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니트-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니트-2는 1985년부터 2004년까지 총 37회 발사된, 15톤급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하는 데 사용된 로켓이다. 소련에서 개발되었으며, 유인 우주선 자랴를 탑재할 계획이 있었으나 취소되었다. 제니트-2 로켓은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었으며, 개량형인 제니트-2M은 2007년과 2011년에 발사되었다. 제니트-2는 1단에 RD-171 엔진, 2단에 RD-120 및 RD-8 엔진을 사용하며, 대한민국 나로호 개발에 기술적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니트 로켓 - 제니트-3SLB
    제니트-3SLB는 1980년대에 개발된 제니트 로켓의 파생형 모델 중 하나이며, 2단과 3단 엔진을 사용하고 여러 차례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 제니트 로켓 - 제니트-3F
    제니트-3F는 유즈노예가 설계한 발사체이며, 2011년 1월 20일에 최초 발사되었고, 제니트-2M 로켓을 사용하며 3단 로켓은 Fregat-SB로 교체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우주발사체 - 제니트 로켓
    제니트 로켓은 1985년에 처음 발사된 궤도 운반 로켓으로, RD-171과 RD-120 엔진을 사용하며, 에네르기아 로켓 부스터 및 해상 발사 프로젝트에도 활용되었고,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나로호 1단 엔진에도 사용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우주발사체 - 마야크 (로켓)
    마야크 로켓은 러시아 RD-120 엔진 기술을 활용하고 우크라이나 엔진의 영향을 받아 개발될 액체 로켓으로, 단계식 연소 사이클 기술을 핵심으로 하며 대한민국과의 기술 협력 및 한국형 발사체 개발과도 관련이 있다.
  • 소련의 우주발사체 - 로코트
    SS-19 ICBM을 재활용하여 개발된 러시아의 3단 액체 연료 로켓인 로코트는 1990년대부터 상업 발사 서비스에 활용되었으나, 우크라이나산 제어 시스템 공급 중단으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완전한 러시아산 모델인 로콧-M이 개발 중이다.
  • 소련의 우주발사체 - R-7 로켓
    R-7 로켓은 소련의 OKB-1 설계국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핵 공격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나 우주 발사체로 전환되어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파생형을 낳았으며 현대화된 소유즈-2는 현재까지도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니트-2
기본 정보
발사 준비 중인 제니트-2 로켓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45번 발사대에서의 제니트-2
제원
기능운반 로켓
제작사유즈마시
원산지소련 (우크라이나)
높이57 m
지름3.9 m
총 질량460,000 kg
단수2단
상태퇴역
발사 장소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45번 발사대
총 발사 횟수36회
성공 횟수28회
실패 횟수7회
부분적 실패 횟수1회
첫 발사1985년 4월 13일
마지막 발사2004년 6월 10일
파생형제니트-2M
제니트-3SL
계열제니트
성능
저궤도 (LEO) 탑재 능력13,740 kg
국제 우주 정거장 (ISS) 궤도 탑재 능력11,420 kg
태양 동기 궤도 (SSO) 탑재 능력5,000 kg
1단
종류1단
엔진RD-171 1개
추력8,180 kN
비추력337초
연소 시간150초
연료RP-1/액체 산소
2단
종류2단
엔진RD-120 1개, RD-8 1개
추력RD-120: 912 kN, RD-8: 79.5 kN
비추력349초
연소 시간315초
연료RP-1/액체 산소

2. 역사

소유즈 로켓이 7톤, 프로톤 로켓이 20톤의 인공위성을 발사하는데, 제니트 2호는 그 중간인 15톤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한다. 13~15톤의 탑재량을 LEO에 올릴 수 있는 이 로켓은, 7톤 이상의 탑재량을 가진 중급 소유즈 로켓보다 크고, 20톤 탑재량의 대형 프로톤 로켓보다 작은 중급 로켓으로 기획되었다.

