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국제교류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국제교류재단은 1991년 설립된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 기관으로, 국제 교류, 한국학 연구 지원, 문화 예술 교류, 출판 및 미디어 지원 등을 통해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해외 한국학 연구 지원, 국제 교류 협력, 한국-중앙아시아 협력 포럼 사무국 운영, 문화 예술 교류, KF 글로벌센터 운영, 아세안 문화원 운영, 출판 및 미디어 지원 등이 있다. 재단은 KF 글로벌센터, KF 갤러리, KF 세미나실을 운영하며, 계간지 코리아나를 발행하고, 한국국제교류재단상을 수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외교부 소관) -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개발도상국 지원 및 국제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1년 설립된 대한민국 정부 기관이다.
  • 공공기관 (외교부 소관) -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재단은 재외동포 사회와의 유대 강화 및 권익 신장을 위해 1997년 설립된 외교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교류사업, 연구, 교육,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동포를 지원하며 네트워크 구축 및 유대감 증진 사업을 추진하고 2023년 재외동포청으로 승격되었다.
  • 대한민국 외교부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은 국무총리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행정부의 장관으로서, 외교 정책을 총괄하고 외교, 경제 외교, 국제 관계 업무 조정, 조약 체결, 재외국민 보호 및 지원, 국제 정세 분석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역대 장관들은 국익과 국제적 위상 제고에 노력해왔다.
  • 대한민국 외교부 - 대한민국 외무부
    대한민국 외무부는 1948년 정부조직법에 따라 설치되어 외교 관련 업무를 수행했으며, 1998년 외교통상부로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 국제 교류 - 프랑스 문화원
    프랑스 문화원은 프랑스 외무부 산하 기관으로, 전 세계에서 프랑스 문화와 언어를 알리고 국제 교류를 증진하며 프랑스어 교육, 문화 소개, 유학 지원 등을 제공한다.
  • 국제 교류 - 이탈리아 문화원
    이탈리아 문화원은 이탈리아 문화와 과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한국과의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이탈리아어 강좌, 도서관 운영, 문화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이탈리아 문화를 소개하고 포스코 마라이니 상과 스가 아츠코 번역상을 통해 문화 교류에 기여한다.
한국국제교류재단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한국국제교류재단
로마자 표기Hanguk gukje gyoryu jaedan
한자 표기韓國國際交流財團
영문 명칭Korea Foundation
유형비영리 공공 외교 기관
설립일1991년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신중로 55
서비스 지역전 세계
공식 웹사이트한국국제교류재단 공식 웹사이트
대표김기환 (이사장)

2. 역사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과 민주화, 냉전 이후 국제사회의 변화 속에서 대한민국 외교 정책 전략 수정이 필요해졌다.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는 대한민국의 역량을 보여주었고, 국제 교류 기구 설립에 대한 구상으로 이어졌다. 1989년 9월 대한민국 국회에서 관련 논의가 시작되어, 1991년 12월 14일 한국국제교류재단법이 통과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대한민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대한민국의 경제)과 민주화, 그리고 냉전 이후 국제사회의 격변 속에서 대한민국 외교 정책(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전략의 전면적인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1986년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된 제10회 아시안 게임(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1988년 하계 올림픽)을 통해 대한민국의 향상된 역량을 보여줌으로써 세계가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후, 다양한 분야의 교류 사업에 대한 일원화된 접점과 지원을 제공할 국제 교류 기구 설립에 대한 구상이 탄생했다. 1989년 9월, 대한민국 국회(대한민국 국회)는 한국국제교류재단 설립에 대한 공식적인 논의를 시작했고, 이는 1991년 12월 14일 한국국제교류재단법의 통과로 이어졌다.

