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정부2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정부24는 대한민국 정부가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정부 서비스와 정책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한다. 2009년 대한민국정부포털 구축을 시작으로, 2018년 민원24 서비스를 통합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요 기능으로는 정부 서비스, 민원24, 정책 정보 제공이 있으며,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한다. 정부24는 다양한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며, 디지털원패스를 통해 전자정부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자정부 - 공공 마이데이터
    공공 마이데이터는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인이 자신의 행정 정보를 활용하여 제3자에게 전송하거나 활용 동의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다양한 기관의 개별 및 묶음정보를 통해 국민 편의와 행정 효율성을 증진시킨다.
  • 대한민국의 전자정부 - 국민비서
    국민비서는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챗봇, 인공지능 스피커, 카카오톡, 문자 메시지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맞춤형 행정 정보를 제공하며, 2020년 정식 서비스 시작 후 '구삐' 마스코트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 청소년증
    청소년증은 만 9세에서 18세 사이의 대한민국 국민에게 발급되는 신분증으로,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며, 2017년부터 교통카드 기능이 추가되어 대중교통 이용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인터넷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개인정보 보호, 정보통신망의 건전하고 안전한 이용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법률로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임과 이용자의 권리, 불법정보 유통 금지 등을 규정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인터넷 -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09년 7월에 설립되었으며, 감사실, 원장 직속 부서, 경영기획본부, 정보보호산업본부, 인터넷서비스지원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정부24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부24 로고
정부24 로고
URL정부24 웹사이트
종류포털 사이트
회원 가입선택 사항
언어한국어
소유자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제작자대한민국 행정안전부
현재 상태운영 중
이전 웹사이트 (폐지)
이름대한민국정부포털 (폐지)
대한민국정부포털 로고
대한민국정부포털 로고
주소대한민국정부포털 웹사이트 (폐쇄됨)
모바일 주소대한민국정부포털 모바일 웹사이트 (폐쇄됨)
종류포털 사이트
시작일2009년
국가대한민국
소유자대한민국 행정자치부
제작자대한민국 행정자치부
현재 상태폐지됨

2. 연혁

2. 1. 대한민국정부포털


  • 2009년 2월: 대한민국정부포털 구축을 위한 BPR/ISP 수립
  • 2010년 6월: 주제별 특화서비스, 파워검색, 행정정보서비스 등 개발
  • 2011년 12월: 검색기능 고도화,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홈(m.korea.go.kr) 구축
  • 2012년 ~ 2013년: 대한민국정부포털 이용활성화 사업 추진
  • 2014년 3월: 주요 웹사이트 및 기관담당자를 통한 정책서비스 수집
  • 2014년 10월: 정책정보 중심의 정부포털 오픈

2. 2. 민원24

2018년 7월 26일 정부24 개편으로 기존 민원24 서비스가 통합되었다.[3]

3. 주요 기능

정부24는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제공하는 정부 서비스와 정책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며, 크게 정부서비스, 민원24, 정책정보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4]


  • '''정부서비스''': 중앙부처, 지자체 등에서 제공하는 정부 서비스를 통합하여 안내한다.
  • '''민원24''': 온라인 민원처리 서비스이다.
  • '''정책정보''': 주요 정책 포털 등을 링크로 안내하고 정책 정보를 모아서 안내하고 있다.


맞춤형 서비스로는 '''나만의 혜택찾기''', '''연령, 대상별 혜택찾기''', '''나의 생활정보서비스''', '''생애주기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4]

3. 1. 정부서비스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등 13,900여 개 사이트에서 제공하던 총 7만여 건의 정부서비스를 한 곳으로 통합하여 제공한다.[4] 통합검색 및 단계별 맞춤검색 기능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4]

3. 2. 민원24

민원24는 기관 방문 없이 PC나 모바일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민원서류를 신청, 발급받을 수 있는 온라인 민원처리 서비스이다. 전체 5천여 종의 민원이 안내되고 있으며, 이 중 정부24를 통해 1,500종의 민원 신청이 가능하다. 연간 1,200만 명이 이용하고 있으며, 주민등록표등초본, 건축물대장, 토지대장, 납세증명, 지적도 등의 민원 발급 처리가 온라인 민원사무 이용률의 90%를 차지하고 있다.[4]

3. 3. 정책정보

국가정책연구포털, 정책브리핑 등 주요 정책 포털 9개의 링크를 제공하며 정부 소식, 문화 축제, 기관 정보 등의 정책 정보를 모아서 안내하고 있다.[4]

3. 4. 맞춤형 서비스

나이, 성별 등 3단계 질의응답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안내해주는 '''나만의 혜택찾기''', 연령, 대상 특성, 원하는 혜택 종류를 선택하면 해당 조건에 맞는 서비스를 추천하는 '''연령, 대상별 혜택찾기''', 공인인증서 로그인으로 휴면예금, 병역, 운전, 세금 등 42종의 개인이 확인할 수 있는 생활정보를 알려주는 '''나의 생활정보서비스''', 출산부터 노후까지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는 '''생애주기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4]

4. OS 범용성

정부24는 웹 기반 서비스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뿐만 아니라 리눅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등 다양한 운영 체제(OS)를 지원한다.[5]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등 다양한 웹 브라우저 환경도 지원한다.[5] 이러한 OS 범용성 지원 기술은 2015년 국세청홈택스를 통해 먼저 선보였다.[6][7]

5. 디지털원패스

행정안전부는 2019년부터 개인이 아이디 하나로 다양한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원패스를 확대 시행하고 있다.[8][9] 이러한 기술은 OS 범용성이나 웹 기술력의 독립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정부24 개통 시연하는 김부겸 장관 https://news.naver.c[...] 2017-07-26
[2] 뉴스 온라인 민원 창구 하나로…‘정부24’ 개통 http://www.hani.co.k[...] 2017-07-26
[3] 뉴스 '정부24' 전면 개편…행안부, 27일 공식서비스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8-07-26
[4] 웹인용 정부민원포털 민원24 서비스 이용현황 http://www.index.go.[...] 2017-08-10
[5] 웹사이트 행정안전부-정부24소개 https://www.gov.kr/p[...]
[6] 웹사이트 국세청 홈텍스 https://www.hometax.[...]
[7] 뉴스 "우수한 한국 기록문화 알리고 전자정부 노하우 다른나라와 공유하는 기회로"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8] 뉴스 아이디 하나로 정부 서비스 간편 로그인…'디지털원패스' 확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9] 웹사이트 디지털원패스 공식사이트 https://www.onepas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