제니트-2는 유인 발사 인증을 받을 예정이었으며, 1980년대 말 개발되었지만 취소된 새로운 부분 재사용 가능한 유인 우주선 자랴를 탑재하여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 특별히 건설된 발사대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또한 1980년대에는 블라디미르 첼로메이의 회사에서 제니트-2로 발사될 예정이었던, 실현되지 않은 15톤급 우라간 우주 왕복선을 제안했다.

제니트 2호는 1985년 최초 발사했다. 모두 37회 발사했으며, 6회 실패했다. 2004년에 마지막 발사했다.[8] 수정된 버전인 제니트-2S는 해상 발사 제니트-3SL 로켓의 처음 두 단으로 사용된다.[3] 제니트-2 로켓의 발사는 바이코누르 코스모드롬 45/1 발사대에서 진행된다. 두 번째 발사대인 45/2도 건설되었지만, 폭발로 파괴되기 전까지 단 두 번의 발사에만 사용되었다.[4] 세 번째 발사대인 플레세츠크 코스모드롬의 35번 발사대는 완공되지 않았으며, 소련의 해체 이후 작업이 중단되었다.[5]

제니트-2는 2004년에 마지막 비행을 했으며, 제니트-3SL 개발 과정에서 개선 사항을 통합한 제니트-2M으로 대체되었다. 러시아 정부는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 로켓에 국가 안보 화물을 싣는 것을 피하기 때문에, 제니트-2는 비교적 낮은 발사 빈도를 보였다. 제니트-2M 자체는 2007년과 2011년에 단 두 번만 발사되었다.

1990년대 후반, 제니트-2는 상업 발사를 위해 판매되었다. 단 한 번의 상업 발사가 수행되었는데, 글로브스타 위성 그룹을 발사하는 과정에서 컴퓨터 오류로 인해 2단계가 조기에 차단되면서 실패로 끝났다.

서방 정부에서 SL-16이라고 부르는 2단계는 보스토크 및 코스모스 발사체의 2단계와 함께 저궤도(LEO)의 발사체 파편 총 질량의 약 20%를 차지한다.[6] 저궤도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50개의 파편체를 분석한 결과, 상위 20개가 모두 SL-16 상단 로켓으로 밝혀졌다.[7]

3. 성능

제니트-2는 13~15톤의 탑재량을 LEO에 올릴 수 있는 중급 로켓으로 기획되었다. 이는 7톤 이상의 탑재량을 가진 소유즈 로켓보다 크고, 20톤 탑재량의 프로톤 로켓보다는 작다. 제니트-2는 유인 발사 인증을 받을 예정이었으며, 1980년대 말 개발되었지만 취소된 자랴 우주선을 탑재하여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또한 1980년대에는 블라디미르 첼로메이의 회사에서 제니트-2로 발사될 예정이었던 15톤급 우라간 우주 왕복선을 제안하기도 했다.[3]

수정된 버전인 제니트-2S는 해상 발사 제니트-3SL 로켓의 처음 두 단으로 사용된다.[3] 제니트-2 로켓의 발사는 바이코누르 코스모드롬 45/1 발사대에서 진행된다. 두 번째 발사대인 45/2도 건설되었지만, 폭발로 파괴되기 전까지 단 두 번의 발사에만 사용되었다.[4]

제니트-2는 2004년에 마지막 비행을 했으며, 제니트-2M으로 대체되었다. 러시아 정부는 우크라이나 로켓에 국가 안보 화물을 싣는 것을 피했기 때문에, 제니트-2는 비교적 낮은 발사 빈도를 보였다. 제니트-2M 자체는 2007년과 2011년에 단 두 번만 발사되었다.

1990년대 후반, 제니트-2는 상업 발사를 위해 판매되었다. 단 한 번의 상업 발사가 수행되었는데, 글로브스타 위성 그룹을 발사하는 과정에서 컴퓨터 오류로 인해 2단계가 조기에 차단되면서 실패로 끝났다.

