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외동포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외동포재단은 재외동포 교류 사업, 조사 연구 사업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재외동포의 경제, 교육, 문화, 홍보, 정보화 사업을 지원한다. '국민과 함께 한민족공동체를 구현하는 글로벌 플랫폼 기관'이라는 비전 아래, 교육, 교류 지원, 조사 연구, 차세대 지원, 한상 네트워크, 홍보 문화, 통합 네트워크, 인권 지원 사업 등 8가지 주요 사업을 추진했다. 1996년 재외동포재단법 공포를 통해 설립되었으며, 2023년 대한민국 재외동포청으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외교부 소관)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외교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한국과 세계 각국의 교류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1년 설립되어 해외 한국학 연구 지원, 문화 교류,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한다.
  • 공공기관 (외교부 소관) -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개발도상국 지원 및 국제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1년 설립된 대한민국 정부 기관이다.
  • 대한민국 외교부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은 국무총리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행정부의 장관으로서, 외교 정책을 총괄하고 외교, 경제 외교, 국제 관계 업무 조정, 조약 체결, 재외국민 보호 및 지원, 국제 정세 분석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역대 장관들은 국익과 국제적 위상 제고에 노력해왔다.
  • 대한민국 외교부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외교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한국과 세계 각국의 교류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1년 설립되어 해외 한국학 연구 지원, 문화 교류,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한다.
  • 2023년 폐지 - D1CE
    D1CE는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신 멤버들로 구성된 5인조 보이 그룹으로 2019년 데뷔하여 "Wake Up"과 "Draw You" 등의 곡으로 활동했으나, 멤버들의 군 입대와 계약 만료로 2023년 해체하였다.
  • 2023년 폐지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국가유공자, 5·18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보훈보상대상자, 고엽제후유의증환자, 제대군인 등에 대한 예우 및 지원을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1948년 설치 이후 군사원호청, 원호처를 거쳐 1985년 국가보훈처로 개편되었으며 2023년 국가보훈부로 승격되었다.
재외동포재단
기본 정보
재외동포재단 로고
재외동포재단 로고
설립일1997년 10월 20일
약칭재외동포재단
영문 명칭Overseas Koreans Foundation
한자 명칭在外同胞財團
국가대한민국
소재지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 여미지 인근
설립 목적재외동포 권익 신장 및 민족 정체성 유지
상위 기관대한민국 외교부
주무 부처대한민국 외교부
웹사이트재외동포재단 공식 웹사이트
주요 사업
사업 종류재외동포 네트워크 구축
차세대 동포 육성
동포 사회 지원
재외동포 교류 증진
조직
이사장김성곤
임원이사, 감사
기구사무총장, 본부, 실, 팀

2. 주요 기능 및 역할

재외동포재단은 재외동포 교류사업과 재외동포사회에 관한 조사ㆍ연구사업을 수행한다. 또한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ㆍ교육ㆍ문화ㆍ홍보ㆍ정보화사업 및 기타 정부가 재단에 위탁하는 사업을 시행한다.

이러한 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국무총리의 승인을 얻어 외교통상부 장관이 정하는 사업 및 기타 부대되는 사업을 시행한다.

3. 주요 사업

재외동포재단은 ‘국민과 함께 한민족공동체를 구현하는 글로벌 플랫폼 기관’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8가지 주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재외동포 교육 사업: 재외동포 차세대의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한글학교 운영비 지원, 한글학교 교사 육성, 스터디코리안(온라인 사이트) 운영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 재외동포 교류 지원 사업: 재외동포단체가 시행하는 상호 교류 및 권익 신장 활동과 한인회관 건립을 지원하고, 동포사회 지도자를 초청하는 사업 등을 통해 모국과의 유대 강화와 상호 호혜적 발전 관계를 구축한다.
  • 재외동포 조사 연구 사업: 재외동포사회 실태 파악과 재외동포 연구활동 지원을 통해 재외동포 관련 사업 방향을 모색한다. 또한 찾아가는 재외동포 이해교육 등을 통해 우리 국민의 재외동포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 재외동포 차세대 사업: 재단은 재외동포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 우수 인재 장학금 지원, 한인 후손들의 안정적인 경제 기반 마련을 위한 직업 교육 시행을 통해 모국과 재외동포사회 발전에 기여할 글로벌 인재를 육성한다.
  • 한상 네트워크 사업: 재단은 세계한상대회 개최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한상기업 청년채용 인턴십을 통해 국내 청년의 해외 진출 기회를 제공한다.
  • 홍보 문화 사업: 재단은 재외동포소식지 발간, 재외동포 언론 지원, 재외동포 문학 공모, Korean Festival 개최 등을 통해 내외동포 간 유대감을 증진하고 재외동포사회 내 민족문화 보전·유지에 힘쓴다.
  • 재외동포 통합 네트워크 사업: 재단은 750만 재외동포와 대한민국이 하나되는 '온라인 통합 한민족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해 재외동포 포털사이트인 '코리안넷(www.Korean.net)' 운영 및 재외동포통합네트워크 지원시스템 운영을 한다.
  • 재외동포 인권 지원 사업: 재단은 차세대 해외입양동포와 다문화 취약가정자녀를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시행하고, 이들이 거주국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며 모국과의 유대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1. 재외동포 교육 사업

