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동성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동성당은 호남 지역 최초의 서양식 건물로, 대한민국 사적 제288호로 지정되었다. 1791년 신해박해 때 순교한 윤지충과 권상연,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유항검 형제 등 호남 지역의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한 자리에 1891년 임시 본당이 세워졌다. 1908년 착공하여 1931년 완공되었으며, 1937년 전주지목구가 분리되면서 주교좌 성당이 되었다. 로마네스크 양식과 비잔틴 양식이 혼합된 건축 양식과 붉은 벽돌, 화강암을 사용하여 지어졌으며, 전주교구 3지구에 속해 전동, 교동 등 9개 동을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주교 전주교구 - 익산 나바위성당
    익산 나바위성당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하며, 한국 천주교 초기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건축물로서 김대건 안드레아 등 주요 인물들과 연관되어 역사적, 종교적 의미를 지닌다.
  • 천주교 전주교구 - 되재성당지
    되재성당지는 한국 전통 건축 양식과 서양 건축 양식의 조화를 보여주는 독창적인 건축물로, 한국 천주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중요한 사례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로마 가톨릭 성당 - 익산 나바위성당
    익산 나바위성당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하며, 한국 천주교 초기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건축물로서 김대건 안드레아 등 주요 인물들과 연관되어 역사적, 종교적 의미를 지닌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로마 가톨릭 성당 - 되재성당지
    되재성당지는 한국 전통 건축 양식과 서양 건축 양식의 조화를 보여주는 독창적인 건축물로, 한국 천주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중요한 사례이다.
  • 1914년 완공된 건축물 - 구엘 공원
    구엘 공원은 에우세비 구엘 백작의 후원으로 시작되어 안토니 가우디의 자연주의 건축 양식이 돋보이는 건축물과 조형물들을 갖춘,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1914년 완공된 건축물 - 사크레쾨르 대성당
    프랑스 파리 몽마르트르 언덕에 위치한 사크레쾨르 대성당은 로마네스크 및 비잔틴 양식의 바실리카 대성당으로, 프랑스 제3공화국 헌법 발포 기념과 보불 전쟁 및 파리 코뮌 희생자 추모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예수 성심의 승리" 모자이크와 프랑스 최대 종 "사보야르"가 있는 파리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전동성당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동성당
전동성당
이름전동성당
다른 이름전동성당 (Jeondong Cathedral)
종류로마 가톨릭교회 성당
위치전주
국가대한민국
주소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51
지정 번호사적 288호
지정일1981년 9월 25일
건축 시작대한제국 시대, 일제강점기 (1908년 - 1914년)
면적679m2
상세 정보
교구
교구전주교구
기타 정보
관련 시설전주성심여자중학교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2. 역사

현재 전주시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이며, 호남 전체에서는 최초로 세워진 로마네스크 양식 건물이다.[5] 건축물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영화 촬영지나 결혼식 장소로도 자주 이용되며, 본당의 수호 성인은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이다.

성당이 자리한 곳은 원래 전주읍성의 풍남문 밖으로, 1791년 신해박해 때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자로 알려진 윤지충권상연, 그리고 1801년 신유박해 때 유항검, 유관검 형제를 비롯한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한 역사적인 장소이다.[6] 19세기기독교 신앙이 허용되면서 1891년, 보두네 신부가 이곳의 민가를 사들여 임시 본당으로 삼으며 성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7] 초기에는 신자 수가 적었으나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등을 거치며 신자가 급증하자[8] 새로운 성당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1908년, 서울 명동성당 건축에 참여했던 프와넬 신부의 설계로 공사가 시작되어 1914년에 외관이 완성되었고, 최종적으로 1931년에 완공되어 6월 18일 축성식을 가졌다.[9]

1937년 전주지목구가 설정되면서 주교좌 성당이 되었고, 1957년 중앙성당으로 주교좌가 옮겨지기 전까지 그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에도 전주 지역 천주교의 상징적인 성지로 남아 있으며, 1981년 9월 25일에는 사적 제288호로 지정되었다.