2. 2. 연혁


  • 1991년 12월 30일: 한국국제교류재단 설립 (초대 유혁인 이사장 취임)[1]
  • 1992년: 해외인사초청사업 시작[1]
  • 1993년: ''Korea Focus'' 창간[1]
  • 1994년: 해외 한국학 관련 도서관 지원사업 시작[1]
  • 1995년: 해외 한국어 강사 방한연수 시작[1]
  • 1996년: 제4대 김정원 이사장 취임[1]
  • 1998년: 제5대 이정빈 이사장 취임[1]
  • 1999년: 출판보조사업 시작[1]
  • 2000년: 제6대 이인호 이사장 취임[1]
  • 2001년: 해외 음악학자 초청 국악워크숍 시작[1]
  • 2002년: 교육자료개발 지원사업 시작[1]
  • 2004년: 제7대 권인혁 이사장 취임[1]
  • 2005년: 해외사무소 개소(워싱턴DC, 베이징, 베를린, 모스크바, 호찌민시)[1]
  • 2007년: 제8대 임성준 이사장 취임[1]
  • 2010년: 제9대 김병국 이사장 취임[1]
  • 2012년: 제10대 김우상 이사장 취임[1]
  • 2013년: 제11대 유현석 이사장 취임[1]
  • 2016년: 제12대 이시형 이사장 취임[1]
  • 2019년: 제13대 이근 이사장 취임[1]
  • 2022년: 제14대 김기환 이사장 취임[1]

3. 주요 사업

한국국제교류재단은 국제교류를 목적으로 다음의 사업을 수행한다.


  • 국제교류 행사 주관, 지원 및 참가
  • 국제교류 인사 파견 및 초청
  • 국외 한국 연구 지원 및 연구 결과 보급
  • 한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
  • 외국 주요 국제교류기관과의 교류, 협력을 통한 국제적 우호 증진
  • 재외동포 관련 단체 활동 지원
  • 기타 재단 설립 목적 달성을 위한 사업

3. 1. 한국학 연구 지원

한국국제교류재단은 해외 대학의 한국학 교수직 설립, 계약 교수 채용, 초빙 교수 임용 등을 지원하여 한국 관련 교육 및 학문 연구를 발전시키고 있다. 대학원 및 박사후 과정 장학금, 현장 연구 장학금, 한국어 교육 장학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원생과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비한국인 교육자들을 위한 한국학 워크숍을 개최하여 한국 관련 수업 지도를 돕고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한국학 진흥과 차세대 한국학자 육성을 위한 다양한 특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재단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소재 하버드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한국학연구소, 영국 런던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학원,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등을 지원해왔다. 또한, 약 120개 해외 대학의 한국학 교수직 설립을 지원했으며, 재단의 장학금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관련 연구를 수행한 학자와 학생은 6,000명이 넘는다.

3. 2. 국제 교류 협력

한국국제교류재단은 국제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제교류 행사 주관, 지원 및 참가
  • 국제교류 인사 파견 및 초청
  • 국외 한국 연구 지원 및 연구 결과 보급
  • 한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
  • 외국 주요 국제교류기관과의 교류 및 협력을 통한 국제적 우호 증진
  • 재외동포 관련 단체 활동 지원
  • 기타 재단 설립 목적 달성을 위한 사업


2017년 9월부터 한국국제교류재단은 부산에 새로 설립된 아세안 문화원(ACH)의 운영을 맡고 있다.[4][5] 이 기관은 한국인들의 아세안 국가 문화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세안 문화원 설립 계획은 2014년 부산에서 열린 아세안-한국 특별정상회의의 결과 중 하나였다.[4][5]

또한 재단은 저명인사들을 초청하여 한국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얻도록 지원하고, 차세대 리더와 청년들을 위한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아울러 국제 포럼을 조직하고 지원하여 비정부 차원의 정기적인 대화 채널을 제공한다. 워싱턴 D.C. 소재의 브루킹스 연구소,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우드로 윌슨 국제학자센터와 런던 소재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등 한국 관련 정책 연구를 수행하는 주요 싱크탱크와 연구소에 연구비를 지원한다.

