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한 예우 및 지원, 5·18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지원 등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행정 기관이었다. 1948년 사회부 후생국 시설과로 시작하여 군사원호청, 원호처를 거쳐 1985년 국가보훈처로 개편되었고, 2023년 국가보훈부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폐지 - D1CE
    D1CE는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신 멤버들로 구성된 5인조 보이 그룹으로 2019년 데뷔하여 "Wake Up"과 "Draw You" 등의 곡으로 활동했으나, 멤버들의 군 입대와 계약 만료로 2023년 해체하였다.
  • 2023년 폐지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하여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교통 거점이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묘지로, 한국전쟁 전사자, 순국선열,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등이 안장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사적 장소이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독립기념관 (대한민국)
    독립기념관은 한국의 국난극복사와 국가발전사 관련 자료를 수집, 전시, 연구하고 역사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87년 개관하여 현재 국가보훈처에서 관리하며 다양한 전시 시설과 자료를 통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에 기여한다.
  • 1985년 설립 - 사직실내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은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현재는 부산 BNK 썸과 부산 KCC 이지스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스포츠, 문화 행사 및 e스포츠 경기가 개최되었다.
  • 1985년 설립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사상터미널)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로, 1985년 이전하여 본관 A, B동 및 별관 A, B동으로 구성된 육각형 외벽과 기둥이 특징이며,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방면의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애플아울렛, 롯데시네마 등 상업 시설과 함께 있다.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보훈처 청사
국가보훈처 청사
약칭보훈처, MPVA
설립일1985년 1월 1일
설립 근거「정부조직법」 §22의2①
전신원호처
해산일2023년 6월 5일
후신국가보훈부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9
상급 기관국무총리
웹사이트국가보훈처 홈페이지

2. 소관 사무


  •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한 예우 및 지원 관련 업무
  • 5·18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에 대한 예우 관련 업무
  • 보훈보상대상자,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 관련 업무
  • 그 밖에 법령으로 정하는 보훈 관련 업무

3. 연혁


  • 1948년 7월 17일: 사회부 후생국에 시설과가 설치되었다.[1]
  • 1949년 10월 5일: 후생국이 사회국으로 개편되고, 하부조직으로 군사원호과가 설치되었다.[2]
  • 1950년 4월 1일: 시설과가 폐지되었다.[3]
  • 1951년 7월 13일: 군사원호과가 원호국으로 확대·개편되고 하부조직으로 군사원호과, 경찰원호과 및 보도과가 설치되었다.[4]
  • 1953년 2월 18일: 군사원호과와 경찰원호과가 원호과로 통합되고, 원호국에 연금과가 설치되었다.[5]
  • 1955년 2월 17일: 보건사회부의 하부조직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6]
  • 1957년 9월 9일: 보건사회부 의정국에 시설과가 설치되었다.[7]
  • 1961년 8월 5일: 보건사회부 사회국 원호과, 보도과, 연금과 및 의정국 시설과를 통합하여 군사원호청이 설치되었다.[8]
  • 1962년 5월 12일: 원호처로 개편되었다.[9]
  • 1985년 1월 1일: 국가보훈처로 개편되었다.[10]
  • 2023년 6월 5일: 국가보훈부로 개편되었다.[11]

