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동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설동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성수지선, 그리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환승역이다.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1980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2017년 9월 2일 우이신설선 개통으로 3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1호선은 섬식 승강장, 2호선 성수지선은 상대식 승강장, 우이신설선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신이문역
신이문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상의 역으로, 이문역과의 이름 중복을 피해 명명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광운대, 의정부, 청량리, 서울, 인천 방면 열차가 운행되고 이문동 주변 지역과 인접해 있다.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역 - 보문역
보문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6호선은 2000년, 우이신설선은 2017년에 개통되었으며, 섬식 및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성신여대와 고려대 인근에 위치한다.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역 - 성신여대입구역
성신여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지나는 환승역으로, 1985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성신여자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상업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신설동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신설동역 |
로마자 표기 | Sinseol-dong-yeok |
한자 표기 | 新設洞驛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 97-75, 왕산로 지하 1 |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1980년 10월 31일 (서울 지하철 2호선) 2017년 9월 2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운영 기관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우이신설경전철 |
노선 정보 | |
노선 | |
역 번호 | 1호선: 126 2호선: 211-4 우이신설선: L13 |
승강장 및 구조 | |
승강장 | 4 |
선로 | 4 |
구조 | 지하 |
이용객 정보 |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1호선: 34,041명 2호선: 7,372명 |
1호선 정보 | |
1호선 코드 | 0156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연천역 기점 62.5km |
이전 역 | 125 제기동역 |
이전 역과의 거리 | 0.9km |
다음 역 | 127 동묘앞역 |
다음 역과의 거리 | 0.7km |
2호선 (성수지선) 정보 | |
2호선 코드 | 0246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성수역 기점 5.4km |
이전 역 | 211-3 용두역 |
이전 역과의 거리 | 1.2km |
우이신설선 정보 |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북한산우이역 기점 11.0km |
이전 역 | L12 보문역 |
이전 역과의 거리 | 1.0km |
인접 역 정보 | |
1호선 | 이전 역: 제기동역 다음 역: 동묘앞역 다음 역 (인천 방향): 인천 다음 역 (신창/서동탄 방향): 신창 또는 서동탄 이전 역 (의정부/광운대 방향): 의정부 또는 광운대학교 |
2호선 (성수지선) | 이전 역: 용두역 |
우이신설선 | 이전 역: 보문역 |
추가 정보 | |
![]() |
2. 역사
wikitext
날짜 | 내용 |
---|---|
1974년 8월 15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80년 5월 28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역명을 구청앞역(區廳앞驛)으로 결정[3] |
1980년 8월 28일 | 2호선 역명을 구청앞역에서 신설동역으로 변경[4] |
1980년 10월 3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종합운동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 당시 2호선 본선 시발역으로 종합운동장역까지 직통 운행. |
1982년 12월 23일 | 2호선 운행 구간을 교대역까지 연장. |
1983년 9월 16일 | 2호선 을지로 구간 개통에 따라 교대역 방면 직통 운행 폐지, 성수역까지의 성수지선으로 분리 운행. |
2005년 1월 1일 | 운영사인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사명 변경. |
2005년 10월 20일 | 용두역 개업으로 2호선 역번호 변경 (211-3 → 211-4) |
2005년 12월 21일 |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 변경 (127 → 126) |
2017년 5월 31일 |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통합, 서울교통공사 출범. 1, 2호선 역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 |
2017년 9월 2일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북한산우이) 개통으로 3개 노선 환승역이 됨. |
2. 1. 개요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1980년 10월 31일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개통하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도시 철도 노선 간 환승역이 되었다. 2호선 개통 초기에는 역명을 '''구청앞역'''으로 정했으나[3], 개통 직전인 1980년 8월 28일 현재의 '''신설동역'''으로 변경했다.[4] 당시 2호선은 본선의 시발역으로 종합운동장역까지 직통 운행했으나, 1983년 9월 16일 을지로 구간 개통 이후 본선과 분리되어 성수역까지만 운행하는 성수지선으로 변경되었다.2005년에는 주변 역 개통에 따라 역 번호가 변경되었다. 10월 20일 용두역 개업으로 2호선 역 번호가 211-3에서 '''211-4'''로, 12월 21일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 번호가 127에서 '''126'''으로 각각 변경되었다. 2017년 9월 2일에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개통하면서 1호선, 2호선 성수지선, 우이신설선의 3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우이신설선의 역 번호는 '''S212'''이다.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는 입고 시 지하 3층 승강장을 이용하고, 출고 시에는 성수지선을 통과한다. 심야 시간에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열차 2편성이 이 역에서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선로는 성북천 아래를 지나는 하저터널로 제기동역과 연결되며, 성수지선 선로는 정릉천과 성북천 하저터널을 통해 용두역과 연결된다.
