했다.[19]

2. 1. 2. 국제 무대 석권

2004년 월드 사이버 게임즈 글로벌 결선에 진출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20] 2005년 월드 e-스포츠 게임 첫 번째 시즌에서 무패 행진을 이어갔고, 프레드릭 요한슨과 리 "스카이" 샤오펑과 같은 선수들을 꺾고 결승에서 황태민(Zacard)을 3:0으로 승리하며 우승했다.[20] 같은 해, 월드 e-스포츠 게임 두 번째 시즌에서 결승에서 김동문(Gostop)을 꺾고 우승했다.[20]

2008년 5월 5일 중국의 워크래프트3 프로게이머인 'Sky' 리샤오펑 등과 함께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에 참가[20]했다.

2006년 IEST에서 결승전에서 리샤오펑을 꺾고 우승했다.

2007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Game-X에서 우승하며 워크래프트 III 대회에서 역대 최고 상금을 기록했다. 월드 시리즈 오브 비디오 게임즈 중국 우한에서 열린 대회에서 우승했다.

2008년 블리자드 월드 와이드 인비테이셔널에서 당시 세계 최고의 오크 선수 린(Lyn)을 꺾고 우승했다. ESWC 마스터즈 오브 파리에서 리샤오펑을 결승에서 꺾고 우승했다. 우한에서 열린 IEF 2008 토너먼트에서 리샤오펑을 꺾고 우승했다.

그 외에도, W3 시즌 1, 2, 3, 섬머 그랜드 프릭스, Game-X, NSL, WSVG China, 블리자드 래더 시즌 5, Dreamhack Summer 2007, PGL 시즌 2,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WWI) 2008, ESWC Masters 2008, IEF 2008, NGL-One 2010, IEF 2011 등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최정상급 선수임을 입증했다.

2. 1. 3. 주요 라이벌

네덜란드 국적의 프로게이머 마누엘 쉔카이젠("Grubby", 오크)이 그의 라이벌로 유명한데, 이 라이벌 관계는 2004년 말에 형성되었다. 각각 여러 게임 대회에서 우승을 하면서도 맞대결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당시 장재호는 한국에서 열리는 대회에 많이 참가하였고, 마누엘 쉔카이젠은 국제대회에 주로 참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맞대결은 몇 차례 있어왔는데, 다음과 같은 주요 전적을 남겼다.(참고로 마누엘 쉔카이젠에게 패배를 당했을 당시 장재호 선수는 슬럼프에 빠져 한동안 고생했다.)

  • World E-Sport Games Masters (WEG) 준결승 : 장재호의 1-3 패배
  • 수퍼파이트2 1회전 : 장재호의 2-0 승리
  • 워크래프트 월드 워(W3) 시즌 1 결승 : 장재호의 3-0 승리


이후 MBCGAME 워크래프트 월드 워, 아프리카 워크래프트3 리그(AWL), 나이스게임TV 워크래프트3 리그(NWL)등 수많은 국내외 게임리그의 본선에서 자주 맞붙어온 박준("Lyn", 오크), 마찬가지로 프로페셔널 게이밍 리그, 월드사이버게임즈 등 해외 대회에서 자주 맞붙어온 리샤오펑("Sky", 휴먼)등이 장재호의 라이벌로 꼽힌다.(리샤오펑과의 상대전적에서는 장재호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2. 1. 4. 전략 및 전술

