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언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언각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1533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 홍문관 직제학 등을 거쳤으며,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1547년 부제학으로 재임하며 정미사화를 일으켰으며, 이후 전라도 관찰사, 경기도 관찰사, 호조 참판 등을 역임했다. 1556년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2. 생애

정언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동래, 자는 경보(慶甫)이다. 문종의 딸 경혜공주의 남편 정종은 그의 종고조부의 아들이다.

1516년(중종 11) 생원이 되고, 1533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1] 예문관, 홍문관 등에 근무하였다. 경연과 시강원에서 학문과 교육을 담당하였고, 사헌부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으나 여러 차례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간관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1546년(명종 1) 직제학으로 춘추관 편수관을 겸하여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1], 1547년에는 선위사로서 일본 사신을 접대하고 무역 협상을 맡았다. 같은 해, 양재역 벽서 사건을 일으켜 정미사화의 발단이 되었다.[2]

이후 전라도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였고, 1550년 한성부우윤, 1551년 전라도관찰사, 1552년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3] 1553년 경상도관찰사, 1555년 호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556년 8월 23일, 낙마 사고로 인한 상처로 사망하였다.[4]

2. 1. 초기 생애

할아버지는 철원도호부사를 지내고 증 가선대부 도승지 경연참찬관에 추증된 정연경(鄭延慶)이며, 아버지는 성균관진사로 사후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동지의금부사와 증 이조판서에 추증된 어은 정희검(漁隱 鄭希儉)이고, 어머니는 평산 신씨로 생원 신승준의 딸이다. 조선 연산군 때의 문신 정희량은 그의 백부가 된다. 문종의 딸 경혜공주의 남편 영양위 정종은 그의 종고조부 정충경의 아들이다. 좌찬성 대제학을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된 정도공 정역의 5대손이다.

숙부 허암 정희량이 자신의 어머니이자 그의 할머니 청주 경씨의 묘소 시묘살이를 하다가 실종된 후, 아버지 정희검은 친형 정희량을 의관장을 하다가 고양에 설단하고 봉제사하였다. 부인은 고령 신씨로 신공제의 셋째 딸이며, 신숙주의 종증손녀가 된다.

1516년(중종 11) 생원이 되고, 1533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1]

2. 2. 관료 생활

1516년(중종 11) 생원이 되고, 1533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1]

처음 예문관에 뽑혔다가 얼마 후 홍문관에 발탁되었다. 다시 예문관검열이 되었다가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체직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경연에 있었고 여러번 시강원에 옮겨 임명되었으며, 네 차례나 조정의 기강을 진작시키고 여섯 차례나 간관의 임무를 다하였다. 인종 때 홍문관 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으로 춘추관 편수관을 겸임하여 중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546년(명종 1) 직제학으로 춘추관편수관을 겸하여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사옹원정·검상·사인 등을 지냈다. 1547년 일본 사신 안심동당이 조선에 찾아오자, 선위사가 되어 무역 협상을 맡아보았다.

1550년 한성부우윤, 1551년 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1552년 동지중추부사 재임 시절 성절사가 되어 명나라 북경에 다녀왔다.[3] 1553년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했다. 1555년 호조 참판이 되었다.

이후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고, 1556년 8월 23일 졸하였다.[4] 낙마 사고 후 말발굽으로 인한 상처가 나 사망했다 한다.

2. 2. 1. 정미사화

1547년 부제학으로 재임 중 전라도 양재역(良才驛)에서 문정왕후와 이기 등을 비난하는 내용의 벽서를 발견하고 왕에게 바쳐 정미사화를 일으켰다.[2] 이후 전라도관찰사, 1549년 경기도관찰사를 지냈다.

2. 3. 지방관 생활과 죽음

1546년(명종 1) 직제학으로 춘추관 편수관을 겸하여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사옹원정·검상·사인 등을 지냈다.[1] 1547년 일본 사신 안심동당이 조선에 찾아오자, 선위사가 되어 무역 협상을 맡아보았다.

1547년 부제학으로 재임 중에 전라도 양재역에서 문정왕후와 권신 이기 등을 비난하는 내용의 벽서를 발견하고 왕에게 바침으로써 정미사화를 일으켰다.[2] 이후 전라도관찰사, 1549년 경기도관찰사를 지냈다.

1550년 한성부우윤, 1551년 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1552년 동지중추부사 재임 시절 성절사가 되어 명나라 북경에 다녀왔다.[3] 1553년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했다. 1555년 호조참판이 되었다.

이후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고, 1556년 8월 23일 졸하였다.[4] 낙마 사고 후 말발굽으로 인한 상처가 나 사망했다 한다. 사후 시신은 그해 10월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부곡리 서쪽, 내서산 은행정(銀杏亭) 자좌(子坐)에 쌍분으로 매장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정연경(鄭延慶)
아버지정희검(鄭希儉)1472년 11월 11일 ~ 1544년
어머니평산 신씨1473년 2월 ~ 1527년, 신승준(申承濬)의 딸
누이이규 (李珪)의 처, 익안대군 방의 5대손
부인고령 신씨우참찬 신공제(申公濟)의 셋째 딸
장남정척(鄭惕)1522년~1601년, 경기도사(京畿都事), 중추부 첨지
손자정문영(鄭文英)
손자정수(鄭粹)돈녕부참봉(敦寧府參奉)
차남정구(鄭懼)
삼남정신(鄭愼)
손자정문부(鄭文孚)
손자정문익(鄭文益)
사남정핍(鄭幅)
장녀 사위김희순(金希舜)
차녀 사위이찬금(李纘金)
삼녀 사위방헌침(方獻忱)


4. 미디어에서

여인천하에서 정승현이 정언각 역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2] 실록 명종실록 1547-00-00
[3] 실록 명종실록 1552-05-04
[4] 실록 명종실록 1556-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