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하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하연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로, 1944년 황해도 안악 출생이다. 1968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희곡 《산울림》이 당선되며 작가로 데뷔했다. 이후 영화 시나리오, 라디오 드라마를 거쳐 텔레비전 드라마 극본을 주로 집필했으며, 1990년 활동 재개 이후 사극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주요 작품으로는 《장녹수》, 《조광조》, 《왕과 비》, 《명성황후》 등이 있으며, 2000년대 이후에도 《신돈》, 《욕망의 불꽃》 등 다양한 드라마를 집필했다. 이환경과 함께 2000년대 정통 대하사극 작가로 손꼽히며, 딸은 배우 정요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도 출신 - 이광노
    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
  • 황해도 출신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 - 양근승
    양근승은 영화, 라디오 드라마,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극본을 집필했고, 백상예술대상, 농업인의 날 대통령 표창, KBS 연기대상 공로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 - 나연숙
    나연숙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드라마 작가, 영화 각본가로, 1965년 소설가로 등단하여 영화 각본과 각색, 드라마 작가로 활동하며, 극작가 나한봉의 동생이다.
정하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하연 작가 사진
정하연 작가
본명정연
출생지일제강점기 황해도 안악군
(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안악군)
국적대한민국
직업극작가
소설가
영화 시나리오 작가
방송 작가
활동 기간1968년 ~ 현재
자녀정요동(아들), 정요숙(딸)
소속한국방송작가협회 회원
학력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중퇴
웹사이트정하연의 드라마스쿨

2. 학력

3. 생애 및 작품 활동

1944년 4월 20일 황해도 안악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때 머리카락을 기르고 싶은 마음에 연극반 활동을 했지만 대사를 외우지 못해 연기를 포기했다.[4][5] 고등학교 졸업 후 연세대학교에 입학해 연극반 연희극예술연구회(現 연세극예술연구회)에 들어갔다. 대학교 중퇴 후 1968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희곡 《산울림》이 당선되는 등 작가로 활동했다. 1988년 미국으로 떠났다가 1990년 복귀, 1995년부터는 사극 집필을 시작하여 이환경과 함께 2000년대 대한민국 정통대하사극 작가로 손꼽힌다. 그의 딸은 연기자 정요숙이다.

3. 1. 초기 활동 (1968년 ~ 1987년)

연세대학교를 중퇴하고 만 24세이던 1968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희곡 《산울림》이 당선되고, 세대지에서 장막희곡 《무지개 쓰러지다》로 신인상을 수상했다.[4][5] 이듬해에는 경향신문사에서 주관한 희곡 공모전에서 장막희곡 《환상살인》이 당선되었다. 이후 영화 시나리오와 라디오 드라마 극본을 거쳐 텔레비전 드라마 극본을 집필했다.

1987년까지 활동하다가, 민주화 항쟁 등을 거치며 세상이 바뀌었다고 하는데 돌아보니 자신은 한 일이 아무것도 없고 새로운 시대에는 새로운 인물이 나서야 한다는 생각에서 절필하기로 마음먹고 1988년 가족들이 살고 있는 미국으로 떠났다.[6]

3. 2. 절필과 복귀 (1988년 ~ 1990년)

1987년까지 활동하다가, 민주화 항쟁 등을 거치며 세상이 바뀌었다고 하는데, 돌아보니 자신은 한 일이 아무것도 없고 새로운 시대에는 새로운 인물이 나서야 한다는 생각에서 절필하기로 마음먹고 1988년 가족들이 살고 있는 미국으로 떠났다.[6] 2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와 1990년에 시드니 셸던의 소설 《천사의 분노》를 극화한 《사랑의 종말》로 작가 활동을 재개했다.

3. 3. 사극 작가로서의 명성 (1995년 ~ 2005년)

1995년 첫 사극 《장녹수》를 시작으로 《조광조》, 《왕과 비》, 《명성황후》 등을 히트시키며 대중에게 사극 작가로서의 인상을 강하게 남겼다.[6] 이환경과 함께 2000년대 대한민국 정통대하사극 작가로서 명불허전(名不虛傳)으로 손꼽힌다.