1970년대1980년대 대한민국의 군사정권 시절에는 민주화 운동의 거점 중 하나로, 정권에 항거하는 시위가 열리기도 했으며 이 과정에서 성직자들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10] 1988년에는 원인 미상의 화재를 겪었고, 2009년에는 반기독교적 낙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1]

2. 1. 순교터

원래 전동성당이 위치한 자리는 전주읍성의 풍남문 밖이었다. 이곳은 1791년 신해박해 때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자로 알려진 윤지충(바오로, 1759-1791)과 그의 외종사촌 권상연(야고보, 1751-1791)이 처형된 장소이다.[6] 또한 1801년 신유박해 때는 호남의 가톨릭 지도자였던 유항검(아우구스티노, 1756-1801)과 동생 유관검(1768-1801)이 육시형을 당했으며, 윤지헌(프란치스코, 1764-1801), 김유산(토마스, 1760-1801), 이우집(1761-1801) 등도 같은 곳에서 교수형으로 순교했다. 이처럼 전동성당 터는 호남 지역의 수많은 가톨릭교 신자들이 신앙을 지키다 목숨을 잃은 역사적인 순교지이다.

2. 2. 성당 건립

원래 전동성당이 위치한 자리는 풍남문 밖으로, 1791년 신해박해 때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자인 윤지충(바오로)와 그의 외종형 권상연(야고보)가 처형된 곳이다.[6] 또한 1801년 신유박해 때에는 유항검(아우구스티노)과 유관검 형제가 육시형을 당하고, 윤지헌(프란치스코), 김유산(토마스), 이우집 등이 교수형을 당하는 등 호남 지역의 많은 천주교 신자가 순교한 역사적인 장소였다.

19세기 말, 기독교 신앙이 허용되면서 1891년 당시 전주성당(현재의 전동성당) 주임이었던 보두네 신부가 순교 터였던 이곳의 민가를 사들여 임시 본당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7] 초기에는 전주읍성 주변에 신자가 거의 없었으나,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등의 사건을 거치며 신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8] 이에 따라 기존보다 더 큰 규모의 성당이 필요하게 되었다.

새 성당은 1908년, 서울 명동성당의 건축에도 참여했던 프와넬 신부의 설계로 착공되었다. 공사는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1914년에 외관이 완성되었고, 이후 내부 공사 등을 거쳐 1931년에 최종 완공되었다. 완공된 해인 1931년 6월 18일, 당시 대구대목구의 드망즈 주교 주례로 축성식이 거행되었다.[9]

2. 3. 전주교구 주교좌성당

1937년에는 대구대목구에서 전주지목구가 분리되면서 주교좌 성당으로 지정되었으며, 첫 교구장인 김양홍 신부가 착좌하였다. 이후 계속해서 주교좌 성당으로의 역할을 하다가 1957년 중앙성당으로 주교좌가 옮겨감으로써 다시 평범한 성당으로 돌아왔으나, 이후로도 계속 전주 지역의 천주교 성지 중 하나로써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1981년 9월 25일사적 제 288호로 지정되었다.

1970년대1980년대에는 대한민국의 군사정권에 항거하는 시위가 성당에서 몇 차례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임 신부 및 보좌신부가 경찰의 폭력에 노출되기도 하였다.[10]

1988년에는 원인 불명의 화재가 일어나 성당의 일부가 전소되는 등의 일도 겪었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의 일부 기독교 교회가 사회 봉사보다는 외연적 성장에 치중하는 것에 분노한 20대 청년 2명이 건물 정문에 반기독교적 낙서를 하였다가 붙잡혔다.[11]

2. 4. 민주화 운동

1970년대1980년대 대한민국의 군사정권 시기, 전동성당은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공간 중 하나였다. 당시 군사정권에 항거하는 시위가 성당에서 여러 차례 열렸으며, 이 과정에서 성당의 주임 신부와 보좌신부가 경찰의 폭력에 노출되는 등 탄압을 겪기도 했다.[10]

2. 5. 현대

1970년대1980년대에는 대한민국의 군사정권에 항거하는 시위가 성당에서 몇 차례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임 신부 및 보좌신부가 경찰의 폭력에 노출되기도 하였다.[10]

1988년에는 원인 불명의 화재가 일어나 성당의 일부가 전소되는 등의 일도 겪었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의 일부 기독교 교회가 사회 봉사보다는 외연적 성장에 치중하는 것에 분노한 20대 청년 2명이 건물 정문에 반기독교적 낙서를 하였다가 붙잡혔다.[11]

3. 건축

현재 전주시 안에 세워진 가장 오래된 성당이자, 호남 전체에서 최초로 세워진 로마네스크 양식 건물이다.[5] 1937년부터 1957년까지 천주교 전주교구의 주교좌성당이었으며, 건축물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영화 촬영지나 결혼식 장소로 자주 사용된다. 본당의 수호 성인은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이다.

