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성천은 1913년 경상북도 예천군 출생으로, 일본 유학 후 미국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0년 조선신학원 교수를 시작으로, 남대문교회와 서울가리봉장로교회 목사를 역임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신학대학 교수와 기독교교육협회 총무를 지냈으며, 1959년 서울신문사 회장, 자유당 중앙정치위원회 부원장, 공보실장을 거쳤다. 4.19 혁명 이후 목회 활동과 사회 활동에 헌신하며, 경기도지평교회 목사, 광주대단지 사건 중재, 한국방송협회 회장, 기독교방송사 사장 등을 역임했다. 2007년 사망했으며, 저서로 《낙동강 소금배》, 《전성천 회고록:십자가 그늘에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공보실장 - 갈홍기
갈홍기는 일제강점기 일본기독교조선감리교단의 고위직을 지내며 황민화 운동에 참여한 목사이자, 해방 후 이승만 정부에서 공보처장과 외무부 차관을 역임한 관료로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어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신학자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일제강점기의 신학자 - 박용길
박용길은 '봄길'이라는 호를 사용한 대한민국의 여성운동가이자 통일운동가로, 목사이자 통일운동가인 문익환의 배우자로서 민주화 운동과 통일 운동에 헌신하며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공동의장, 통일맞이 칠천만겨레모임 이사장 등을 역임했고, 김일성 주석 1주기 추모 방북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 예천군 출신 - 김종창
김종창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금융인으로서 제7대 금융감독원장을 역임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금융 시스템 안정화, 기업 구조조정, 서민금융 지원 강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에 힘썼다. - 예천군 출신 - 현석호
현석호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관료로 활동하다 광복 후 기업인 및 정치인으로 활동한 인물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되었으나 해방 후 활동으로 인해 역사적 평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전성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전성천 |
원어 이름 | 全聖天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예천 |
국적 | 대한민국 |
종교 | 기독교 |
배우자 | 김옥 |
학력 | |
학사 |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교 |
석사 | 프린스턴 대학교 |
석사 및 박사 | 예일 대학교 |
경력 | |
대학교수 | 서울대학교 문리대 교수 한국신학대학 (前 조선신학원) 교수 |
언론 | 기독교방송 (CBS) 사장 서울신문사 회장 한국방송협회 회장 |
관료 | 제3대 대한민국 공보실장(문공부 장관) 및 정부대변인 |
2. 생애
하은(霞隱) 전성천은 1913년 경상북도 예천군 상락에서 태어났다. 1929년 일본으로 유학, 1934년 아오야마가쿠인에 입학했다.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고학으로 학업을 이어갔으며, 아오야마가쿠인 신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석사, 예일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시기 재미한인학생회 총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1]
1940년 조선신학원(한국신학대학의 전신) 교수가 되었고, 같은 해 남대문교회 전도사로 1942년까지 사역했다. 1942년 남대문교회 목사, 1943년부터 1947년까지 서울가리봉장로교회 목사로 재직하며 조선신학원 교수로도 활동했다. 1947년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신학대학 교수와 기독교교육협회 총무를 맡다가 1955년 서울대 교수직을 사퇴하고, 1년간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및 대학원 대우교수와 강사로 있었다.[1]
1959년 서울신문사 회장을 거쳐 자유당 중앙정치위원회 부원장, 한국아세아반공연합사무총장 등을 역임했다. 1960년 1월 공보실장(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임명되어 정부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이승만 대통령의 제의로 함께 일하게 되었으나,[1] 경향신문 폐간을 막지 못하고 자유당 인사들과의 마찰로 1960년 4월 7일 사퇴했다.[1] 같은 해 5월 자유당 후보로 서울 동대문 갑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
1961년 5월 3.15 부정선거 관련 혐의로 기소되었고,[3] 1962년 경향신문 폐간 관련 구속되었다가 2년 만에 출감했다. 민주공화당의 영입 제의를 거절하고 1964년 공덕동교회 목사와 한신대학교 강사가 되었다.[3] 같은 해 10월 경기도 지평교회 목사로 부임하여 1970년 10월까지 시무하였다.[3]
1970년 미국 대학의 교수 초빙을 사양하고, 1970년 12월 22일 경기도 광주군 광주대단지(현 성남시)의 성남장로교회 목사로 부임하였다.[3] 1971년 광주대단지 폭동 당시 시위대와 서울특별시 사이의 중재를 맡았고, '광주대단지 불하가격 시정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양측 중재를 담당했다.[3] 이후 판자촌 영세민 권익 보호를 위한 구호사업에 앞장섰다.[3]