3. 4. 2000년대 이후 활동 (2008년 ~ 2018년)

2003년 자신의 옛 드라마 《아내》를 리메이크했다. 같은 해 EBS 문화사 드라마 시리즈 1탄으로 《명동백작》을, 2005년에 3탄으로 《지금도 마로니에는》을 내놓았다. 이후 2005년 고려 시대를 다룬 사극 《신돈》, 2008년 한중 합작 드라마 《상하이 브라더스》, 멜로 드라마 《달콤한 인생》, 재벌가의 욕망을 다룬 《욕망의 불꽃》 등을 집필하였다.[6]

그는 이환경과 함께 2000년대 대한민국 정통대하사극 작가의 명불허전(名不虛傳)으로 손꼽히는 작가이다.

4. 집필 활동 상세

정하연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자 소설가이다.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라디오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KBS TV 문학관의 작품들을 다수 각색하였으며, 아내, 산유화, 장녹수, 조광조, 왕과 비, 명성황후, 신돈, 인수대비 등 굵직한 사극 집필로 유명하다. 만추 등의 영화 각본과 탱고가 흐르는 강, 원색의 거리, 열애, 아내 등의 소설 집필에도 참여했다.

4. 1. 텔레비전 드라마

연도제목방송사역할참고
1977전설의 고향 - 웃지 않는 세 정승KBS극본1부작
1978겨울바다 갈매기들극본5부작
전설의 고향 - 젊어지는 샘극본1부작
전설의 고향 - 여우의 사랑극본1부작
귀향극본31부작
1979문예극장 - 날개KBS각색1부작
물무늬극본
1980TV 문학관 - 을화KBS2각색1부작
1981TV 문학관 - 횃불각색1부작
형사 - 더러운 손KBS1극본1부작
민들레KBS2극본
축제의 노래극본1부작
TV 문학관 - 도요새에 관한 명상각색1부작
1982TV 문학관 - 소문의 벽KBS1각색1부작
내일은 태양극본1부작
TV 문학관 - 마(馬)각색1부작
TV 문학관 - 10초 F각색1부작
아내KBS2극본14부작
1983TV 문학관 - 금시조KBS1각색1부작
산유화KBS2극본179부작
TV 문학관 - 누가 백조를 쏘았는가KBS1각색1부작
TV 문학관 - 와룡선생 상경기각색1부작
TV 문학관 - 묵시각색1부작
1984TV 문학관 - 타인의 얼굴KBS1원작1부작
드라마게임 - 아버지KBS2극본1부작
TV 문학관 - 망향KBS1각색1부작
드라마게임 - 모계가족극본1부작
드라마게임 - 가족극본1부작
TV 문학관 - 머무를 수 없는 여자각색1부작
두 아버지KBS1극본1부작(2시간)
드라마게임 - 새엄마KBS2극본1부작
가족극본
백조부인극본
1985TV 문학관 - 천국에서 온 광대KBS1각색1부작
초원에 뜨는 별KBS2극본38부작
1986달맞이꽃KBS1극본1부작
이화에 월백하고KBS2극본
1987TV 문학관 - 겨울바다 갈매기KBS1극본1부작
베스트셀러극장 - 세월의 너울MBC극본1부작
드라마게임 - 어떤 모정KBS2극본1부작
야호MBC극본8부작
TV 문학관 - 눈보라KBS1각색1부작
베스트셀러극장 - 오렌지 향기는 바람에 날리고원작, 극본1부작
산하MBC극본8부작
베스트셀러극장 - 원색의 거리원작, 극본1부작
1990사랑의 종말MBC극본31부작
춤추는 가얏고극본16부작
19913일의 약속KBS2극본50부작
고독의 문SBS극본135부작
1992드라마게임 - 보통 아버지극본2부작
모래 위의 욕망SBS극본50부작
1994역사 앞에서KBS1각색2부작
성냥갑 속의 여자SBS극본118부작
1995장녹수KBS2극본52부작
홀로 된다는 것SBS극본2부작
여울극본96부작
1996조광조KBS2극본52부작
1997욕망의 바다극본56부작
1998왕과 비KBS1극본186부작
2001명성황후KBS2극본124부
2003아내극본52부작
2004명동백작EBS극본24부작
2005지금도 마로니에는극본32부작
신돈MBC극본61부작
2008상하이 브라더스DRAMAX극본20부작
달콤한 인생MBC극본24부작
2010욕망의 불꽃MBC극본50부작
2011인수대비JTBC극본60부작
2013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JTBC극본50부작
2018손 꼭 잡고, 지는 석양을 바라보자MBC극본32부작