재외동포재단은 재외동포 차세대의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한글학교 운영비 지원, 한글학교 교사 육성, 스터디코리안(온라인 사이트) 운영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3. 2. 재외동포 교류 지원 사업

재외동포재단은 재외동포단체가 시행하는 상호 교류 및 권익 신장 활동과 한인회관 건립을 지원하고, 동포사회 지도자를 초청하는 사업 등을 통해 모국과의 유대 강화와 상호 호혜적 발전 관계를 구축한다.

3. 3. 재외동포 조사 연구 사업

재외동포재단은 재외동포사회 실태 파악과 재외동포 연구활동 지원을 통해 재외동포 관련 사업 방향을 모색한다. 또한 찾아가는 재외동포 이해교육 등을 통해 우리 국민의 재외동포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3. 4. 재외동포 차세대 사업

재단은 재외동포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 우수 인재 장학금 지원, 한인 후손들의 안정적인 경제 기반 마련을 위한 직업 교육 시행을 통해 모국과 재외동포사회 발전에 기여할 글로벌 인재를 육성한다.

3. 5. 한상 네트워크 사업

재단은 세계한상대회 개최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한상기업 청년채용 인턴십을 통해 국내 청년의 해외 진출 기회를 제공한다.

3. 6. 홍보 문화 사업

재단은 재외동포소식지 발간, 재외동포 언론 지원, 재외동포 문학 공모, Korean Festival 개최 등을 통해 내외동포 간 유대감을 증진하고 재외동포사회 내 민족문화 보전·유지에 힘쓴다.

3. 7. 재외동포 통합 네트워크 사업

재단은 750만 재외동포와 대한민국이 하나되는 '온라인 통합 한민족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해 재외동포 포털사이트인 '코리안넷(www.Korean.net)' 운영 및 재외동포통합네트워크 지원시스템 운영을 한다.

3. 8. 재외동포 인권 지원 사업

재단은 차세대 해외입양동포와 다문화 취약가정자녀를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시행하고, 이들이 거주국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며 모국과의 유대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4. 연혁

1995년 세계화추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재외동포정책위원회" 설치에 합의하였다. 1996년 재외동포재단법이 공포되었다. 1997년 10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초대 김봉규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00년 10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제2대 권병현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03년 10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제3대 이광규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06년 1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제4대 이구홍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08년 8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제5대 권영건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11년 10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제6대 김경근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제7대 조규형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16년 7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제8대 주철기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17년 5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제9대 한우성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20년 11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제10대 김성곤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23년 대한민국 재외동포청으로 승격되었다.[1][2][3]

5. 조직

5. 1. 이사장

재외동포재단의 이사장은 존재하지 않는다. 주어진 정보에는 감사, 고문, 자문 위원, 전문 위원만 존재한다. 기획 이사와 사업 이사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기획 이사기획 이사는 재외동포재단의 주요 부서인 기획실, 경영지원부, 동포단체지원부, 연구소통부, 인권사업부, 서울사무소를 관할한다.
사업 이사사업 이사는 교육지원부, 차세대사업부, 한상사업부, e-한민족사업부를 관할한다.

5. 1. 1. 기획 이사

기획 이사는 재외동포재단의 주요 부서인 기획실, 경영지원부, 동포단체지원부, 연구소통부, 인권사업부, 서울사무소를 관할한다.

5. 1. 2. 사업 이사


  • 교육지원부
  • 차세대사업부
  • 한상사업부
  • e-한민족사업부

6. 설립 근거

재외동포재단법[4](법률 제5313호, ‘97.3.27. 공포)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참조

[1] 웹인용 윤석열 대통령, ‘재외동포청 신설’ 서명 http://www.dongponew[...] 2024-03-31
[2] 웹인용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청으로 승격...5년만에 제주 떠나나 http://www.jejusori.[...] 2024-03-31
[3] 웹인용 여야, 보훈부 승격·재외동포청 신설 합의…이달 중 처리할 듯 https://www.hani.co.[...] 2024-03-31
[4] 법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