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 환승역이다. 1985년 1월 14일 경원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0년 8월 7일 서울 지하철 6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1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6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주변에는 주거 지역과 학교가 밀집해 있으며, 광운대학교 등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길음역
길음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지하역으로 1985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미아사거리역과 성신여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있지만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보문역
보문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6호선은 2000년, 우이신설선은 2017년에 개통되었으며, 섬식 및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성신여대와 고려대 인근에 위치한다.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광운대역
광운대역은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환승역으로, 1939년 연촌역으로 개통, 1963년 성북역으로 변경, 2013년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과 함께 경춘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3면 5선의 지상역이다.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상계역
상계역은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1993년 당고개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으며, 지상에 위치한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역이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석계역 | |
---|---|
역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역명 | 석계역 |
한자 역명 | 석계역 |
로마자 역명 | Seokgye-yeok |
주소 | 월계동 36-4, 화랑로 341 (1호선) 월계동 25-4 (6호선) 노원구,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노선 | 경원선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1호선) 서울교통공사 (6호선) |
개업일 | 1985년 1월 14일 (1호선) 2000년 8월 7일 (6호선) |
구조 | 지상 (1호선) 지하 (6호선) |
승강장 | 1면 (1호선) 2면 (6호선) |
선로 | 2선 (1호선, 6호선) |
한국철도공사 역 정보 | |
역 번호 | 120 |
관리 | 광운대관리역 |
등급 | 3급 |
승강장 형태 | 섬식 승강장 |
영업 거리 | 연천역 기점 56.2km |
전역 | 광운대 |
전역 거리 | 1.1km |
후역 | 신이문 |
후역 거리 | 1.4km |
서울교통공사 역 정보 | |
역 번호 | 644 |
단말기 번호 | 2645 |
승강장 형태 | 상대식 승강장 |
영업 거리 | 응암역 기점 32.7km |
전역 | 돌곶이 |
전역 거리 | 1.0km |
후역 | 태릉입구 |
후역 거리 | 0.8km |
2. 연혁
- 1984년 7월 12일: 역사 신축 착공
- 1984년 12월 28일: 역사 신축 준공
- 1985년 1월 14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85년 1월 14일: 한국철도공사(당시 한국국철) 경원선의 역으로 개업
- 2000년 8월 7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봉화산 구간 개통으로 6호선 역 영업 개시, 환승역이 됨
- 2002년 12월 15일: 1호선(경원선) 승강장 확장 공사로 인해 하행(인천방향) 승강장 이전
- 2004년: 1호선(경원선) 승강장 확장 공사 완료
-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의 분할과 함께 공사화되어 한국철도공사의 역이 됨
- 2005년 12월 15일: 용산~성북 구간 계통 폐지
- 2005년 12월 21일: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21에서 120으로 변경
- 2008년 4월 30일: 6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10년: 한국철도공사 석계역 스크린도어 설치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6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2. 1. 1호선
1985년 1월 14일 한국철도공사(당시 한국국철) 경원선의 역으로 개업하였다. 역 번호는 120이다. 2000년 8월 7일 6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2002년 12월 15일 경원선 승강장 확장 공사를 위해 하행(인천 방면) 승강장을 이동했다가, 2004년 공사가 완료되었다.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의 분할과 함께 공사화되어 한국철도공사의 역이 되었으며, 2005년 12월 15일 용산~성북 구간 계통이 폐지되었다.[1]- - 경원선(1호선)
2. 2. 6호선
2000년 8월 7일 서울도시철도공사 6호선 역이 개업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1] 6호선의 역 번호는 644이다.[1] 2017년 5월 31일 서울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6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1]3. 역 구조
석계역은 한국철도공사 경원선(1호선)과 서울교통공사 6호선의 환승역이다. 1호선은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추고 있으며,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6호선은 지하역으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으며,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역 동측으로는 망우선이 지나가지만, 승강장이 없어 경춘선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1호선 개찰구는 1곳, 6호선 개찰구는 3곳, 화장실은 개찰구 안에 1곳 있다.
3. 1. 1호선 승강장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섬식 승강장으로는 유일하게 확장공사를 한 적이 있는 역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 방향(중랑천 쪽)으로는 이문차량사업소, 망우선과 연결되는 선로가 있으며, 일부 화물열차와 전동열차의 회송 선로로 운용된다.[1]
3. 2. 6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3곳, 화장실은 개찰구 안에 1곳 있다.
4. 역 주변
석계역 주변은 주거 지역과 학교가 밀집해 있다. 인근에는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광운중학교, 광운초등학교, 남대문중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선곡초등학교, 석관고등학교, 광운대학교 등이 있다. 이외에도 두산아파트, 월계동풍림아이원아파트, 월계동현대아이파크아파트,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등 주거 시설과 우이천, 성북구도시관리공단 성북종합레포츠타운, 성북청소년수련관, 월계1동행정복지센터, 현대자동차 성북출고센터 등이 있다.
5. 이용객 변동
6호선한국어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6]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6,737 | 19,037 | 17,319 | 17,259 | 12,926 | 20,234 | 19,197 | 19,022 | 18,953 | 18,611 | [5] | ||
하차 | 7,217 | 17,866 | 18,953 | 20,436 | 14,039 | 20,995 | 19,578 | 19,294 | 19,012 | 19,194 | ||||
6호선 | 승차 | 6,234 | 10,827 | 13,225 | 14,578 | 14,458 | 14,704 | 15,331 | 15,071 | 14,997 | 14,566 | [6] | ||
하차 | 5,440 | 9,790 | 12,292 | 13,990 | 14,008 | 14,525 | 14,864 | 14,477 | 14,325 | 14,078 | ||||
승하차 | 11,674 | 20,617 | 25,517 | 28,568 | 28,466 | 29,228 | 30,194 | 29,547 | 29,322 | 28,644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승차 | 18,033 | 18,153 | 18,049 | 18,449 | 18,312 | 17,871 | 17,358 | 16,753 | 15,925 | 15,842 | 11,735 | 11,361 | [5] |
하차 | 19,034 | 19,263 | 19,108 | 19,578 | 19,357 | 18,933 | 18,464 | 17,805 | 16,993 | 16,913 | 12,651 | 12,332 | ||
6호선 | 승차 | 14,430 | 14,479 | 14,320 | 14,255 | 14,184 | 13,814 | 13,467 | 13,315 | 13,358 | [6] | |||
하차 | 14,207 | 14,283 | 14,199 | 14,292 | 14,230 | 13,970 | 13,549 | 13,381 | 13,490 | |||||
승하차 | 28,637 | 28,762 | 28,519 | 28,547 | 28,414 | 27,784 | 27,016 | 26,696 | 26,848 |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석계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9-24
[2]
웹사이트
석계역
http://terms.naver.c[...]
KRIC
2015-09-24
[3]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4]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5]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09
[6]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