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갈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갈균은 제갈규의 셋째 아들이자 제갈량의 형제이다. 유비가 제갈량을 등용할 때 함께 출사하여 장수교위의 관직에 이르렀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숙부 제갈현의 보살핌을 받았으며, 제갈현을 따라 예장으로 갔다가 형주로 이동했다. 촉한에서 관직 생활을 했으나, 그 외의 행적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청나라 장수가 쓴 책에는 아들과 며느리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갈량의 형으로 등장하며, 유비와의 만남에서 오해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년 출생 - 게타 (황제)
게타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아들이자 카라칼라의 동생으로, 공동 황제였으나 형과의 불화로 암살당하고 기억말살형을 당했다. - 189년 출생 - 능통
능통은 오군 여항현 출신으로, 아버지의 사후 손권에게 발탁되어 군 지휘관으로 활약하며 산적 토벌, 합비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편장군으로 승진했으며, 산월족 회유에도 기여했으나 28세에 사망했다. - 촉한의 관료 - 진수 (서진)
촉한과 서진에서 벼슬을 지낸 진수는 환관의 핍박을 받기도 했으나 장화의 추천으로 등용되어 《삼국지》를 편찬, 위나라를 정통으로 하는 역사관을 확립한 역사가이다. - 촉한의 관료 - 극정
극정은 촉한의 관료이자 문장가로, 유선의 항복 문서를 작성했으며 위나라에 항복 후 관내후에 봉해졌고, 유선은 그의 학식에 감탄하며 후회했으며, 시, 논, 부 100여 편을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낭야 제갈씨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낭야 제갈씨 - 제갈첨
제갈첨은 제갈량의 아들이자 촉한의 장군 겸 정치가로, 무향후 작위를 계승하고 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263년 위나라의 침공에 맞서 싸우다 아들과 함께 전사하여 충신으로 칭송받고 백성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제갈균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갈균 |
한자 표기 | 諸葛均 |
로마자 표기 | Zhuge Jun |
출생 | 생년 미상 |
출신지 | 서주 낭야군 양도현 |
사망 | 미상 |
사인 | 미상 |
관직 | |
주요 직책 | 장수교위 |
소속 | 유비 |
2. 생애
제갈균은 제갈규(諸葛珪)의 셋째 아들로, 형 제갈량이 유비에게 등용될 때 함께 촉나라로 들어갔다. 207년 유비가 제갈량의 집을 찾아갔을 때 제갈균을 제갈량으로 착각하기도 했다.[1]
208년 조조가 형주(刑州)를 점령했을 때, 하후돈이 제갈량의 가족을 몰살하려 했으나 제갈량이 미리 계책을 간파하여 가족들을 대피시켰다.[2]
213년 유비가 서촉을 평정했을 때 제갈량의 부름을 받아 유비를 섬겨 장수교위(長水校尉)에 올랐다.[8] 제갈균은 어린 시절 아버지를 잃고[1] 형, 제갈량과 함께[2] 숙부 제갈현에게 의지하며 자랐다.[3] 제갈현이 원술에 의해 예장 태수로 임명되면서,[4] 제갈균과 형제들은 예장으로 가게 되었다. 이후 한나라 조정이 주호를 예장 태수로 임명하자,[5] 제갈현은 유표를 만나기 위해 형주로 떠났고,[6] 제갈균과 제갈량도 함께 형주로 갔다.[7]
장수 교위에 오른 것 외에 제갈균의 자세한 행적은 확실하지 않다. 유비・유선 부자를 섬긴 제갈량의 전에 제갈균에 대한 기술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제갈균도 형을 따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비가 221년 촉한의 황제로 즉위했지만,[9] 제갈균이 그 시대를 넘겼는지는 불분명하다.
