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표는 후한 말의 인물로, 젊은 시절 학문을 닦아 명성을 얻었으며 당고의 금 시기에는 청류파로 활동했다. 황건적의 난 이후 하진의 초청으로 북군중후를 지냈고, 경주 자사로 임명되어 형주 북부를 장악했다. 동탁에 대항하는 의병에 참여하고, 원술, 조조 등과 대립하며 세력을 키웠다. 유비가 의탁하자 신야에 주둔시키며 조조를 견제했으나, 208년 조조의 침공 직전 사망했다. 그는 정치 능력을 인정받아 형주를 안정적으로 다스렸으며, 학문을 장려하고 인재를 육성하여 형주학파를 형성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한의 형주자사 - 유기 (후한)
    유기는 후한 말 유표의 아들로, 채씨 일가의 견제를 피해 강하 태수로 부임했으며, 유비와 합류하여 형주자사가 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 산양 유씨 - 유기 (후한)
    유기는 후한 말 유표의 아들로, 채씨 일가의 견제를 피해 강하 태수로 부임했으며, 유비와 합류하여 형주자사가 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 산양 유씨 - 유반
    유반은 삼국 시대에 형주 목 유표의 중랑장 황충과 함께 장사군 유현을 지켰으며, 손책에게 대항하다가 태사자에게 고전했고, 소설에서는 유비에게 귀순하여 장사군을 통치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 142년 출생 -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는 2세기 말-3세기 초 로마 제국의 법학자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요직을 역임했으나, 카라칼라 황제의 부당한 명령을 거부하여 처형당했고, 가이우스, 울피아누스 등과 함께 인용법에 의해 특별한 권위를 인정받은 5대 법학자 중 한 명이다.
  • 142년 출생 - 양표
    후한 말기 홍농 양씨 출신 명문가 자제인 양표는 효렴과 무재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삼공을 역임하며 헌제를 옹호하려 했고 조조에게 경계받기도 했으나 강직함과 학문적 깊이로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유표
기본 정보
청나라 시대의 유표 삽화
이름유표
로마자 표기Yu Pyo
경승(景升)
출생142년
출생지산둥성 웨이산 현 근처의 산양군 고평현
사망208년 (향년 66세)
사망지양양
배우자진부인
채부인
자녀유기
유종
유수
왕예의 어머니
친척유반 (조카)
유호 (조카)
작위성무후(成武侯)
직업군인, 정치가, 군벌
관직 경력
형주자사190년 ~ 192년
형주목192년 ~ 208년
진남장군192년 ~ 208년
군주후한 헌제
후임유종
기타
주요 활동형주에서 독자 세력화

2. 생애

190년대 한나라의 주요 군벌들을 보여주는 지도. 유표를 포함한다.


유표는 젊은 시절 태학(太学)에서 유학을 공부해 명성을 얻었고, 당고의 금 당시 청류파 당인 중 “팔급(八及)”[9]이라 불렸다.[10] 176년 영제(한)의 추격을 받던 장검(후한)의 탈출을 도왔다가 자신도 추격을 받았다. 184년 황건의 난으로 당고의 금이 해제되자 대장군(大장군) 하진의 초청을 받았다.[10]

190년 형주(荊州, 현재의 후베이성후난성)를 장악한 후, 군벌 원술 및 그의 부하 손견과 전쟁을 시작했다. 양양 전투에서 손견이 황조에게 패하고 전사하면서 유표군이 승리했다.[12] 수년 후 손견의 아들 손책손권이 복수를 위해 공격했으나, 이들은 유표가 아닌 황조를 공격했다.

193년, 이각 등이 실권을 장악한 조정으로부터 사지절(使持節)·진남장군(鎮南将軍)·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독교양이주제군사(督交揚二州諸軍事)·경주목(荊州牧)[13]에 임명되고 성무후(成武侯)에 봉해졌다. 같은 해, 원술조조가 다투자 원술의 양도를 끊고 원소와 협조 관계에 있던 조조를 지원했다.[14]

이후 조조와 원소가 적대하자, 유표는 원소를 돕고 장수(張繡)와 동맹을 맺어 조조와 싸웠다. 198년 조조가 장수가 주둔하는 장현(穣県)을 포위하자, 유표는 원군을 보내 조조군 후방을 위협하고 장수와 협공하여 격파했다. 그러나 패주하는 조조를 추격하다 복병에 걸려 양군 모두 패했다. 199년 장수는 조조에게 항복했다.