4. 2. 영화

연도제목역할참고
1971애인교실윤색
1971어느 사랑의 이야기각본
1972아들 딸 찾아 천리길각색
1974서울의 연인각색
1974그건 너각본
1975타인의 숨결각본
1975안나의 유서각본
1976목마와 숙녀각본
1976진짜 진짜 미안해원작
1977영광의 9회말각본
1979사랑이 깊어질 때 - 나는 77번 아가씨원작
1979어느 여대생의 고백각본
1981만추각색
1982열애원작
1983아내원작
1987요화 어을우동윤색


4. 3. 라디오 드라마


  • 오렌지 향기 바람에 날리고
  • 차디찬 꽃잎의 입맞춤
  • 비탈에 선 연인들
  • 내 몸에 악마가 있다
  • 나는 77번 아가씨

4. 4. 소설

집필 연도작품
1979탱고가 흐르는 강
1980원색의 거리
1982열애
1982아내
1989맨하탄의 노랑둥이
1993모래 위의 욕망
1994황토마루
1995포틴케이
1995컴퓨터 게임을 하는 달라이 라마
1997욕망의 바다
2008달콤한 인생


5. 수상 경력

6. 기타


  • 왕과 비》 전작인 《용의 눈물》 집필을 의뢰받았으나 거절했다.[7]
  • 조광조》에 앞서 정난정황진이 이야기를 구상할 계획이었으나[8] 무산된 바 있었는데, 해당 드라마 때문에 줄곧 집필을 맡아 온[9] KBS 2TV 아침 TV 소설 《여울》에서 도중 하차했다.
  • 자신이 쓴 사극인 《조광조》, 《왕과 비》, 《명성황후》 등에 손창민을 캐스팅하려 했으나 본인이 모두 고사했으며 결국 《신돈》을 통해 손창민을 섭외할 수 있었다.[10]
  • 1997년 방영 예정이었던 24부작 《제이슨 리》의 집필자(TV판)로 낙점된 바 있었다.[11] 《제이슨 리》는 1940년대 알 카포네와 어깨를 겨루며 미국 암흑가를 주름잡은 전설의 한국인 마피아 제이슨 리의 일대기를 다룬 작품으로, 영화판은 1997년 3월 크랭크인하여 같은 해 추석 개봉할 예정이었다. 드라마판 《제이슨 리》는 영화 촬영을 마친 후 TV용으로 대본작업을 다시 하여 다른 스태프와 출연진으로 제작해 같은 해 연말 SBS에서 방송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당시 덮친 IMF 한파의 영향과[12] 투자자를 못 구해 합작영화와 SBS 편성이 동시 불발되었다.

참조

[1] 뉴스 [휴지통]드라마 작가 정하연씨, 제작사에 12억 물어줄판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2-11-03
[2] 웹인용 ‘욕망의 불꽃’ 정하연 작가에게 욕망을 묻다 http://woman.donga.c[...] 여성동아 2011-04-15
[3] 뉴스 용산고 개교 60주년 ‘자축’ https://web.archive.[...] 서울신문 2006-09-11
[4] 뉴스 정하연 작가 인터뷰 上 작가 정하연, 인간 정하연 http://www.dramascho[...] 드라마몹 2005-11-29
[5] 서적 맨하탄의 노랑둥이 영언문화사
[6] 뉴스 방송작가 정하연 MBC 가이드 1990-03
[7] 뉴스 [KBS 왕과비] `아류' 한계 극복할 수 있을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8-06-09
[8] 뉴스 침체벗는 「TV사극」'연타'를 노린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5-08-01
[9] 뉴스 <방송> 왕년의 스타들, 아침드라마서 연기대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10-04
[10] 뉴스 손창민, ‘신돈’ 캐스팅 되기 전 제목은 ‘다정불심’ http://entertain.nav[...] 헤럴드경제 2005-09-02
[11] 뉴스 김종학 고석만PD 드라마 복귀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1997-01-06
[12] 뉴스 [J스타일]IMF 한파…문화 생태계도 파괴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98-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