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릉역은 2017년 9월 2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2곳이다. 주변에는 서울숭덕초등학교, 정릉2동행정복지센터, 국민대학교 등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석계역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와 노원구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대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이용객 수가 많다.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길음역
길음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지하역으로 1985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미아사거리역과 성신여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있지만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역 - 보문역
보문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6호선은 2000년, 우이신설선은 2017년에 개통되었으며, 섬식 및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성신여대와 고려대 인근에 위치한다.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역 - 신설동역
신설동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성수지선, 우이신설선 등 3개 노선의 환승역이며,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 2017년 개업한 철도역 - 평창역
평창역은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경강선 철도역으로, 2017년 12월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서울 및 강릉 방면 KTX가 운행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17년 개업한 철도역 - 신설동역
신설동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성수지선, 우이신설선 등 3개 노선의 환승역이며,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정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 정릉(국민대) |
한자 표기 | 貞陵驛 |
영어 표기 | Jeongneung (Kookmin University) |
로마자 표기 | Jeongneung-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139-80 (아리랑로 지하 122) |
운영 정보 | |
운영사 | 우이신설경전철 |
개업일 | 2017년 9월 2일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노선 정보 | |
노선 | 우이신설선 |
역 번호 | L10 |
영업 거리 | 북한산우이 기점 7.9 km |
인접 역 | 이전 역: L09 북한산보국문 (1.1 km) 다음 역: L11 성신여대입구 (1.2 km) |
기타 정보 | |
![]() |
2. 역사
- 2017년 3월 2일 : '''정릉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5][4]
- 2017년 9월 2일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3. 역 구조
지하역이며, 출구는 2곳이 있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역 주변
인근에 세계문화유산이자 사적인 정릉이 있으며, 이 지역 지명인 정릉동에서 역명을 따왔다. 부역명은 '''국민대입구'''이지만, 국민대학교 정문과는 약 2km 떨어져 있어 인근 서울숭덕초등학교 버스 정류장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국민대학교 정문은 북한산보국문역 2번 출구에서 더 가깝지만, 버스 환승 편의성 때문에 정릉역의 부역명으로 정해졌다.
역은 아리랑고개 입구 삼거리에 위치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길음역과는 약 1.1km 떨어져 있다.
5. 인접한 역
(북한산우이 방면)
(신설동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