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혈구형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혈구형성은 골수에서 일련의 세포 분화 과정을 통해 적혈구가 성숙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능성 조혈 줄기 세포에서 시작하여 전적모구, 호염기성 적모구, 다염성 적모구, 정색성 적모구 단계를 거쳐 망상 적혈구가 되고, 망상 적혈구는 혈액으로 방출된 후 성숙한 적혈구가 된다. 적혈구 성숙 과정에서 세포 크기는 감소하고 핵은 작아지며 세포질의 색상은 변화한다. 비타민 B12와 B9은 적혈구 성숙에 필수적이다. 적혈구 생성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로는 에리트로포이에틴, 헵시딘, 에리트로페론 등이 있으며, 급성 빈혈은 스트레스 적혈구 생성을 유발할 수 있다. 관련 질환으로는 빈혈, 적혈구 증가증, 이상적혈구생성증, 지중해 빈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혈 - 조혈계
조혈계는 혈액 세포 성분을 만드는 조혈 과정을 담당하며, 조혈모세포에서 시작하여 골수에서 주로 일어나고, 조혈모세포 이식은 혈액암 치료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질환으로 치료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적혈구형성 | |
---|---|
적혈구 생성 개요 | |
정의 | 적혈구 세포가 발생하는 과정 |
위치 | 조혈 기관 (골수) |
조절 인자 |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저산소증 신장 |
단계 | |
1단계 | 조혈모세포 |
2단계 | 전적혈모구 |
3단계 | 호염기성 적혈모구 |
4단계 | 다염성 적혈모구 |
5단계 | 정염성 적혈모구 |
6단계 | 망상 적혈구 |
7단계 | 적혈구 |
설명 | |
시간 | 약 7일 소요 |
헤모글로빈 | 헤모글로빈 합성은 적혈구 생성과정에서 조절됨. |
핵 | 정염성 적혈모구는 핵을 내보낸다. |
임상적 중요성 | 적혈구 생성은 다양한 질병과 상태에 영향을 받음. |
관련 용어 | |
영어 | erythropoiesis |
어원 | 그리스어 "erythro" (붉다) + "poiesis" (만들다) |
2. 적혈구 분화
적혈구는 골수 내에서 일련의 세포 분화 단계를 거쳐 성숙한다. 이 과정에서 세포의 외형과 생화학적 변화가 일어난다.
성숙 과정에서 호염기성 전적모구는 900 fL 부피의 큰 세포핵을 가진 세포에서 95 fL 부피의 핵 제거된 원반형 세포로 변환된다. 망상 적혈구 단계에서는 핵이 없지만, 여전히 헤모글로빈을 생성할 수 있다.
비타민 B12(코발라민)와 비타민 B9(엽산)은 적혈구 성숙에 필수적이다. 이들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적혈구 생성 과정에서 성숙 실패가 발생하여 망상구 감소증(망상 적혈구의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치)이 나타난다.
2. 1. 분화 단계
골수에서 적혈구 성숙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18]단계 | 설명 |
---|---|
다분화능 조혈 줄기 세포인 혈구모세포 | 모든 혈구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 |
골수계 전구 세포 (다분화능 줄기 세포) | 골수 계열 세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로 분화 |
단분화능 줄기 세포 | 특정 혈구 세포 (여기서는 적혈구)로만 분화 |
전적모구 (일반적으로 적아세포 또는 적모세포라고도 함) | 핵을 가지며, 헤모글로빈 합성이 시작되는 단계 |
호염기성 적모구 (일반적으로 적아세포라고도 함) | 세포질이 염기성 염료에 염색되는 단계 |
다염성 적모구 | 세포질이 여러 색으로 염색되는 단계 |
정색성 적모구 | 세포질이 붉은색으로 염색되며, 핵이 작아지고 응축되는 단계 (이 단계에서 핵이 방출됨) |
망상 적혈구 (미성숙 적혈구) | 핵이 없고, 세포질에 RNA가 남아있어 헤모글로빈 합성을 계속하는 미성숙 적혈구. 골수를 떠나 혈액으로 방출된 후 1~2일 내에 성숙한 적혈구가 됨. |
이러한 단계들은 Wright 염색으로 염색 후 광학 현미경으로 검사했을 때 나타나는 세포의 특정 외형과 생화학적 변화에 해당한다.
성숙 과정에서 호염기성 전적모구는 900 fL 부피의 큰 세포핵을 가진 세포에서 95 fL 부피의 핵 제거된 원반형 세포로 변환된다. 망상 적혈구 단계에서는 핵이 없지만, 여전히 헤모글로빈을 생성할 수 있다.
비타민 B12 (코발라민)와 비타민 B9 (엽산)은 적혈구 성숙에 필수적이다. 이들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적혈구 생성 과정에서 성숙 실패가 발생하여 망상구 감소증(망상 적혈구의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치)이 나타난다.
세포가 성숙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변화한다.[18]
- 적혈구 전구 세포의 전체 크기가 줄어든다.