서방 정부에서 SL-16이라고 부르는 제니트-2의 2단계는 보스토크 및 코스모스 발사체의 2단계와 함께 저궤도(LEO)의 발사체 파편 총 질량의 약 20%를 차지한다.[6] 저궤도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50개의 파편체를 분석한 결과, 상위 20개가 모두 SL-16 상단 로켓으로 밝혀졌다.[7]

3. 1. 1단

RD-171 엔진을 사용한다. 추력은 8180kN이며, 비추력은 337초이다. 연소 시간은 150초이고, 추진제는 RP-1(등유의 일종)와 액체 산소를 사용한다.

3. 2. 2단

2단에는 RD-120 엔진과 RD-8 엔진이 사용되었다. RD-120의 추력은 912kN이고, RD-8의 추력은 79.5kN이다. 비추력은 349초이며, 연소 시간은 315초이다. 추진제로는 RP-1(등유의 일종)과 액체 산소를 사용한다.

4. 대한민국과의 관계

나로호 1단은 200톤 추력 RD-151 엔진을 1개 사용한다. RD-171 엔진은 RD-151 엔진 4개를 묶은 것으로 800톤 추력을 가지며, 제니트 2호의 1단이다. 나로호는 출력을 줄여서 170톤 추력으로 발사되었다.

5. 퇴역 및 영향

제니트-2는 1980년대 말에 개발되어 2004년까지 운용된 중형 로켓이다. 13~15톤의 탑재체를 LEO에 투입할 수 있으며, 이는 소유즈 로켓보다 크고 프로톤 로켓보다는 작은 규모이다. 원래 유인 우주선 발사 인증을 받을 예정이었고, 자랴 우주선을 탑재할 계획이었으나 취소되었다.[3]

제니트-2의 발사는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45/1 발사대에서 이루어졌다. 45/2 발사대도 건설되었으나 폭발로 파괴되기 전까지 두 번만 사용되었다.[4] 플레세츠크 코스모드롬의 35번 발사대는 완공되지 못하고 소련의 해체 이후 작업이 중단되었다.[5]

2004년에 마지막 비행을 하고 개선된 제니트-2M으로 대체되었다. 러시아 정부는 우크라이나 로켓에 국가 안보 관련 탑재체를 싣는 것을 꺼려 발사 빈도가 낮았다. 제니트-2M도 2007년과 2011년에 두 번만 발사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상업 발사도 시도했으나, 글로브스타 위성 발사 중 컴퓨터 오류로 실패했다.

제니트-2의 2단계(서방에서 SL-16으로 명칭)는 보스토크, 코스모스 발사체의 2단계와 함께 저궤도(LEO) 발사체 파편 질량의 약 20%를 차지한다.[6] 저궤도에서 가장 우려되는 50개의 파편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개가 모두 SL-16 상단 로켓이었다.[7]

2004년 6월 10일 마지막 발사를 끝으로 퇴역했고, 후속 기종인 제니트-2M 로켓도 2번의 발사 후 사실상 퇴역했다. 제니트-2로 발사된 주요 위성으로는 체리나-2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Zenit-2 https://web.archive.[...] 2016-04-07
[2] 웹사이트 Zenit-2 http://space.skyrock[...] 2016-05-16
[3] 웹사이트 The Rocket – Zenit-3SL https://web.archive.[...] Sea Launch 2009-04-14
[4] 웹사이트 Zenit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9-04-14
[5] 웹사이트 Plesetsk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9-04-14
[6] 간행물 An Update on LEO Environment Remediation with Active Debris Removal https://orbitaldebri[...] 2011-04
[7] 웹사이트 Upper stages top list of most dangerous space debris https://spacenews.co[...] 2020-10-13
[8] 웹사이트 The Rocket - Zenit-3SL http://www.sea-launc[...] Sea Launch 2009-04-14
[9] 웹사이트 Zenit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9-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