2. 2. 1호선 개통과 초기 역사 (1974년 ~ 1980년)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당시 종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역 중 하나였으며, 초기에는 1호선 단독 역으로 운영되었다.1980년 5월 28일, 개통 예정인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명을 '''구청앞역'''(區廳앞驛)으로 결정했으나[3], 같은 해 8월 28일에 현재의 '''신설동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4] 이후 1980년 10월 31일, 서울 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신설동 ~ 종합운동장)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당시 2호선은 신설동역이 시종착역이었으며, 종합운동장역까지 직통 운행했다.
2. 3. 2호선 개통과 환승역 시대 (1980년 ~ 2005년)
1980년 5월 28일, 서울 지하철 2호선 계획 당시 이 역의 이름은 인근 동대문구청의 이름을 따 구청앞역(區廳앞驛)으로 정해졌다.[3] 그러나 같은 해 8월 28일, 역명은 현재와 같은 신설동역으로 변경되었다.[4]1980년 10월 31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 ~ 종합운동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신설동역은 1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도시철도 역사상 최초의 노선 간 환승역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개통 초기 2호선은 신설동역을 기점으로 하여 종합운동장역까지 직통 운행하였다.
1982년 12월 23일, 2호선은 교대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하지만 1983년 9월 16일, 2호선 을지로 구간이 개통되면서 순환선 운행 체계가 갖춰짐에 따라, 신설동역에서 교대역 방향으로 직통 운행하던 방식은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신설동역에서 출발하는 2호선 열차는 성수역까지만 운행하는 성수지선으로 분리되었다.
2005년 1월 1일에는 운영 주체인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10월 20일, 성수지선에 용두역이 새로 개업하면서 신설동역의 2호선 역 번호는 기존 211-3에서 211-4로 변경되었다. 또한, 12월 21일에는 1호선 동묘앞역이 개업하면서 1호선 역 번호도 기존 127에서 126으로 변경되었다.
2. 4. 우이신설선 개통과 현재 (2005년 ~ 현재)
-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하였다.
- 2005년 10월 20일: 용두역 개업으로 2호선 역번호가 211-3에서 211-4로 변경되었다.
- 2005년 12월 21일: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27에서 126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1호선과 2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 2017년 9월 2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 ~ 북한산우이 구간 개통과 함께 3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대한민국 최초의 타 도시 철도 노선 간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세 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1호선 전동차가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할 때는 지하 3층 승강장을, 출고할 때는 성수지선을 통과한다. 심야에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2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성북천 하저터널로 제기동역과 연결되고, 성수지선은 정릉천, 성북천 하저터널로 용두역과 연결된다.
현재 성수지선 승강장 아래 지하 3층에는 사용하지 않는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 있다. 이 승강장은 '유령 승강장'으로 불리며,[6] 과거 군자차량사업소 완공 전까지 1호선 전동차 정비소로 사용되었고, 1980년 2호선 개통 전까지는 입·출고용 선로로만 사용되었다.[5] 현재는 누수 문제로 사용이 중지되었으나, 동묘앞역 방면 1호선 연결선과 직결되어 1호선 전동차의 군자차량사업소 입고 시 통과 경로로 이용된다.[6]
2호선 승강장은 본래 5호선 '''구청앞역'''으로 계획되었으나, 구자춘 전 시장의 2호선 순환선 계획 변경으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현재 성수지선 승강장은 당시 건설된 5호선용 승강장을 개축한 것이다.
개찰구는 총 4곳이 있으며(1호선 동쪽 개찰구를 상하행 각각 계산 시 5곳), 출입구는 12개가 있다.[7] 1번~10번 출입구는 용신동에, 11·12번 출입구는 숭인동에 있다. 모든 노선 승강장에는 별도의 승강장 번호가 없다.
3. 1. 개요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총 3개 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각 노선은 모두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1호선과 2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우이신설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위치한다.[5] 1호선, 2호선, 우이신설선 간 환승은 환승 통로를 통해 이루어진다.운영 기관 및 노선별 역 번호는 다음과 같다.
- 서울교통공사
- * -- 1호선 - 역 번호는 '''126'''
- * -- 2호선 (성수지선) - 역 번호는 '''211-4'''
- 우이신설경전철
- * -- 우이신설선 - 역 번호는 '''S212'''
출입구는 총 12개가 있다.[7] 1번부터 10번 출입구는 용신동에 있고, 11번과 12번 출입구는 숭인동에 있다.
3. 2. 1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곡선 형태인 상대식 승강장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2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서쪽에 있는 계단을 이용해 환승 통로를 거쳐야 한다.
