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대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대흔은 1728년 가정현 출신으로, 청나라 시대의 학자이다. 자양학원에서 수학하고 건륭제의 남쪽 순행에 따라 거인이 되어 내각중서로 임용되었으며, 1754년 진사가 되어 한림원에서 벼슬하였다. 광동학정을 지냈으나 부친상으로 은퇴한 후 서원에서 후학을 양성했다. 수학, 천문학, 철학, 경학 등 여러 분야에 정통했으며, 실사구시의 방법에 따라 근본 사료에 근거한 역사 연구를 확립하여 청조 사학의 대성자로 평가받는다. 주요 저서로 『십가재양신록』, 『이십이사고이』 등이 있으며, 완원, 주청수, 장순휘 등으로부터 학문적 업적을 높이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륭 19년 갑술과 진사 - 기윤
    기윤은 청나라 건륭, 가경 연간의 문인이자 학자로서, 《사고전서》 편찬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초자연 현상과 사회 풍자를 담은 《열미초당필기》를 저술하여 중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의 역사가 - 장정옥
    장정옥은 청나라 3대에 걸쳐 활약한 한족 관료로, 옹정제의 신임을 받아 군기처의 초기 구성원이 되어 주요 정책 결정에 관여하고 《명사》 편찬을 주도했으며, 사후 태묘에 배향되는 영예를 누렸으나 만년에는 건륭제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 청나라의 역사가 - 전겸익
    전겸익은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문인으로, 진사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나 실각 후 예부상서까지 올랐으며, 청나라에 항복하여 벼슬을 지냈고, 고문사파에 반대하며 불교 사상을 문학에 반영하고 《열조시집》을 저술했다.
  • 중국의 유학자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중국의 유학자 - 하안
    하안은 삼국 시대 위나라의 학자이자 현학의 창시자이며 조조의 양자로 조비, 조예와 함께 자랐고, 조조의 딸과 결혼하여 부마가 되었으나 사마의의 고평릉의 변으로 처형되었으며, 유교와 도교를 융합하려는 시도를 했다.
전대흔
기본 정보
이름첸 다신
출생일1728년 2월 16일
출생지상하이시자딩구
사망일1804년 11월 21일
주요 관심사유학
학력
기타

2. 생애

1728년, 태창주 가정현에서 태어났다. 소주의 자양학원에서 수학하였고, 1751년 건륭제의 남순 때 소시에 의해 거인이 되고 내각중서(內閣中書)로 임용되었다.[1] 1754년 진사가 되어 한림원에서 벼슬하고 사부소사(事府小事)까지 승진하였다.[1] 그동안 향시의 주고관, 회시의 동고관을 여러 차례 맡았다.[1]

1775년 광동학정(廣東學政)이 되었으나 부친상을 당하자 귀향하여 은퇴하였다. 이후 죽을 때까지 30여 년간 종산(鍾山)·누동(婁東)의 서원과 자양서원에서 원장을 지내며 후학을 양성하였다.[1]

3. 학문

전대흔은 젊어서 서양의 수학·천문학을 익혀 고대 중국의 역법을 연구한 《삼통술연》(三統術衍)을 저술하였고, 철학·경학·사학·지리·문자학·음운학·금석학·시문학 등 여러 분야에 정통하였다.[8] 한림원에 재직할 때에는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 여러 서적의 편집을 맡았다.

황종희·고염무로 시작된 청조사학(淸朝史學)의 대성자(大成者)로, ‘실사구시(實事求是)’의 방법에 통달하여 근본 사료(史料)에 근거한 역사 연구를 확립하여 그 실증적 엄밀성은 오늘날에도 정평이 있다. 특히 저서 『십가제양신록(十駕齊養新綠)』은 그의 학문을 대표하는 명저로, 종래의 포폄출척(褒貶黜陟)을 주로 한 사론(史論)에 대하여 일세(一世)를 그은 것이다.

전대흔은 한대 유교의 학문적 특징인 고대 문헌과 사물의 이름과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좋아하고 옹호했다. 그는 한대 유교가 과거, 고대 문헌의 음운론, 고전 텍스트와의 유사성과 관련이 있다는 점 때문에 이를 옹호했으며, 새로운 유교보다 한대 유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8]

전대흔은 한대 유교의 고전 연구에 대해 주로 기술적인 수준, 즉 도구적인 수준에서 논평했고, 한대 유교 고전 연구의 이념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완원은 전대흔을 아홉 가지 난사를 해낸 사람으로 칭찬했다. 전대흔은 혜동이 지나치게 고대에 집착한 폐해와 대진의 사학적 시야가 부족한 점을 의식하고, 그러한 결점을 끊임없이 보정했다. 『이십이사고이(二十二史攷異)』, 『잠연당금석문발미(潜研堂金石文跋尾)』는 청조 사학의 방법을 확립했다. 시집(詩集) 20권으로 시인으로도 알려졌다.