- 세포질과 핵의 비율(C:N)이 증가한다.
- 핵의 직경이 축소되고 크로마틴이 응축된다.
- 염색 반응이 적자색에서 짙은 청색으로 진행되다가 정색성 적아구의 최종 핵 단계에서 핵이 배출되기 전의 상태가 된다.
- 세포질의 색깔은 전적아구나 호염기성 적아구 단계에서는 청색이지만, 세포가 성장함에 따라 헤모글로빈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여 분홍빛을 띤 적색으로 변화한다.
- 처음에는 핵이 크고 오픈 크로마틴을 포함하지만, 적혈구가 성숙해짐에 따라 핵의 크기는 축소되고, 최종적으로는 크로마틴 물질의 응축에 의해 소멸된다.
2. 2. 형태 및 기능 변화
적혈구는 성숙 과정에서 여러 형태 및 기능 변화를 겪는다. 우선, 전구 세포에서 성숙한 적혈구가 될수록 세포 크기가 감소한다. 전적모구(일반적으로 적아세포 또는 적모세포라고도 함) 단계에서는 크고 열린 염색질을 가진 핵을 가지지만, 성숙하면서 점차 핵의 크기가 작아지고 염색질이 응축되어 망상 적혈구 단계에서 핵을 방출하고, 최종적으로는 핵이 사라진다.[18] 세포질은 헤모글로빈 합성이 증가함에 따라 염기성(파란색)에서 산성(분홍색-빨간색)으로 염색성이 변한다. 호염기성 적혈구 단계에서는 파란색을 띠지만, 다염성 적혈구를 거쳐 정색성 적혈구 단계에서는 분홍빛이 도는 빨간색으로 변한다.[18]기능적인 측면에서, 망상 적혈구 단계까지는 헤모글로빈을 생성할 수 있지만, 성숙한 적혈구는 핵이 없고 미토콘드리아 등 다른 세포 소기관도 거의 없기 때문에 산소 운반 기능을 전담한다.
3. 적혈구 생성 기전
모든 혈구는 다능성 조혈모 줄기 세포인 혈구모세포에서 생성된다. 혈구모세포는 골수에서 발견되며, 필요시 순환 혈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혈구모세포는 일반 골수성 전구 세포로 분화하여 적혈구를 포함한 여러 혈구 세포를 생성한다.
일반 골수성 전구 세포가 성숙한 적혈구가 되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친다. 먼저, 이들은 골수에서만 존재하는 정상모세포(적아구)가 된다.
그 후, 망상 적혈구로 성숙하면서 핵을 잃는데, 이들은 미성숙 적혈구로 간주된다. 이들 중 일부는 말초 순환계로 방출된다.
마지막으로, 망상 적혈구는 성숙한 적혈구인 적혈구가 되면서 남아있는 세포 소기관을 잃는다.
성숙 과정 중 핵 방출이 일어나 성숙한 적혈구는 핵이 없다. 골수에 핵을 가진 적혈구가 존재하면 불완전하게 발달된 세포가 방출되었음을 의미하며, 지중해 빈혈, 중증 빈혈, 혈액 종양과 같은 질병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다.[1]
적혈구 성숙 과정에서 세포는 여러 분화 단계를 거친다. 골수 내에서 일어나는 성숙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 설명 |
---|---|
혈구모세포 | 다능성조혈줄기 세포 |
골수계 전구 세포 | 다능성 줄기 세포 |
단능성 줄기 세포 | |
전적아구 | 원시 적아구라고도 불림 |
호염기성 적아구 | 초기 정염성 적아구 |
다염성 적아구 | 중기 정염성 적아구 |
정염성 적아구 | 후기 정염성 적아구, 핵 배출 |
망상 적혈구 |
최종 단계 후, 세포는 골수에서 방출되어, 새롭게 순환하는 적혈구에는 약 1%의 망상 적혈구가 포함된다. 1~2일 후, 이들은 최종적으로 성숙한 적혈구가 된다.
이러한 단계는 세포를 라이트 염색으로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특정 외관에 대응하며, 그 외의 생화학적 변화에 대응한다.
성숙 과정에서 호염기성 전적아구는 큰 핵과 900fL 부피를 가진 세포에서 95fL 부피를 가진 핵 제거된 원반형으로 변화한다. 망상 적혈구 단계까지 세포는 핵을 배출했지만, 헤모글로빈을 생산하는 능력은 유지한다.
적혈구 성숙에는 비타민 B12(코발라민)와 비타민 B9(엽산)이 필수적이다. 둘 중 하나가 결여되면, 적혈구 형성 과정에서 성숙 부전이 일어나 망상 적혈구가 비정상적으로 적게 나타난다.