성당 건물과 함께 있는 전동성당 사제관은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178호로 지정되어 있다.[13]

3. 1. 건축 양식

전동성당 야경모습


전동성당은 호남 지역 최초의 서양식 건물이다. 로마네스크 양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5], 중앙의 종탑과 양쪽 계단에는 비잔틴 양식의 뾰족 돔을 올렸다. 성당 내부의 석조 기둥에서도 비잔틴 양식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9]. 한국의 천주교회 건축물 가운데 곡선미가 가장 아름답고 웅장하며 화려한 건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2]

성당 건축에는 화강암을 주춧돌로 사용하고 붉은 벽돌로 벽을 쌓았다. 주춧돌로 쓰인 화강암은 성당 건축이 시작된 1908년 당시 대한제국을 간접 통치하던 일본 제국 통감부가 철거한 전주읍성의 풍남문 인근 성벽 돌을 가져와 사용한 것이다.[9] 벽돌의 일부 역시 헐린 성벽에서 나온 흙을 구워 만들었다.[9] 그 외 석재는 익산시 황등면 채석장에서, 목재는 승암산에서 가져와 사용하였다. 성당은 1908년에 짓기 시작하여 1931년에 최종적으로 완공되었다.

3. 2. 건축 재료

성당은 화강암을 주춧돌로 하여 붉은 벽돌로 지어졌다. 주춧돌로 사용된 화강암은 착공 시기인 1908년대한제국을 간접 통치하던 일본 제국 통감부가 헐어버린 전주읍성의 풍남문 인근 성벽 돌을 이용한 것이다.[9] 성당 벽을 구성하는 벽돌의 일부 역시 헐린 성벽에서 나온 흙을 구워 만들었다.[9] 그 외의 석재는 익산시 황등면의 채석장에서 가져왔으며, 목재는 승암산에서 벌채하여 사용하였다. 성당 건축은 1908년에 시작되어 1931년에 최종 완공되었다.

4. 현황

현재 전주시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이며, 호남 전체에서 최초로 세워진 로마네스크 양식 건물이다.[5] 1937년부터 1957년까지 천주교 전주교구의 주교좌성당이었으며, 건축물이 아름다워 영화 촬영지나 결혼식 장소로 자주 이용된다. 본당의 수호 성인은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이다.

4. 1. 관할 구역 및 신자 수

천주교 전주교구 3지구에 속해 있으며, 완산구의 여러 동을 관할하는 교회구의 중심 성당이다. 관할 구역은 아래와 같다.

전동성당 관할 구역
행정구역
완산구전동, 교동, 경원동, 풍남동, 남노송동, 동완산동, 서완산동, 중앙동, 다가동



교회구는 총 4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사목 활동을 하고 있으며, 현재 교회구 내 신자 수는 총 7,521명이다.

성당 부속 시설로는 성심유치원이 있으며, 근처에 전주성심여자중학교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가 있다.

4. 2. 부속 시설

성당에 부속된 시설로 성심유치원이 있으며, 근처에 전주성심여자중학교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가 세워져 있다.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Jeondong Church of the Sacred Heart of Jesus (Former Cathedral of Jeondong) http://www.gcatholic[...]
[2] 웹사이트 Jeondong Cathedral, Jeonju, Korea http://www.art-and-a[...] 2016-05-06
[3] 웹사이트 Jeondong Catholic Cathedral (전주 전동성당) http://english.visit[...] 2016-05-06
[4] 서적 Lonely Planet Kore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0-09-01
[5] 웹인용 전동성당 http://tour.jeonju.g[...] 2009-04-10
[6]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7] 웹인용 연혁 https://web.archive.[...] 2009-04-10
[8] 백과사전 보두네 http://info.catholic[...] 2008-04-10
[9] 뉴스 전주교구 전동성당 〈상〉 - 순교 1번지에 우뚝 선 신앙의 요람 http://web.pbc.co.kr[...] 가톨릭출판사 평화신문 2009-04-10
[10] 웹인용 연혁 https://web.archive.[...] 2009-04-10
[11] 뉴스 전주 전동성당 낙서범, 잡고 보니 http://www.chosun.co[...] 조선닷컴 2009-06-04
[12] 웹인용 문화유산정보 http://www.cha.go.kr[...] 2009-04-10
[13]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