장재호는 건물을 이용한 크립 사냥, 매스 탤론 전략, 핏로드 활용 등 기존의 틀을 깨는 창의적인 전략과 전술을 선보였다. 특히, 나이트 엘프 종족의 약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며 "제5종족"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 건물을 이용한 크립 사냥: 장재호는 크립을 사냥할 때 에인션트 오브 워나 트리 오브 라이프를 잘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건물들은 유닛 생산 기능이 있으면서도 자체적인 공격력을 가지고 있는데다 이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병력만으로 빠른 사냥을 가능하게 해준다.
  • 매스 탤론 전략: 오크 종족을 상대로 장재호가 많이 사용하는 전략으로, 에인션트 오브 윈드를 두 개 건설하여 다수의 드루이드 오브 탤론을 생산하고 페어리 파이어와 싸이클론 기술로 상대방 병력을 무력화시킨다. 보통 세 번째 영웅으로 키퍼나 고블린 팅커를 함께 사용하며, 마누엘 쉔카이젠에게도 이 전략을 많이 사용했다.
  • 나이트엘프 타워러시 전략: 나이트엘프는 타워(에인션트 프로텍터)의 성능이 좋지 않아 타워러시를 잘 사용하지 않는데, 장재호는 대 언데드전에서 타워러시를 사용하기도 한다.
  • 핏로드의 활용: 장재호는 중립영웅인 핏로드를 잘 사용하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특히 대휴먼전에 많이 사용한다. 핏로드는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성능이 별로 좋지 않은 영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휴먼의 매지컬 유닛을 빠르게 제거하는 데에 핏로드를 이용함으로써 게이머들에게 핏로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마스터 클러 전략: 장재호는 드루이드 오브 클러를 잘 사용하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현재 클러와 드라이어드를 조합한 일명 동물농장 전략은 나이트엘프의 가장 보편적인 전략이 되었다.
  • 무한 확장 전략: 확장기지가 많은 맵에서 가능한 모든 금광에 확장기지를 계속 건설하는 전략으로, 상대가 확장기지를 부수는 속도 이상으로 새 기지를 계속 건설한다. 장재호가 이 전략을 자주 사용하기 시작하자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트리 오브 라이프의 빌드 속도를 늦추는 패치를 내놓았을 정도였으며, 패치 이후에도 이 전략은 장재호가 즐겨 사용하는 전략 중 하나이다.
  • 블러드 캐슬: 중립영웅 다크 레인저의 궁극 기술인 "참(Charm)"을 이용하여 휴먼의 일꾼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고, 이를 이용해 휴먼 종족의 본진을 건설하고 2홀업 상태 킵에서 아크메이지생산하고, 3홀업 캐슬 상태를 만든 뒤 휴먼의 영웅인 블러드 메이지를 소환하는 전략. "캐슬"에서 "블러드메이지"를 생산한뒤, 상대의 붉은색 캐슬에 블리자드와 플레임스트라이크를 날려서 블러드캐슬이라 불린다. WEG 2005에서 유안 메를로("ToD", 휴먼)를 상대로 사용해 게이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21]

2. 2. 스타크래프트 II

2010년 TG삼보-인텔 STARCRAFT II OPEN Season 2 예선전에 참가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크래프트 3 프로게이머 중 박준, 윤덕만, 노진욱, 김성식도 예선 신청을 하였다.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였던 이윤열, 박성준도 예선에 참가했다.

2010년 2010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 32강, 2011년 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 Code A 8강, 2011년 North American Star League Season 1 8강, 2011년 2011 인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 Code A 32강, 2011년 2011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슈퍼 토너먼트 64강, 2011년 2011 MLG Pro Circuit: Columbus 8강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1년 IEM Season V - World Championship, 2011년 DreamHack Summer 2011, 2011년 China 1st 3D Electronic Games, 2012년 NVIDIA Gaming Festival 2012 준우승을 차지했다.[13][14] 2012년 ASUS ROG Winter 2012 32강, 2012년 2012 DreamHack Open: Valencia 16강, 2012년 ASUS ROG Summer 2012 4위를 기록했다.

2012년 1월 17일 Fnatic으로 이적한 이후에야 전업 선수로 활동하게 되었다.[11] 곰TV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에 진출하였다.[12] 워크래프트 3와 스타크래프트 2에서의 업적을 인정받아 2019년 7월 7일 ESL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5]

3. 수상 경력


  • 2008 e스포츠 어워드 워크래프트 3 최고 선수상
  • 2008 e스포츠 어워드 대한민국 올해의 선수상
  • 2007 KeSPA 워크래프트 III 최우수 선수상
  • 2007 GGL 워크래프트 3 올해의 선수상
  • 2006 KeSPA 워크래프트 III 최우수 선수상
  • 2005 KeSPA 워크래프트 III 최우수 선수상
  • 2007년 e스포츠 어워드 최고의 워크래프트 3 선수
  • 2006년 GGL 워크래프트 3 올해의 선수
  • 2006년 Gosugamers 올해의 고수게이머
  • 2006년 e스포츠 어워드 최고의 워크래프트 3 선수
  • 2005년 e스포츠 어워드 e스포츠 올해의 선수
  • 2005년 e스포츠 어워드 최고의 워크래프트 3 선수

스타크래프트 II : '''프리미어 개인리그 준우승 2회'''[22]

3. 1. 워크래프트 III

장재호는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수많은 대회에서 우승 및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3년 MBC GAME 프라임리그 II 우승을 시작으로,[22] 2005년 WEG 2005 워크래프트3 부문 1, 2차 리그 우승,[22] 2006년 IEST 2006 워크래프트3 우승,[22] 2007년 Game-X(러시아) 우승,[22] 2008년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우승,[22] 2010년 NGL-One 우승,[22] 2011년 2011 IEF 워크래프트3 부문 우승[22] 등 여러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MBC GAME K-SWISS 배 워크래프트3 월드 워(W3) 시즌 1, 2[22], MBC GAME 해태 마시는 산소수배 워크래프트3 월드 워(W3) 시즌1, 2, 3 및 섬머 그랜드 프릭스에서 모두 우승하며[22] 2007년에는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워크래프트3 부문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22] 2008년에는 ESWC Masters에서 우승하였고, 2013년 WCG 2013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였다.[22]