4. 적혈구 생성 조절
에리트로포이에틴과 관련된 피드백 루프는 적혈구 생성 과정을 조절한다. 질병이 없는 상태에서 적혈구의 생산은 적혈구의 파괴와 같고, 적혈구의 수는 조직의 적절한 산소 수준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만, 슬러징, 혈전증 또는 뇌졸중을 일으킬 정도로 높지 않게 유지된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은 낮은 산소 수치에 반응하여 신장과 간에서 생성된다. 또한, 에리트로포이에틴은 순환하는 적혈구에 의해 결합된다. 낮은 순환 수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결합되지 않은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유발하여 골수에서 생산을 자극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펩타이드 호르몬인 헵시딘이 헤모글로빈 생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조혈모세포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헵시딘은 간에서 생성된다. 헵시딘은 위장관에서의 철분 흡수와 망상내피 조직으로부터의 철분 방출을 조절한다. 철분은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의 헴 그룹에 통합되기 위해 골수의 대식세포에서 방출되어야 한다.
헵시딘의 분비는 2014년에 확인된[8][9] 에리트로포이에틴에 반응하여 적아세포에서 생성되는 또 다른 호르몬인 에리트로페론에 의해 억제된다. 이는 에리트로포이에틴에 의해 유도되는 조혈모세포 생성과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요한 철분 동원을 연결하는 것으로 보인다.
생쥐 세포에서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 또는 JAK2의 기능 손실은 조혈모세포 생성 실패를 유발하여 배아에서의 적혈구 생산과 성장을 방해한다. 예를 들어 사이토카인 신호 전달 단백질의 억제인자가 감소하거나 부재하는 경우와 같이 전신적 피드백 억제가 없으면 거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생쥐 모델에서 나타난다.[10][11]
5. 스트레스 적혈구 생성
급성 빈혈에서는 정상적인 적혈구 생성 외에 새로운 적혈구가 빠르게 만들어지는 반응이 나타난다. 이는 쥐를 이용한 연구에서 밝혀졌으며, 간에서 BMP4 의존성 스트레스 적혈구 생성 경로가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12]
6. 관련 질환 (한국 상황)
빈혈은 기능성 헤모글로빈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적은 질환으로, 한국에서 흔히 발생한다.[1] 적혈구 증가증은 적혈구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질환이다.[2] 이상적혈구생성증은 적혈구 발육에 문제가 있는 질환이다.[3] 지중해 빈혈은 유전성 혈색소 질환으로, 한국에서는 드물지만 다문화 가정 증가로 인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다문화 가정 지원 정책을 통해 지중해 빈혈 환자 관리에도 힘쓰고 있다.
참조
[1]
서적
Elsevier's Integrated Biochemistry
2007-01-01
[2]
서적
Animal Physiology
Brooks/Cole, Cengage Learning
2005
[3]
저널
Developmental biology of erythropoiesis
1998-06
[4]
서적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0 20th Anniversary Edition
https://archive.org/[...]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5]
서적
Essentials of Medical Physiology
https://books.google[...]
JP Medical Ltd
2012-09-30
[6]
저널
Proliferative capacity of erythropoietic stem cell lines and aging: An overview
1979
[7]
서적
Textbook of Physiology
2006-2007
[8]
웹사이트
Erythroferrone: A Missing Link in Iron Regulation
https://web.archive.[...]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2015-01-13
[9]
저널
Identification of erythroferrone as an erythroid regulator of iron metabolism
2014-07
[10]
저널
Severe iron deficiency anemia in transgenic mice expressing liver hepcidin
2002-04
[11]
저널
Erythrocyte programmed cell death.
http://www3.intersci[...]
2008-08
[12]
저널
Stress erythropoiesis: new signals and new stress progenitor cells
2011-05
[13]
서적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0 20th Anniversary Edition
https://archive.org/[...]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14]
서적
Elsevier's Integrated Biochemistry
2007-01-01
[15]
서적
Animal Physiology
Brooks/Cole, Cengage Learning
2005
[16]
저널
Developmental biology of erythropoiesis
1998-06
[17]
서적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0 20th Anniversary Edition
https://archive.org/[...]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18]
서적
Textbook of Physiology
2006-2007
[19]
웹사이트
Erythroferrone: A Missing Link in Iron Regulation
http://www.hematolog[...]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2015-01-13
[20]
저널
Identification of erythroferrone as an erythroid regulator of iron metabolism
2014-07
[21]
저널
Severe iron deficiency anemia in transgenic mice expressing liver hepcidin
2002-04
[22]
저널
Erythrocyte programmed cell death.
http://www3.intersci[...]
2008-08
[23]
저널
Stress erythropoiesis: new signals and new stress progenitor cells
2011-05
[24]
서적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0 20th Anniversary Edition
https://archive.org/[...]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25]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6]
서적
Elsevier's Integrated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2007-01-01
[27]
서적
Animal Physiology
Brooks/Cole, Cengage Learning
2005
[28]
저널
Developmental biology of erythropoiesis
1998-06
[29]
서적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0 20th Anniversary Edition
https://archive.org/[...]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30]
서적
Essentials of Medical Physiology
https://books.google[...]
JP Medical Ltd
2012-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