3. 2. 1. 한국-중앙아시아 협력 포럼 사무국

2017년 7월, 한국국제교류재단은 카자흐스탄, 한국,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여러 국가가 실질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상호 협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는 한국-중앙아시아 협력 포럼 사무국을 출범시켰다.[3] 이 사무국은 2007년 출범한 다자간 협의체인 한국-중앙아시아 협력 포럼이 추진하는 사업의 이행과 다변화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 사무국은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조정하며, 의료, 관광, 예술 및 문화, 청년 리더십 포럼, 물 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감독한다.[3]

3. 3. 문화 예술 교류

한국국제교류재단은 한국 문화와 예술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기획하고 지원한다. 또한 세계적인 국제 박물관의 한국 관련 전시 공간에서 개최되는 문화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한국 문화를 세계인들에게 더욱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돕는다.[7][8]

설립 이후 재단은 1,000회가 넘는 전시, 공연 및 축제를 개최했으며, 런던의 대영박물관(British Museum),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 파리의 기메동양박물관(Guimet Museum) 등 해외 유수 박물관 28곳에 한국관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재단은 KF 글로벌센터와 KF 갤러리를 통해 다양한 예술 및 문화 행사를 개최하여 한국 거주 외국인들이 한국을 더 잘 이해하고 한국 국민들이 외국 문화를 더 많이 배우는 기회를 제공한다.

3. 3. 1. KF 글로벌센터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한국 국민과 주한 외국인들에게 세계 문화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KF 글로벌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KF 갤러리와 KF 세미나실을 중심으로 세계 문화예술을 국내에 소개하는 공연, 전시, 영화, 한국과 세계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강좌와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 KF 갤러리


세계 각국의 문화예술을 소개하는 전시와 공연, 강연 등을 개최하는 한국국제교류재단의 문화 공간으로 주한 대사관과 문화원을 비롯하여 다양한 국제교류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해외 유수 문화를 소개하는 전시, 공연, 강연 등의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전시는 상시 무료 관람이며, 공연 및 강연의 참여 방법은 홈페이지의 소개 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KF 세미나실


한국국제교류재단의 행사, 세미나, 강좌 등을 개최하고 있으며, 국제교류 또는 세계 문화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세미나, 회의, 강좌 등을 개최하고자 하는 단체를 위해 세미나실 대관도 실시하고 있다.

3. 3. 2. 아세안 문화원(ASEAN Culture House)

2014년 부산에서 열린 아세안-한국 대화 관계 25주년 기념 아세안-한국 정상회의의 결과 중 하나로, 2017년 9월부터 한국국제교류재단이 부산에 아세안 문화원(ACH)을 설립하여 운영을 맡고 있다.[4][5] 아세안 문화원은 한국인들의 아세안 국가 문화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곳은 한국인과 한국 거주 아세안 주민 간의 문화 교류 및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이며, 아세안 문화를 소개하는 데 있어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간의 협력을 촉진한다.

3. 4. 출판 및 미디어 지원

한국국제교류재단은 해외에서 한국 관련 서적 출판을 지원하고, 전 세계 대학, 도서관 및 연구 기관의 한국 관련 자료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확보를 지원한다. 또한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해외 방영을 지원하여 전 세계 시청자들이 한국을 이해하고 현대 한국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3. 4. 1. 코리아나(Koreana)

한국국제교류재단은 세계 공동체에 한국 문화, 역사 및 사회를 소개하기 위해 영어판으로 시작한 계간지 ''Koreana''를 발행하고 있다. 현재 ''Koreana''는 아랍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인도네시아어, 일본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등 총 9개 언어로 출판되며, 약 160개국에 배포되고 있다.

'''코리아나'''는 구석기 유물부터 현대 미디어 및 설치미술까지, 조선왕조의 화려한 궁중 문화부터 오늘날의 거리 예술과 패션까지, 문학에서 영화 및 다양한 문화 장르에 이르기까지 한국 예술과 문화의 광범위한 영역을 다루어 왔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이 한국 문화의 보편성과 독창성을 이해하도록 돕고,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사명인 “사람들을 연결하고 세계를 가교하는 것”에 기여해 왔다.[9] 2017년, 코리아나는 창간 30주년을 맞이하여 최초로 한국어 인쇄판을 발행했다.[10] 계간지의 과거 및 현재 호는 웹진으로 온라인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11] 전 세계 독자들은 1년에서 3년까지 구독하여 우편으로 잡지를 받아볼 수도 있다.[12]

4. 조직

한국국제교류재단은 13개 부서, 130명의 직원으로 구성된 4개 국을 두고 있다. 본부와 KF 글로벌센터는 서울에 있으며, 2018년 7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로 본사를 이전했다.[6]

4. 1. 이사장

김계환은 2022년 9월부터 한국국제교류재단의 비상임감사로 재직 중이다.