3. 2. 스타크래프트 II

장재호는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준우승 2회를 기록했다.[22] 2011년 IEM Season V - World Championship, DreamHack Summer 2011, China 1st 3D Electronic Games, 그리고 2012년 NVIDIA Gaming Festival 2012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2010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 32강, 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 Code A 8강, North American Star League Season 1 8강, 2011 인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 Code A 32강, 2011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슈퍼 토너먼트 64강, 2011 MLG Pro Circuit: Columbus 8강, 2012 ASUS ROG Winter 2012 32강, 2012 DreamHack Open: Valencia 16강, 2012 ASUS ROG Summer 2012 4위 등의 경력이 있다.

4. 기타 활동 및 트리비아

장재호는 해외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 인기가 높다. 2008년 5월 5일에는 중국의 워크래프트3 프로게이머 리샤오펑 등과 함께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에 참가[20]했으며, 쓰촨성 지진 복구를 위해 3만 위안을 기부하기도 했다.[18]

2006년 중반 슬럼프를 겪기도 했으나, 2006년 10월~11월에 열린 디지털라이프와 슈퍼파이트2에서 승리하며 슬럼프에서 벗어났다. 마누엘 쉔카이젠은 슈퍼파이트2에서 장재호에게 패한 후, "Old Moon, 즉 2005년의 장재호가 다시 돌아왔다"고 평가했다.

"제5종족"이라는 별명은 gamestv.com에서 유래했는데, 당시 "놀라운 전술을 가진 위대한 게이머이자 환상적인 엘프이며, 그의 플레이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극찬을 받았다. 한국 게이머들은 장재호를 "안드로장"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압도적인 실력으로 상대를 "관광"시키는 모습을 안드로메다 은하까지 보내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장재호는 매일 밥만 먹고 래더 게임 연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료 게이머의 증언에 따르면, 그는 자기 전 래더 검색을 켜놓고 잠을 자다 검색되면 깨어나 게임을 하고 다시 검색을 켜고 자는 방식으로 연습했다고 한다.

5. 평가 및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WarCraft III" http://weblogs.holla[...] 2008-10-26
[2] 웹사이트 Legendary WCIII player Moon retires http://www.mineski.n[...] 2014-03-08
[3] 웹사이트 "Moon's Comeback: Talk Show and Showmatch at Midnight (KST) Dec 11" https://www.reddit.c[...] 2015-12-09
[4] Brightcove 1on1-Markus "Army" Stefanko – part 1 http://www.brightcov[...]
[5] SK Gaming Athens: Moon says Orc is Imba http://www.sk-gaming[...]
[6] SK Gaming 1on1 interview with Jang Jae "Moon" Ho http://www.sk-gaming[...]
[7] 웹사이트 ESNation turns MYM into a franchise http://www.mymym.com[...] 2009-02-21
[8] 웹사이트 Goodbye and Thank you MYM http://www.mymym.com[...] 2009-02-20
[9] 웹사이트 Ciara completes MYMs roster http://www.mymym.com[...] 2009-02-21
[10] 웹사이트 Moon in WeMade Fox http://www.iccup.com[...]
[11] 뉴스 fnatic officially adds Moon http://www.sk-gaming[...] SK Gaming 2012-12-17
[12] 웹사이트 Qualifier List for Day 2 of GSL Open 2 Preliminaries http://www.gomtv.net[...]
[13] 웹사이트 Intel Extreme Masters 5 Results http://www.esl-world[...]
[14] 웹사이트 Moon's NASL Profile http://www.nasl.tv/P[...] 2011-06-05
[15] 웹사이트 Home - ESL https://www.esportsh[...] 2022-05-20
[16] 뉴스 "'장회장' 장재호, 워3 팬들과 의리 지킨다" http://sports.news.n[...] 데일리e스포츠
[17] 뉴스 "<안드로 장 전역했다 전해라!>" http://www.hungryapp[...]
[18] 뉴스 “‘안드로 장’이 뜨면 세계 수백만 겜꾼이 열광한다”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19] 뉴스 "장재호, 위메이드 폭스 입단"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 뉴스 "위메이드, '아발론 온라인' 홍보대사 워3 영웅 장재호 발탁" http://www.xportsnew[...] 엑스포츠뉴스
[21] 블로그 장재호(나이트엘프) vs 유안 메를로(휴먼) in Weg2005 블러드 캐슬 영상 http://blog.naver.co[...]
[22] 기타 IEM 1회 준우승. 드림핵 1회 준우승.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