4. 주요 저작


  • 乾硏堂集|건연당집중국어[9]
  • 십가재양신록[1]
  • 이십이사독기[1]
  • 乾硏堂金石考後序|건연당금석고후서중국어[1]
  • 22사고이 - 사기부터 원사까지를 교정한 저작.
  • 십가재양신록 - 고염무일지록 형식을 따라 고증을 정리.
  • 항언록 - 당시의 일상어 (속어)에 대해 고증.
  • 잠연당문집, 시집, 속시집
  • 삼통술연

5. 평가

전대흔은 젊어서 수학·천문학을 익혀 고대 중국의 역법을 연구한 《삼통술연》(三統術衍)을 저술하였고, 이외에도 철학·경학·사학·지리·문자학·음운학·금석학·시문학 등 여러 분야에 정통했을 뿐만 아니라 관직에 있을 때 청렴하여 칭송받았다. 한림원에 재직하였을 때에는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를 비롯한 여러 서적의 편집을 맡았다.[8]

그는 황종희·고염무로 시작된 청조사학(淸朝史學)의 대성자(大成者)이며, ‘실사구시(實事求是)’의 방법에 통달하여 근본 사료(史料)에 근거한 역사 연구를 확립, 그 실증적 엄밀성은 오늘날에도 정평이 있다. 특히 그의 저서 『십가제양신록(十駕齊養新綠)』은 그의 학문을 대표하는 명저로서 이름이 높다. 종래의 포폄출척(褒貶黜陟)을 주로 한 사론(史論)에 대하여 일세(一世)를 그은 것이다.[8]

전대흔은 한대 유교의 학문적 특징, 즉 고대 문헌과 사물의 이름과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좋아했기에 이를 옹호했다. 그는 또한 한대 유교가 과거, 고대 문헌의 음운론, 그리고 고전 텍스트와의 유사성과 관련이 있다는 점 때문에 이를 옹호했다. 전대흔은 또한 새로운 유교보다 한대 유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8]

전대흔은 한대 유교의 고전 연구에 대해 주로 기술적인 수준, 즉 도구적인 수준에서 논평했다. 한대 유교 고전 연구의 이념에 대해서는 전대흔이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8]

여러 학자들의 전대흔에 대한 평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자평가 내용
왕준의(王俊义)진보적인 정치적, 학문적 사상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류 더미에 파묻히는 데 그치지 않고 현실 정치 투쟁과 실생활의 모든 문제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며, 그의 학문 보고서에 다양한 수준으로 반영되었다고 평가했다.
내몽골대학교 주청수(周清澍)유학, 역사, 서지학, 음운론, 토지, 관료, 씨족, 연령, 원나라 역사 등 분야에서의 업적을 요약했다. 건륭(乾隆)과 가경(嘉庆) 연간에 가장 광범위하고 심오한 역사가였으며, 여러 학문을 옹호했다고 평가했다.
화중사범대학 장순휘(张舜徽)"전대흔 학기(钱大昕学记)"라는 논문을 저술하여 학문적 업적에 대해 전면적으로 논평하고 극찬했다.
허난사범대학 왕지루(王记录)학문적 옹호와 견해를 지적했다. 이는 건륭 및 가경 연간의 학문적 특징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시대적 한계를 뛰어넘는 부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사실에서 진실을 추구하는 것은 학문 연구의 핵심이었다고 평가했다.
니수어안(倪所安)광범위하고 심오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고전 연구, 역사 연구, 고문 음운론, 시와 산문 분야에서 업적을 이루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역사 분야에서 중국 역사 이론과 방법을 발전시키고 풍부하게 하여 중국 역사에서 높은 지위를 확립했다고 평가했다.
스딩(施丁)정직하고 겸손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그의 행동뿐만 아니라 학문 연구 방식에도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동료 학자들에게 친절하고 정직했다. 존경받았으며 선배 학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제시했다. 옛 학자들에게 사실에서 진실만을 추구했을 뿐 과도한 요구를 하지 않았다. 젊은 세대에게 진심으로 지도하고 지원했다. 시대를 초월한 다른 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오만하고 인색한, 바람직하지 않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6. 가족

아내는 왕명성의 여동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Qian Daxin - Famous Versatile Scholar of the Qing Dynasty http://history.cultu[...] 2012-08-31
[2] 뉴스 上海嘉定走出的外交家钱其琛 http://www.thepaper.[...] 2017-05-10
[3] 웹사이트 Qian Daxin 錢大昕 http://www.chinaknow[...] 2018-02-23
[4] 웹사이트 钱大昕简介{{!}}生平_古诗文网 http://www.gushiwen.[...] 2018-02-23
[5] 간행물 Ch'ien Ta-hsin
[6]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10-15
[7] 서적 From philosophy to philology : intellectual and social aspects of change in late Imperial China UCLA Asian Pacific Monograph Series 2001
[8] 웹사이트 中国国学网-- 钱大昕的学术批评 http://www.confucian[...] 2018-02-23
[9] 문서 Qian Daxin and Lü Youren (呂友仁). (1989) reprint.A Collection of Qian Yan Tang Shanghai gu ji chu ban sh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