200년 관도 전투 당시 원소의 구원 요청을 받았으나, 장사(長沙) 태수(太守) 장험(張羨)(후한)의 반란을 진압하느라 지원하지 않았다. 한숭(韓嵩), 류선(劉先), 괴월 등은 조조를 도울 것을 주장했으나, 유표는 거절했다. 장험 사후, 아들 장익(張懌)이 반란을 계속했으나, 유표는 이를 진압하고 장강 남안을 세력권에 편입했다.[15]

201년, 유비가 의탁해 오자, 신야에 주둔시켜 조조에 대한 방비로 삼았다. 203년 조조가 경주를 침공했으나, 원탐과 원상의 다툼으로 조조가 철수하면서 위기를 넘겼다. 유비는 207년 조조가 요동 원정을 떠난 틈을 타 기습을 제안했으나, 유표는 움직이지 않았다.[16]

208년 조조의 침공 직전 병사했다.[17] 향년 67세.[18][19] 유표의 뒤를 이은 유총은 조조에게 항복했다. 장남 유기는 유비와 연합하여 적벽대전을 일으켰으나, 전투 후 병사했다. 유표의 이전 영토는 세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유표에게는 최소한 유수(劉修)라는 아들과 딸이 한 명 더 있었다. 유수는 유종을 따라 청주로 가서 감찰사로 일했고, 210년 동안군 태수로 임명되었다. 유표의 딸은 왕찬의 친척 왕개와 결혼하여 왕예를 낳았다.

2. 1. 초기 생애 및 형주 부임

노공왕의 아들 욱랑후 유교의 9대손이다.[22] 키는 8에 달하고 풍모는 위엄이 있었다. 왕창에게서 학문을 사사하였다.[23] 환관 세력에 반발했으며 젊어서부터 이름이 나 팔급 혹은 팔고 중 한 명이었다.[24] 당고의 화를 당해 숨어 지냈다. 당고의 화가 풀려서야 대장군 하진의 연(掾)과 북군중후(北軍中候)를 지냈다.

190년(초평 원년) 형주자사 왕예가 장사 태수 손견의 일에 연루되어 사망하여 그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소대(蘇代)가 장사에서 일어나 패우(貝羽)를 화용현장으로 삼는 등 장강 이남의 토호들이 할거하는 바람에 장강 이남에 있는 본래 형주의 주도(州都) 무릉군 한수현(漢壽縣)[25]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홀로 남군 의성현(宜城縣)으로 들어갔다. 남군 지역의 유력 호족채모, 괴월, 괴량의 조력을 얻어 궐기한 토호들의 우두머리를 유인하여 처단하고 그 휘하 무리들을 흡수했다. 오직 장호(張虎)와 진생만이 양양성을 점거하고 버텼는데 괴월과 방계(龐季)로 하여금 설득하니 항복하여 마침내 강남 일대를 평정하였다.[26] 양양을 주도로 정해 통치하고 반동탁 연합군에 합류하였다.

이 시기 유표는 채모의 작은 누나와 결혼해 채모와 혈연 관계를 맺고 제멋대로 형주자사의 치소를 무릉에서 양양으로 이전했으며 친척인 유언과 동일하게 참칭을 준비하고 있었다.

2. 2. 원술, 조조와의 대립

191년 반동탁 연합군이 분열되고 남양태수 원술기주원소가 대립하자, 유표는 원소와 손을 잡았다. 원술은 손견을 시켜 형주를 공격하게 했고, 양양으로 쳐들어오자 황조를 보내 요격했으나 번성(樊城)과 등성(鄧城) 사이에서 격파당했다. 손견은 한수를 건너 양양을 포위하고 현산(峴山)으로 달아난 황조를 쫓다가 화살에 맞아 죽었다.[27] 이로써 유표는 원술을 저지했다. 193년 원술의 보급로를 끊어 원소와 협력하던 조조를 도왔고, 원술은 조조에게 패해 구강으로 달아났다.[30]

196년(건안 원년)[31] 조조와 원소의 사이가 벌어지자, 유표는 치중(治中) 등희(鄧羲)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원소와 연합했다.

서기 190년에 경주(荊州, 현재의 후베이성후난성을 포함하는 지역)를 장악하게 된 유표는 군벌 원술과 그의 부하 손견과 전쟁을 시작했다. 양양 전투에서 손견은 원술의 명령을 받아 경주에서 유표를 공격하는 군대를 지휘했다. 유표는 황조를 임명하여 손견에 맞서는 군대를 지휘하게 했다. 황조는 손견에게 계략에 밀렸지만, 손견이 화살에 맞아 죽었고, 전투는 유표군의 승리로 끝났다.