학력
경력


4. 1. 1.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은 대한민국 외교부(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산하 기관이며, 외교부는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OKF),[2]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세 개의 산하 기관을 감독한다. 이 세 기관은 모두 대한민국의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 증진에 힘쓰고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은 현재 13개 부서에 130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4개 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부와 KF 글로벌센터는 서울에 있으며, 워싱턴 D.C., 로스앤젤레스, 베를린, 모스크바, 베이징, 도쿄, 하노이, 자카르타 등 3개 대륙에 8개의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2018년 7월, 한국국제교류재단은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6]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로 본사를 이전했다.

4. 2. 해외사무소

사무소명위치
워싱턴 D.C.사무소워싱턴 D.C.
LA사무소로스앤젤레스
베이징사무소베이징
모스크바사무소모스크바
자카르타사무소자카르타
베를린사무소베를린
하노이사무소하노이
도쿄사무소도쿄



한국국제교류재단은 3개 대륙에 8개의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2]

5. 역대 이사장

이름재임 기간
유혁인1992년 1월 3일 ~ 1992년 10월 9일
손주환1992년 10월 26일 ~ 1994년 12월 29일
최창윤1994년 12월 31일 ~ 1996년 3월 30일
김정원1996년 4월 29일 ~ 1998년 2월 24일
이종빈1998년 4월 10일 ~ 2000년 1월 14일
이인호2000년 2월 21일 ~ 2003년 12월 29일
권인혁2004년 1월 6일 ~ 2007년 1월 5일
임성준2007년 2월 27일 ~ 2010년 2월 26일
김병국2010년 6월 14일 ~ 2012년 3월 1일
김우상2012년 3월 1일 ~ 2013년 5월 10일
유현석2013년 5월 13일 ~ 2016년 5월 11일
이시형2016년 5월 12일 ~ 2019년 9월 15일
이근2019년 ~ 2022년


6. 한국국제교류재단상(Korea Foundation Award)

2008년에 설립된 한국국제교류재단상(Korea Foundation Award)은 한국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국제적인 우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 사람들의 업적을 기리는 상이다. 2017년에는 계간지 코리아나의 편집장인 이경희(Kyong-hee Lee)가 수상했다.[13]

과거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수상자내용
마티나 도이흘러(Martina Deuchler)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학술원(SOAS) 한국학 명예교수
존 던컨(John Duncan)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한국학연구소장
손호민(Ho-Min Sohn)하와이대학교 마노아캠퍼스(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동아시아 언어문학과 한국어·언어학과 교수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Chinese People's Association for Friendship with Foreign Countries)
하르트무트 코쉬크(Hartmut Koschyk)한국-독일 포럼 공동의장이자 독일-한국 의원친선협회 회장


참조

[1] 웹사이트 Korea Foundation Act https://elaw.klri.re[...]
[2] 웹사이트 Overseas Korean Foundation http://www.okf.or.kr[...]
[3] 웹사이트 Korea, Central Asia further strength partnership http://www.korea.net[...]
[4]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of the 2014 ASEAN-ROK Commemorative Summit http://asean.org/ase[...]
[5] 웹사이트 ASEAN-Republic of Korea Dialogue Relations http://asean.org/?st[...]
[6] 웹사이트 Special Act on the Construction and Support of Innovation Cities Following Relocation of Public Agencies http://www.moleg.go.[...] 2009-07-24
[7] 웹사이트 KF Global Center http://en.kf.or.kr/?[...]
[8] 웹사이트 KF Gallery http://en.kf.or.kr/?[...]
[9] 웹사이트 Korea Foundation's Mission and Vision https://en.kf.or.kr/[...] Korea Foundation 2017-08-29
[10] 웹사이트 KOREANA Magazine Marks Its 30th Anniversary https://en.kf.or.kr/[...] Korea Foundation 2017-06-22
[11] 웹사이트 Koreana Archive https://www.koreana.[...]
[12] 웹사이트 Koreana Subscription https://koreana.or.k[...] Korea Foundation 2017-06-22
[13] 웹사이트 Winner of the 6th Korea Foundation Award https://twitter.com/[...] Korea Foundation 2017-10-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