2. 1. 초기 생애와 가족
제갈균은 제갈규(諸葛珪)의 셋째 아들이다. 아버지가 일찍 사망했기 때문에[1], 형 제갈량과 함께[2] 삼촌 제갈현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랐다.[3] 제갈현이 원술에 의해 예장군 태수로 임명되자,[4] 제갈균과 그의 형제들을 데리고 예장으로 갔다. 그러나 나중에 한나라 조정이 주호를 임명하여 제갈현을 대신하게 하자,[5] 제갈현은 옛 친구 유표를 만나기 위해 형주로 떠났다.[6] 제갈균과 제갈량도 그를 따라 형주로 갔다.[7]청나라의 장수가 저술한 『편집 제갈충무후문집자서』에는, 제갈균에게 제갈망이라는 아들이 있었고, 아내는 남양군 출신으로 임씨 또는 습씨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2. 2. 촉한에서의 관직 생활
제갈량은 유비에게 입신할 때 제갈균을 데리고 들어갔으며, 제갈균은 관직이 장수교위(長水校尉)에 이르렀다.[9] 『삼국지』 촉서에 형 제갈량의 전이 있으며, 그 안에 제갈균에 대한 기술도 보인다.2.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207년, 유비가 제갈량을 등용하기 위해 그의 집을 찾아갔을 때 제갈균을 제갈량으로 착각하였다.[1]208년, 조조가 형주를 제패하였을 때, 제갈량이 전날 자신의 군대를 대패시켰던 일이 있었기 때문에 하후돈에게 제갈량의 가족들을 모조리 몰살시키라는 명을 내렸으나, 이미 그 계책을 간파하고 있던 제갈량은 가족들을 무사히 대피시켰다.[2]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제갈균은 남양군에서 제갈량과 함께 농사를 지었고(제36회), 유비와 처음 만났을 때 형으로 오해받았다(제37회).[3] 제갈량은 유비의 삼고초려에 응하며 제갈균에게 자신이 공을 세워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밭을 지키도록 명했다(제38회).[4] 그 후의 행적은 불명이다.
3. 가계
제갈균은 제갈규가 일찍 사망하여[1], 형 제갈량과 함께[2] 삼촌 제갈현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랐다.[3] 제갈현은 원술에 의해 예장군 태수로 임명되어,[4] 제갈균과 형제들을 데리고 예장으로 갔다. 그러나 한나라 조정이 주호를 임명하여 제갈현을 대신하게 되자,[5] 제갈현은 유표에게 의탁하였고,[6] 제갈균과 제갈량도 형주로 따라갔다.[7] 제갈량이 촉한에서 섬기는 동안, 제갈균 또한 교위 지위에 올랐다.[8]
청나라 장수의 『편집 제갈충무후문집자서』에는 제갈균에게 제갈망이라는 아들이 있었고, 아내는 남양군 출신 임씨 또는 습씨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3. 1. 가계도
wikitext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제갈규 | 일찍 사망.[1] |
숙부 | 제갈현 | 제갈량, 제갈균 형제를 보살핌.[2][3] 원술에 의해 예장군 태수로 임명.[4] 한나라 조정이 임명한 주호에게 대체됨.[5] 유표에게 의탁.[6] |
형 | 제갈량 | 제갈균과 함께 제갈현을 따라 형주로 감.[7] 촉한에서 승상 역임.[8] |
본인 | 제갈균 | 촉한에서 장수교위 역임.[8] |
참조
[1]
웹사이트
諸葛珪-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da[...]
[2]
웹사이트
诸葛亮三兄弟是谁,为何有人说三兄弟分别在魏蜀吴三国任要职
https://www.sohu.com[...]
[3]
웹사이트
诸葛亮和诸葛珪、玄、瑾、均、诞、恪、瞻、尚是什么关系?_诸葛瑾
https://www.sohu.com[...]
[4]
웹사이트
原创袁术刘表共推诸葛玄为豫章太守,标志着两大势力的和解
https://www.sohu.com[...]
[5]
웹사이트
诸葛玄:诸葛亮的叔父,曾是刘表的部下,最终是什么结局?
https://www.163.com/[...]
[6]
웹사이트
諸葛亮隱居隆中而不願依附劉表做官是受了誰的影響?
https://www.soundofh[...]
[7]
웹사이트
第十三課出師表◎諸葛亮教學策略導引
https://imedia.ltcvs[...]
[8]
서적
三國志·諸葛亮傳
[9]
서적
三国志』蜀書 先主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