초평 3년(192년)[12], 원술의 뜻을 받은 손견이 경주에 침입했다. 유표는 황조에게 명하여 이를 막도록 했고, 원소와 동맹하여 대항했다. 황조는 고전했지만 손견을 토벌하고 경주를 지켜냈다(양양 전투).

초평 4년(193년), 이각 등이 실권을 장악한 조정으로부터, 유표는 사지절(使持節)·진남장군(鎮南将軍)·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독교양이주제군사(督交揚二州諸軍事)·경주목(荊州牧)[13]에 임명되었고, 또한 성무후(成武侯)에 봉해졌다. 같은 해, 원술과 조조가 다투자, 원술의 양도를 끊고, 원소와 협조 관계에 있던 조조를 지원했다.[14]

이후, 조조와 원소는 적대하게 된다. 유표는 계속해서 원소를 돕고, 구 장제군의 장수(張繡)와 동맹을 맺어 조조와 싸웠다.

건안 3년(198년), 조조가 장수가 주둔하는 장현(穣県)을 포위했다. 유표는 원군을 보내 조조군의 후방을 위협하고, 장수와 함께 협공하여 이를 격파했다. 그러나 패주하는 조조를 추격하는 도중, 복병에 걸려 양군 모두 패했다.

건안 4년(199년) 11월, 장수는 군세를 이끌고 조조에게 항복했다.

건안 5년(200년), 관도 전투 당시 유표는 원소로부터 구원 요청을 받았다. 그러나, 한숭·류선·괴월 등은 원소가 아닌 조조를 돕자고 유표에게 진언했으나, 거절당했다.

2. 3. 남방 평정 및 유비와의 관계

장제가 굶주림에 빠져 홍농에서 남양으로 와 양성(穰城, 지금의 허난성 덩저우 시)을 공격하다 유시(流矢)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 유표는 “장제가 궁박해서 왔는데도 주인이 빈객에 대한 예를 제대로 하지 않아 싸움에 이르고 말았다. 이는 나의 뜻이 아니니 하례가 아닌 조문을 받겠다.”며 그 무리를 받아들였다. 장제의 조카 장수가 완(宛)에 주둔하였다.[33] 197년 남양·장릉(章陵)을 두고 장수와 연계해서 조조군과 다투었다. 198년 조조가 친정하여 양현에 있던 장수를 포위하자 그 뒤로 군을 보내 구하였다.[30]

장사태수 장선(張羨)이 장사, 영릉, 계양 3을 들어 조조와 통하고[35] 유표에 대항하였다. 199년 장수마저 조조에게 굴복하였다.[30] 200년[38] 원소에게서 관도 전투 지원을 요청받았으나 장선과 싸우느라 도울 여유가 없었다. 장선이 들어 죽어서야 그 아들 장역(張懌)을 이기고 몇 년 만에 병합하였다.

192년[12] 원술의 뜻을 받은 손견이 경주에 침입했다. 유표는 황조에게 명하여 이를 막도록 했고, 원소와 동맹하여 대항했다. 황조는 고전했지만 손견을 토벌하고 경주를 지켜냈다(양양 전투). 수년 후 손견의 두 아들 손책손권은 아버지의 죽음을 복수하기 위해 유표에게 끝없는 문제를 일으켰다. 하지만 그들은 유표 자신이 아닌 유표 휘하 장군인 황조를 공격했기 때문에 유표의 죽음을 야기하지는 않았다.

201년, 유비가 의탁해 오자, 유표는 신야에 주둔시켜 조조에 대한 방비로 삼았다.

2. 4. 사망과 평가

劉表|유표중국어는 젊은 시절 태학(太学)에서 유학을 공부해 높은 명성을 얻었다. 당고의 금 당시 청류파 당인 중에서 “팔급(八及)”[9]이라 불렸으며, 176년 영제(한)의 추격을 받던 장검(후한)의 탈출을 도왔다가 자신도 추격을 받는 신세가 되었다. 황건의 난으로 당고의 금이 해제된 184년 대장군(大장군) 하진의 초청을 받았다.[10]

208년 조조가 형주 침공을 개시했을 때, 조조가 형주에 입성하기 직전에 병사했다.[17] 향년 67세였다.[18][19] 거의 20년간 형주를 다스렸음에도 집안에 남은 재산이 없었다.