3. 1. 역대 로고

4. 역대 처·차장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역대 처장과 차장은 다음과 같다.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원호처 장
이승만 정부초대이용1961년 7월 5일 ~ 1961년 7월 10일
군사정부초대박기석1961년 7월 11일 ~ 1962년 4월 15일
군사원호청 장
2대박기석1962년 4월 16일 ~ 1963년 12월 16일
원호처 장
3대윤용현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10일
박정희 정부4대김병삼1964년 5월 11일 ~ 1965년 5월 20일
5대류근창1965년 5월 21일 ~ 1966년 9월 19일
6대김재명1966년 9월 20일 ~ 1967년 9월 14일
7대강서룡1967년 9월 15일 ~ 1970년 4월 14일
8대장경순1970년 4월 15일 ~ 1973년 3월 12일
9대이종호1973년 3월 13일 ~ 1977년 12월 19일
최규하 정부9대이종호1979년 12월 15일 ~ 1980년 5월 21일
전두환 정부9대이종호1980년 5월 22일 ~ 1982년 5월 20일
9대조철권1982년 5월 21일 ~ 1984년 12월 31일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9대조철권1985년 1월 1일~1985년 2월 18일장관급으로 격상
10대최종호1985년 2월 19일~1986년 1월 7일
11대김근수1986년 1월 8일~1988년 2월 24일
노태우 정부12대전석홍1988년 2월 25일~1988년 12월 5일
13대이상연1988년 12월 6일~1990년 12월 26일
14대민경배1990년 12월 27일~1993년 2월 25일
김영삼 정부15대이병태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16대이충길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
17대황창평1994년 12월 24일~1996년 12월 19일
18대오정소1996년 12월 20일~1997년 3월 5일
19대박상범1997년 3월 6일~1998년 3월 3일
김대중 정부-김의재1998년 3월 4일~1998년 3월 8일직무대리
20대김의재1998년 3월 9일~1999년 3월 2일차관급으로 격하
-조병세1999년 3월 3일~1999년 3월 5일직무대리
21대최규학1999년 3월 6일~2000년 8월 28일
22대김유배2000년 8월 29일~2001년 4월 1일
23대이재달2001년 4월 2일~2003년 3월 3일
노무현 정부24대안주섭2003년 3월 3일~2004년 9월 23일장관급으로 격상
25대박유철2004년 9월 24일~2007년 4월 19일
26대김정복2007년 4월 20일~2008년 2월 28일
이명박 정부27대김양2008년 2월 29일~2011년 2월 23일차관급으로 격하
28대박승춘2011년 2월 24일~2017년 5월 11일역대 최장수 재임[12]
박근혜 정부직무대리최완근2016년 10월 31일~2017년 3월 31일차장 겸 처장 직무대리
직무대리최완근2017년 5월 11일~2017년 5월 17일차장 겸 처장 직무대리
문재인 정부29대피우진2017년 5월 17일~2019년 8월 14일장관급으로 격상, 최초의 여성 출신 처장[13]
직무대리민병원2019년 8월 14일~2019년 8월 16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실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국가보훈처장 직무대리
30대박삼득2019년 8월 16일~2020년 12월 30일
31대황기철2020년 12월 31일~2022년 5월 13일
윤석열 정부32대박민식2022년 5월 13일~2023년 6월 4일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7대최병삼1985년 1월 1일~1986년 8월 28일차관급으로 격상
8대김상영1986년 8월 28일~1988년 3월 4일
노태우 정부9대1988년 3월 5일~1988년 9월 19일
10대김옥조1988년 9월 19일~1990년 12월 28일
11대전희찬1990년 12월 28일~1992년 12월 30일
12대이충길1992년 12월 30일~1993년 3월 3일
김영삼 정부13대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1일
직무대리이천우1993년 12월 21일~1993년 12월 26일직무대리
14대김시복1993년 12월 27일~1996년 12월 24일
15대김의재1996년 12월 24일~1998년 3월 16일
김대중 정부16대장귀호1998년 3월 17일~1999년 1월 21일1급으로 격하
17대조병세1999년 1월 21일~2000년 5월
18대김종성2000년 5월~2004년 3월 18일
노무현 정부19대배철호2004년 3월 18일~2005년 6월 23일
20대김정복2005년 6월 23일~2007년 4월 23일차관급으로 격상
21대정일권2007년 4월 23일~2007년 11월 23일
22대김흥걸2007년 11월 23일~2008년 3월 21일
이명박 정부23대이종정2008년 3월 21일~2009년 8월 13일
24대우무석2009년 8월 13일~2011년 12월 5일1급으로 격하
25대정양성2011년 12월 5일~2013년 5월 27일
박근혜 정부26대최완근2013년 5월 28일~2017년 7월 26일
직무대리민병원2017년 7월 26일~2017년 7월 27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관리국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
문재인 정부27대심덕섭2017년 7월 27일~2018년 12월 14일차관급으로 격상
28대이병구2018년 12월 14일~2020년 8월 14일
직무대리민병원2020년 8월 14일~2020년 8월 18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실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국가보훈처장 직무대리
29대이남우2020년 8월 18일~2022년 7월 3일
윤석열 정부30대윤종진2022년 7월 4일~2023년 6월 4일