3. 3. 2호선 성수지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8]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성수지선은 정릉천, 성북천 하저터널로 용두역과 연결된다.승강장 구조 | |
---|---|
상행 ↓ 용두 | |
하행 시·종착 |
이 역은 회차 방식이 상당히 특이하다. 당역 종착 열차는 하선(당역 종착) 승강장에 진입하여 승객을 모두 하차시킨 후, 성수 방면으로 출발하여 선로를 변경한다. 그 후 행선지를 성수행으로 변경하고 상선(성수 방향) 승강장에 진입하여 승객을 태운 뒤, 다시 성수 방면으로 출발한다. 이는 일반적인 회차역과 달리 방향 전환을 세 번 하는 방식이다.[5] 이러한 방식은 회차용 건넘선이 성수 방면에만 있고 당역 종착 방면 선로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2010년까지는 당역 종착 열차가 바로 상행(성수 방향) 승강장으로 진입하고 하행(당역 종착) 승강장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나, 2011년부터 성수지선 승객 증가로 인한 열차 증편 운행으로 당역 종착 열차는 반드시 하행(당역 종착) 승강장에 진입하게 되었다.
현재 성수지선 승강장 아래 지하 3층에는 사용하지 않는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 있다. 이 승강장은 일명 '유령 승강장'이라고 불리며,[6] 군자차량사업소가 완공되기 전까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의 정비소로 사용되었다. 군자차량사업소 완공 후 성수지선과 연결되었고, 1980년 10월 31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종합운동장역 구간 개통 전까지는 입·출고용 선로로만 사용되었다.[5] 현재는 누수가 자주 발생하여 사용이 중지된 상태이며, 이 승강장의 선로는 동묘앞역 동측에서 분기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연결선과 직결되어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가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할 때 통과하는 경로로 이용된다.[6]
2호선 승강장은 당초 양택식 전 시장 재임 시기에 1호선과 환승되지 않는 별개의 역인 5호선 '''구청앞역'''(區廳앞驛)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이후 취임한 구자춘 전 시장이 을지로~왕십리 구간에 불과하던 2호선을 대규모 순환선으로 전환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현재 성수지선에 사용되는 승강장은 당시 건설된 5호선용 승강장을 개축하여 사용하고 있다.
3. 4. 우이신설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9] 심야에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2편성이 주박한다.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3. 5. 환승
(해당 섹션 제목에 부합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어, 작성할 수 없습니다.)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27,593 | 23,320 | 21,365 | 20,575 | 20,841 | 20,641 | 17,318 | 16,547 | 16,736 | 17,521 | [10] |
하차 | 28,559 | 24,266 | 21,804 | 20,549 | 20,221 | 19,910 | 16,772 | 15,987 | 16,590 | 17,210 | ||
승·하차 | 56,152 | 47,586 | 43,169 | 41,124 | 41,062 | 40,551 | 34,089 | 32,534 | 33,326 | 34,730 | ||
2호선 (성수지선) | 승차 | 4,371 | 4,476 | 4,437 | 4,403 | 4,576 | 4,343 | 4,032 | 4,084 | 4,428 | 4,022 | |
하차 | 4,678 | 4,713 | 4,733 | 4,776 | 4,913 | 4,602 | 4,214 | 4,189 | 4,251 | 3,976 | ||
승·하차 | 9,049 | 9,189 | 9,170 | 9,179 | 9,489 | 8,944 | 8,246 | 8,273 | 8,679 | 7,998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각주 | ||
1호선 | 승차 | 17,855 | 17,950 | 17,350 | 16,807 | 17,006 | 16,934 | 16,486 | 15,870 | 16,016 | [10] | |
하차 | 17,401 | 17,344 | 17,015 | 16,423 | 16,684 | 16,510 | 16,148 | 15,502 | 15,668 | |||
승·하차 | 35,256 | 35,294 | 34,365 | 33,230 | 33,690 | 33,444 | 32,634 | 31,372 | 31,684 | |||
2호선 (성수지선) | 승차 | 3,903 | 3,775 | 3,800 | 3,929 | 4,209 | 4,009 | 4,090 | 4,135 | 4,506 | ||
하차 | 3,918 | 3,812 | 3,683 | 3,859 | 4,033 | 3,860 | 3,844 | 3,939 | 4,334 | |||
승·하차 | 7,821 | 7,587 | 7,483 | 7,788 | 8,243 | 7,869 | 7,934 | 8,074 | 8,840 |
6. 사진
7. 인접한 역
; 서울교통공사
: -- 1호선
:: 제기동(125) - '''신설동'''(126) - 동묘앞(127)
: -- 2호선 (성수지선)
:: 용두(211-3) - '''신설동'''(211-4)
; 우이신설경전철 주식회사
: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보문(S121) - '''신설동'''(S122)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2013-10-15
[2]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3]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181호
http://event.seoul.g[...]
1980-05-28
[4]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309호
http://event.seoul.g[...]
1980-08-28
[5]
뉴스
신설동 지하 유령역, 스크린에서 깨어날까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11-16
[6]
웹인용
[지하철톡톡]신설동 유령 승강장을 아시나요?
https://web.archive.[...]
2017-12-07
[7]
일반
[8]
일반
[9]
일반
[10]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