진수는 《삼국지》에서 유표를 원소와 묶어 다음과 같이 평했다. “유표와 원소는 모두 위용이 있으며, 넓은 도량과 식견으로 이름이 당세에 알려졌다. 유표는 한남을 점거하고 섰으며, 원소는 하삭에서 웅위를 보였으나, 모두 겉으로는 너그럽고 속으로는 꺼리며, 모략을 좋아하나 결단이 없었으며, 재주가 있어도 쓰지 못하고, 좋은 것을 들어도 받아들일 수 없었으며, 적자를 폐하고 서자를 세우고, 예의를 버리고 편애를 숭상했으니, 그 후사가 고통을 받고, 사직이 기울어져 엎어진 것이 결코 불행이 아니었다.”

정사의 주석을 단 배송지는 “유표, 원술, 원소, 동탁 이 4명은 동일한 후한 최대의 역적이며, 이들은 살아있을 가치가 전혀 없다.”라 평했다.

관도대전 당시 유표가 조조를 기습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유표가 조조를 기습하는 게 불가능했다는 의견이 있다. 유표는 병력지휘 능력이 별로 없고 학식만 깊은 전형적인 문관이었기 때문에 유표의 병권은 채모가 쥐고 있었는데, 채모는 '''조조와는 어렸을 때부터 평생을 걸친 친구'''지간이었다. 채모는 유표와는 혈연관계만 맺었을 뿐이며, 실제로 채모는 유표보다 조조와 훨씬 친분이 깊었다. 실제로도 채모는 유표가 사망하자마자 형주를 조조에게 바치고 조조에게 항복했다.

3. 가계

관계이름
아버지유여
첫째 부인모씨 (정실, 연의에서는 진씨)
둘째 부인채씨 (채모의 누이)
장남유기
차남유종
삼남유수 (자는 계서)
왕개(王凱)의 아내
조카유반, 유호


  • 유표 자녀 세대의 자(字)는 "서(緒)"로 통일되어 있으며, 형제 순서(항렬)에 따라 백중숙계(伯仲叔季)로 맞추어져 있다.
  • 유표의 첫째 부인 진씨는 유기유종을 낳았다. 진씨 사후 유표는 향양 채씨 가문 출신 채씨를 둘째 부인으로 맞이했다.
  • 유종이 채씨 조카와 결혼하면서 채씨 가문은 유종을 편애하여, 장남 유기가 후계자임에도 경주 자사가 되기를 바랐다. 이로 인해 형제간 다툼이 발생했다.
  • 유표에게는 아들 유수와 딸(왕찬의 친척 왕개(王凱)와 결혼하여 왕업을 낳음)이 있었다.

4. 섬긴 사람들

이름역할비고
곽준
괴량
괴월
두기
등희(鄧羲)
문빙
방계(龐季)
부손
상랑
송충
이엄
이적
왕위
왕찬
유망지(劉望之)
반준
유선(劉先)
장윤
채모
한단순
한숭
황조
황충
허사
왕준
한희
기무개
오거
사마지
향랑
장윤
장선
조전
등의
등제
두규
배잠
팽계
뢰공
유예
여공
화합
삼국지연의』에만 등장하는 부하
위연
채훈
채중
채화
장호
진생
이규



유표에게는 두 명의 조카, 유판(劉磐)과 유호(劉虎)가 있었다.

유판은 강하태수(江夏太守) 황조의 지휘 아래 라이벌 군벌 손책과의 전투에 참전했다. 그는 손책 휘하의 장수 태사자에게 패배했다. 후에 유표가 장사군(長沙郡; 현재 후난성(湖南省) 일부 지역)을 평정한 후, 유판과 황충을 배치하여 그 군을 지키게 했다. 그 이후 그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14세기 역사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황충의 추천으로 유비를 섬기게 된다.

유호 또한 황조의 지휘 아래 손책과의 삭현 전투(沙羨之戰)에 참전했다. 전투에서 유표의 많은 부하들이 전사했다고 전해지지만, 유호가 그중 한 명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5. 기타

소설삼국지연의》에서는 옥새를 몰래 습득한 채 장사로 돌아가는 손견원소의 명령을 받아 공격하였으며, 이에 분노한 손견이 장사로 귀환하고 형주에 침입하자, 황조에게 명령하여 이를 방어하고, 원소와 동맹하여 대항했다. 황조는 포로로 잡히기까지 하며 고전했지만, 괴량의 계책으로 추격하던 손견을 살해하여 형주를 지킬 수 있었다. 이 때 괴량이 손씨를 완전히 파멸시키도록 권했지만, 이를 거부하고 손견의 유해와 황조를 교환함으로 마무리지었다.[21]