4. 1. 국가보훈처장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9대조철권1985년 1월 1일~1985년 2월 18일장관급으로 격상
10대최종호1985년 2월 19일~1986년 1월 7일
11대김근수1986년 1월 8일~1988년 2월 24일
노태우 정부12대전석홍1988년 2월 25일~1988년 12월 5일
13대이상연1988년 12월 6일~1990년 12월 26일
14대민경배1990년 12월 27일~1993년 2월 25일
김영삼 정부15대이병태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16대이충길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
17대황창평1994년 12월 24일~1996년 12월 19일
18대오정소1996년 12월 20일~1997년 3월 5일
19대박상범1997년 3월 6일~1998년 3월 3일
김대중 정부-김의재1998년 3월 4일~1998년 3월 8일직무대리
20대김의재1998년 3월 9일~1999년 3월 2일차관급으로 격하
-조병세1999년 3월 3일~1999년 3월 5일직무대리
21대최규학1999년 3월 6일~2000년 8월 28일
22대김유배2000년 8월 29일~2001년 4월 1일
23대이재달2001년 4월 2일~2003년 3월 3일
노무현 정부24대안주섭2003년 3월 3일~2004년 9월 23일장관급으로 격상
25대박유철2004년 9월 24일~2007년 4월 19일
26대김정복2007년 4월 20일~2008년 2월 28일
이명박 정부27대김양2008년 2월 29일~2011년 2월 23일차관급으로 격하
28대박승춘2011년 2월 24일~2017년 5월 11일역대 최장수 재임[12]
박근혜 정부직무대리최완근2016년 10월 31일~2017년 3월 31일차장 겸 처장 직무대리
직무대리최완근2017년 5월 11일~2017년 5월 17일차장 겸 처장 직무대리
문재인 정부29대피우진2017년 5월 17일~2019년 8월 14일장관급으로 격상, 최초의 여성 출신 처장[13]
직무대리민병원2019년 8월 14일~2019년 8월 16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실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국가보훈처장 직무대리
30대박삼득2019년 8월 16일~2020년 12월 30일
31대황기철2020년 12월 31일~2022년 5월 13일
윤석열 정부32대박민식2022년 5월 13일~2023년 6월 4일


4. 2. 국가보훈처 차장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7대최병삼1985년 1월 1일~1986년 8월 28일차관급으로 격상
8대김상영1986년 8월 28일~1988년 3월 4일
노태우 정부9대1988년 3월 5일~1988년 9월 19일
10대김옥조1988년 9월 19일~1990년 12월 28일
11대전희찬1990년 12월 28일~1992년 12월 30일
12대이충길1992년 12월 30일~1993년 3월 3일
김영삼 정부13대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1일
직무대리이천우1993년 12월 21일~1993년 12월 26일직무대리
14대김시복1993년 12월 27일~1996년 12월 24일
15대김의재1996년 12월 24일~1998년 3월 16일
김대중 정부16대장귀호1998년 3월 17일~1999년 1월 21일1급으로 격하
17대조병세1999년 1월 21일~2000년 5월
18대김종성2000년 5월~2004년 3월 18일
노무현 정부19대배철호2004년 3월 18일~2005년 6월 23일
20대김정복2005년 6월 23일~2007년 4월 23일차관급으로 격상
21대정일권2007년 4월 23일~2007년 11월 23일
22대김흥걸2007년 11월 23일~2008년 3월 21일
이명박 정부23대이종정2008년 3월 21일~2009년 8월 13일
24대우무석2009년 8월 13일~2011년 12월 5일1급으로 격하
25대정양성2011년 12월 5일~2013년 5월 27일
박근혜 정부26대최완근2013년 5월 28일~2017년 7월 26일
직무대리민병원2017년 7월 26일~2017년 7월 27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관리국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
문재인 정부27대심덕섭2017년 7월 27일~2018년 12월 14일차관급으로 격상
28대이병구2018년 12월 14일~2020년 8월 14일
직무대리민병원2020년 8월 14일~2020년 8월 18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실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국가보훈처장 직무대리
29대이남우2020년 8월 18일~2022년 7월 3일
윤석열 정부30대윤종진2022년 7월 4일~2023년 6월 4일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25호
[2] 법률 대통령령 제188호
[3] 법률 대통령령 제311호
[4] 법률 대통령령 제512호
[5] 법률 대통령령 제757호
[6] 법률 대통령령 제1004호
[7] 법률 대통령령 제1304호
[8] 법률 법률 제647호
[9] 법률 법률 제1052호
[10] 법률 법률 제3734호
[11] 법률 법률 제19228호
[12] 뉴스 '트러블메이커' 박승춘 보훈처장 6년3개월여만에 물러나 http://www.yonhapnew[...] 2017-05-11
[13] 뉴스 첫 여성 보훈처장 피우진, 여군 헬기 조종사 출신 http://www.yonhapnew[...] 2017-05-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