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선 필 인왕제색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선 필 인왕제색도는 조선 영조 27년(1751)에 정선이 그린 진경산수화의 대표작이다. 평생의 벗이었던 이병연의 병을 위로하기 위해 그의 집을 방문하여 인왕산의 풍경을 담았다. 검은 먹을 사용하여 비 온 뒤 인왕산의 기암괴석을 표현하고, 바위 틈새를 흰 선으로 나타내 사실성을 더했다. 해방 이후 서예가 손재형이 수집했으나, 이후 이병철에게 매각되어 호암미술관에 보관되었으며, 현재는 리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선 그림 -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는 정선이 그린 가을 내금강 그림으로, 비홍교 등 주요 경물과 건축물을 통해 당시 내금강의 모습을 보여주며 금강전도와 함께 정선의 대표적인 금강산 그림으로 꼽히고, 진경산수화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계기가 된다.
  • 정선 그림 - 정선 필 금강전도
    정선 필 금강전도는 정선이 1734년에 실경을 바탕으로 그린 금강산 전도로, 그의 독특한 화법과 진경산수화풍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서울특별시의 국보 -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1443년에 세종에 의해 창제된 한국의 고유 문자로, 한글의 창제목적, 원리, 사용법 등을 담은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1446년에 반포되었으며,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로 평가받는다.
  • 서울특별시의 국보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김대성이 발원하여 조성된 불상으로, 이상적인 비례와 사실적인 옷 주름, 아미타정인 중 상품하생인의 수인, 주형 광배와 연화대좌를 갖추고 있으며, 명문을 통해 8세기 신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정선 필 인왕제색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작품 정보
정선 필 인왕제색도
정선 필 인왕제색도
제목인왕제색도
원어 제목Inwangjesaekdo (인왕제색도)
화가정선
제작 연도1751년
종류잉크, 종이
크기가로 138.2 cm, 세로 79.2 cm
소장호암미술관
문화재 지정 정보
지정 종류국보
지정 번호216호
지정일1984년 8월 6일
소유자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2. 제작

정선이 《인왕제색도》를 그린 것은 조선 영조 27년(1751년)으로, 진경산수화의 대표작이다.[3][4] 검은 먹을 사용해 비온 뒤 인왕산의 기암괴석을 그리고, 바위 틈새를 흰 선으로 표현하여 사실감을 더했다. 정선의 진경산수는 북종화와 남종화를 종합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5]

2. 1. 제작 배경

정선이 《인왕제색도》를 그린 때는 조선 영조 27년인 1751년이다. 이때 정선의 나이는 76세였다. 정선의 《인왕제색도》는 평생을 사귄 벗이었던 이병연이 병에 걸려 위중해지자 그의 집을 방문하여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정선의 《인왕제색도》는 관념적인 풍경이 아닌 실제 풍경을 화폭에 담는 진경산수화의 대표작이다.[4] 검은 먹을 사용해 비온 뒤 인왕산의 기암괴석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바위 틈새를 흰 선으로 표현해 사실감을 더했다. 정선의 진경산수는 북종화와 남종화를 종합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5]

2. 2. 화풍

정선이 《인왕제색도》를 그린 때는 조선 영조 27년인 1751년으로, 당시 정선의 나이는 76세였다. 정선의 《인왕제색도》는 평생을 사귄 벗이었던 이병연이 병에 걸려 위중해지자 그의 집을 방문하여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인왕제색도》는 관념적인 풍경이 아닌 실제 풍경을 화폭에 담는 진경산수화의 대표작이다.[4] 검은 먹을 사용해 비온 뒤 인왕산의 기암괴석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바위 틈새를 흰 선으로 표현해 사실감을 더했다. 정선의 진경산수는 북종화와 남종화를 종합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5]

3. 소장

인왕제색도》는 리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1]

3. 1. 손재형과 이병철

해방 직후 서예가였던 손재형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등 다른 국보급 미술품과 함께 《인왕제색도》를 수집하였다가 경제적인 이유로 삼성의 이병철 전 회장에게 매각하였다. 이병철은 자신의 호를 딴 호암미술관을 개장하면서 《인왕제색도》를 호암미술관에 보관하였고, 현재는 호암미술관에서 이름을 바꾼 리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4. 인왕산을 그린 다른 작품

강희언은 인왕산의 모습을 진경산수로 그린 강희언의 인왕산도를 남겼다.

4. 1. 강희언의 인왕산도

강희언의 인왕산도 (18세기)는 강희언이 봄에 도화동에서 바라본 인왕산의 모습을 그린 진경산수화이다.

참조

[1] 백과사전 정선 필 인왕제색도 (鄭敾 筆 仁王霽色圖)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28
[2] 웹사이트 '이건희 상속세' 12조…1조 의료기부, 2만점 미술품 국민 품으로 https://www.donga.co[...] 2021-04-28
[3] 서적 청소년을 위한 한국 미술사 두리미디어 2005
[4] 서적 한국의 문화유산 디지털교보문고 2008
[5] 서적 역사스페셜 3 효형출판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