크리에이티브 어셈블리(Creative Assembly)의 게임 ''토탈 워: 삼국(Total War: Three Kingdoms)''에서 유표는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있는 군벌 중 하나로 등장한다.[21]

지청공(Ji Chenggong)은 2010년 중국 드라마 ''삼국지''에서 유표를 연기했다.[21]

“딸의 예언”이라고 불리는 일화가 있다.[21]

건안(建安) 초년, 형주(荊州) 지방에 다음과 같은 동요가 유행했다.[21]

8, 9년이 지나면 쇠퇴하기 시작하고, 13년째에는 한 명도 남지 않을 것이다|8, 9년이 지나면 쇠퇴하기 시작하고, 13년째에는 한 명도 남지 않을 것이다중국어

이는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21]

후한 건국 이래, 형주만은 평화를 유지했고, 유표가 장관이 된 이후로는 주민들의 생활이 풍족해졌다. 그것이 건안 9년이 되면 쇠퇴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라는 것이다. 쇠퇴의 조짐이란, 유표의 아내가 죽고, 여러 장수들이 모두 죽었다는 것을 말한다. 13년째에 한 명도 남지 않는다는 것은, 유표도 죽고, 형주가 적의 손에 넘어갈 것이라는 뜻이다.[21]

마침 그 무렵, 화용현(華容縣)에서 어떤 딸이 갑자기 “곧 많은 죽은 사람이 나올 것 같다”며 울부짖었다. 매우 불온한 말이었기에, 현령(縣令)은 이상한 말을 퍼뜨리는 자라고 여겨, 그 딸을 잡아 감옥에 가두었다. 그런데, 한 달 남짓 지난 후, 다시 감옥에서 울면서 “형주의 유 장관이 화용으로부터 수백 리 떨어진 곳에서 오늘 돌아가셨다”고 외쳤다. 그래서 말을 타고 조사하러 보냈더니, 유표는 죽어 있었다.[21]

현령은 그 딸을 석방했지만, 그 딸은 다시 노래했다. “생각도 못 했다. 이립이 귀족이 되다니”[21]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조조는 형주를 평정하고, 탁군(涿郡) 출신의 이립(李立), 자(字)는 건현(建賢)을 형주 장관으로 임명했던 것이다.[21]

참조

[1] 문서 Liu Biao's age
[2]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Houhanshu
[3]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Houhanshu
[4]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Sanguozhi
[5]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Houhanshu
[6]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Sanguozhi
[7]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Houhanshu
[8]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後漢書
[9]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後漢書, 三国志
[10]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三国志
[11]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三国志
[12] 문서 Liu Biao's appointment year
[13] 서적 Anthology of Cai Zhonglang 蔡中郎集
[14]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三国志
[15]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三国志
[16]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Emperor Xian 献帝春秋
[17] 서적 Records of Heroes & Book of Wei 英雄記, 魏書
[18] 서적 Anthology of Cai Zhonglang 蔡中郎集
[19] 서적 The Three Kingdoms: A Sparkling Ensemble 三国志 きらめく群像
[20] 서적 Literary Records of Jingzhou 荊州文学記官志
[21] 서적 In Search of the Supernatural 捜神記
[22] 서적 Yuanhe Surnames 元和姓纂
[23]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後漢書, 三国志
[24]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後漢書, 三国志
[25] 서적 Continuation of the Book of Han 續漢志
[26] 서적 Strategies 戰略
[27]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삼국지
[28]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후한서
[29] 서적 Anthology of Cai Zhonglang & Zizhi Tongjian 蔡中郞集, 자치통감
[30]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삼국지
[31]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후한서
[32]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후한서
[33]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삼국지
[34]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후한서
[35]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삼국지
[36] 서적 강표전 배송지 주석, 삼국지 46권 오서 제1 손책 인용
[37] 서적 오록 배송지 주석, 삼국지 46권 오서 제1 손책 인용
[38] 서적 자치통감
[39] 서적 삼국지
[40] 서적 진서
[41] 서적 구주춘추 배송지 주석, 삼국지 23권 위서 제23 두습 인용
[42] 서적 삼국지
[43] 서적 자치통감
[44] 서적 삼국지
[45] 서적 위씨춘추 배송지 주석, 삼국지 6권 위서 제6 원소 자담 자상 인용
[46] 서적 삼국지
[47] 서적 삼국지
[48] 서적 삼국지
[49] 서적 삼국지
[50] 서적 유진남비 채중랑집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