한국방송협회 회장, 1975년 기독교방송사 사장, 1976년 정신박약자보호회 회장, 1976년 기독교세진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3] 1979년부터 장로교신학대학 강사, 1981년 장애자복지회 이사장을 지냈다.[3] 1991년 진부령을 개척, 그해 8월 진부령교회를 열고 초대 목사가 되었다.[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활동
하은(霞隱) 전성천은 1913년 경상북도 예천군 상락에서 출생했다. 1929년 2월 일본으로 유학, 1934년 아오야마가쿠인(靑山學院大學)에 입학했다.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간 그는 고학으로 학업을 시작하여 아오야마(靑山) 대학 신학부를 거쳐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석사, 예일 대학교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때 그는 재미한인학생회 총회장을 맡기도 했다.[1]1940년 조선신학원(한국신학대학의 전신) 교수가 되고, 그해 남대문교회 심방 담당 전도사가 되어 1942년까지 시무했다. 1942년 남대문교회 목사, 1943년부터 1947년까지 서울가리봉장로교회 목사로 재직하며 동시에 조선신학원 교수로 출강했다. 1947년 8월 14일 인천항을 출발하여 그해 8월 28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여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에 다녔다. 이후, 서울대학교 신학대학 교수와 기독교교육협회 총무를 맡다가 1955년 서울대 교수직을 사퇴하고 그 해부터 1년간 서울대학교 문리대학과 문리과대학원 대우교수와 강사로 출강하였다.[1]
2. 2. 정치 활동과 4.19 혁명
1959년 서울신문사 회장을 거쳐 자유당 중앙정치위원회 부원장, 한국아세아반공연합사무총장 등을 역임했다. 1960년 1월 13일 제3대 공보실장(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임명되어 정부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이승만 대통령은 그에게 함께 일해보자고 제의했고, 그는 이를 수락했다.[1] 공보실장 재직 중 경향신문 폐간을 막으려고 했으나 실패했고, 자유당 인사들과의 마찰 끝에 1960년 4월 7일 사퇴했다.[1] 그해 5월 자유당 후보로 서울 동대문 갑구에 출마했으나, 민주당 민관식 후보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1]2. 3. 4.19 혁명 이후 목회 및 사회 활동
1961년 5월 3.15 부정선거와 관련되었다는 이유로 제소당했다.[3] 1962년 경향신문 폐간과 관련하여 구속되었다가 2년 만에 출감했으며, 민주공화당으로부터 영입 제의를 받았으나 거절하였다.[3] 1964년 공덕동교회 목사와 한신대학교 강사가 되었다.[3] 그해 10월 경기도 지평교회 목사로 부임하여 1970년 10월까지 시무하였다.[3]1970년 미국 오하이오 주에 있는 한 대학으로부터 교수 초청장과 비행기표를 받았지만 사양하고, 1970년 12월 22일 경기도 광주군 광주대단지(현 성남시)의 성남장로교회 목사로 부임하였다.[3] 1971년 광주대단지 폭동 당시 시위대와 서울특별시 사이의 중재를 담당하다가 시위대의 대표자로 추대되어 '광주대단지 불하가격 시정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양측의 중재를 담당했다.[3] 이후 판자촌 영세민의 권익을 위한 구호사업에 앞장섰다.[3]
그 뒤 한국방송협회 회장, 1975년 기독교방송사 사장, 1976년 정신박약자보호회 회장, 1976년 기독교세진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3] 1979년부터 장로교신학대학에 강사로 출강하였고, 1981년 장애자복지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3] 1991년 진부령을 개척하여 그해 8월 15일 진부령교회를 열고 초대 목사가 되었다.[3]
3. 사후
시신은 성남교회에서 장례를 마친 뒤 경기도 용인시 기흥면의 선산에 안장되었다.[4]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전옥영 |
어머니 | 김남이 |
배우자 | 김옥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동양화가) |
아들 | 전영일 (미국 뉴욕갤러리 사장) |
아들 | 전영민 (미국 아름다운교회 장로) |
딸 | 전영희 |
사위 | 원의종 (주식회사 선리 부회장) |
딸 | 전영란 |
사위 | 남종원 (전 매경 부국장) |
딸 | 전영주 |
사위 | 이준수 (SKC 상무) |
딸 | 전영백 (홍익대 교수) |
조카 | 전광우 (금융위원장,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역임) |
다섯째 동생 | 전상근 (1927년 10월 18일 - ), 과학기술처 종합상황실장, 삼전복지재단 이사장 역임 |
5. 저서
- 《낙동강 소금배》 (현대문학사, 1976(초판)/1986(8판))
- 《전성천 회고록: 십자가 그늘에서》 (동영사, 2001)
참조
[1]
서적
실물로 만나는 우리들의 역사:민관식 컬렉션 탐험기
웅진씽크빅
2005
[2]
서적
실물로 만나는 우리들의 역사:민관식 컬렉션 탐험기
웅진씽크빅
2005
[3]
뉴스
영광·파란·곡절 뒤로한채…2007 스러진 인물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12-21
[4]
뉴스
前 CBS사장 전성천 목사 별세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7-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