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드레스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드레스녹은 1962년 8월, 한국 전쟁 휴전선인 비무장 지대를 넘어 북한으로 귀순한 미국 육군 상병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 불우한 환경에서 성장했고, 군 복무 중 잦은 문제로 군사 재판을 앞두고 탈영하여 월북했다. 북한에서 그는 선전 활동에 참여하고 영화에 출연했으며, 두 번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었다. 2016년 뇌졸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들은 김정은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유언을 남겼다고 밝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남자 영화 배우 - 심영 (배우)
심영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시대를 거쳐 활동한 한국의 배우이자 연극인으로, 토월회에서 데뷔하여 친일 활동 논란, 좌익 계열 활동, 김두한 총격 사건 등 격변의 시대를 겪었으며, 월북 후 북한에서 공훈배우 및 인민배우로 활동하다 숙청 후 사망 시기와 장소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귀화한 사람 - 김영길 (성악가)
김영길은 평안남도 출신의 성악가로, 일본에서 '나가타 겐지로'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며 군가와 건국 기념 노래를 발표하고 영화에 출연하는 등 친일 행적을 보였으며, 해방 후 북한으로 건너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거주한 미국인 - 조지프 T. 화이트
조지프 T. 화이트는 1982년 비무장지대를 넘어 북한으로 월북하여 김일성을 찬양하는 비디오를 공개했으며 1985년 청천강에서 익사한 미군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거주한 미국인 - 서울시티 수
한국 전쟁 당시 북한 선전 방송에 참여하여 "서울 시티 수"로 알려진 여성은 미국 태생으로 중국에서 교사로 활동하다 전쟁 발발 후 북한 방송에 참여해 미군 대상 선전 방송을 진행, 화제가 되었으나 평양으로 피난 후 북한 선전 활동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고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제임스 드레스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제임스 조지프 드레스노크 |
출생일 | 1941년 11월 24일 |
출생지 | 버지니아주 노퍽 |
사망일 | 2016년 11월 (74세) |
사망 장소 | 평양직할시 |
사망 원인 | 뇌졸중 |
별칭 | 짐 조 아서 |
국적 | (1958–1962) (1962–2016) |
군사 경력 | |
소속 | (1958–1962)}} |
복무 기간 | 1958–1962 (탈영) |
계급 | 상병 |
참전 | 없음 |
훈장 | 없음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캐슬린 링우드 (1959–1962) 도이나 붐베아 (1980년대–1997) 북한 여성과 토고 외교관의 딸 (2001–2016) |
자녀 | 3명 |
직업 | 교사, 배우, 번역가 |
2. 초기 생애
제임스 드레스녹은 1941년 5월 3일 버지니아주 노퍽에서 조지프 드레스녹 시니어와 마가렛 루실 드레스녹(결혼 전 성은 미젤)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의 가족은 가난했고, 돈 문제로 자주 다퉜다. 마가렛 드레스녹은 제임스와 그의 남동생 조지프 주니어를 데리고 몇 시간 동안 차를 몰고 도망치기도 했으며, 이들은 차에서 잠을 자며 사실상 노숙 생활을 했다. 이 기간 동안 두 소년은 학교에 다니지 못했고, 어머니가 매춘으로 돈을 벌려고 하는 동안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녔다. 결국 가족은 애틀랜타에서 그들을 찾아냈고, 마가렛은 아이들의 양육권을 잃었다. 조지프 드레스녹 시니어는 두 아이를 친척에게 맡겼는데, 제임스는 이모와 함께, 동생은 삼촌과 함께 살게 되었다. 제임스는 이모가 오빠의 아이를 키우는 것에 "짜증"을 냈고, 자신은 종종 집을 뛰쳐나갔다고 말했다.[9]
조지프와 마가렛 드레스녹은 1951년 7월 10일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서 이혼했다. 드레스녹의 아버지는 드레스녹의 어머니가 "다른 사람과 법적으로 결혼했다"고 주장하며 이혼 소송을 제기했다. 결국, 제임스의 이모는 그를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워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아버지 집으로 돌려보냈다. 그러나 이때 그의 아버지는 이미 재혼한 상태였고, 동생도 그들과 함께 살고 있었으며, 조지프 시니어는 아내에게 아들이 한 명뿐이라고 거짓말을 했다. 아버지와 계모가 다툰 다음 날 아침, 제임스의 아버지는 그를 몇 마을 떨어진 양로원에 데려가 친척을 방문하러 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제임스에게 접수실에서 기다리라고 말한 후, 조지프 시니어는 차를 몰고 떠났다.[9] 제임스는 다시는 그의 어머니, 아버지, 또는 남동생과 연락하지 않았다.[10] 드레스녹은 이 일이 있은 후, 건물을 나와 20달러를 훔치고 근처에 있던 자전거를 훔쳐 달아났다가 결국 경찰에 붙잡혔다고 말했다.[9] 소년원에 갈 뻔한 드레스녹은 글렌 앨런에 있는 장로교 목사인 카슨 T. 오버스트리트 부부의 위탁 가정에 맡겨졌고, 그곳에서 환영받는다고 느꼈다.[11]
드레스녹은 결국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17번째 생일 다음 날 미국 육군에 입대했다.[12] 짧은 휴가 기간 동안, 그는 버지니아주 리치먼드로 돌아와 교회에서 만난 캐슬린 링우드와 결혼했다.[9] 다큐멘터리 《푸른 눈의 평양시민》(Crossing the Line)에 따르면, 어린 시절에 미국인과 결혼한 후 서독에 2년간 배치되었다고 한다. 귀국 후 당시 부인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자기 아이를 버리지 않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임신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2. 1. 가족 관계와 이혼
제임스 드레스녹은 조지프 드레스녹 시니어(1917 ~ 1978)의 아들이며, 남동생은 조지프 드레스녹 주니어(1946 ~ )이다.[52] 1951년 드레스녹이 9세였을 때 리치먼드에 살던 가족은 이혼으로 인해 뿔뿔이 흩어졌으며, 드레스녹과 그의 어머니, 남동생과 아버지는 각자 다른 곳에서 살게 되었다.[53] 드레스녹은 10대 시절 위탁 가정을 전전하며 성장했다.[53]1959년 12월, 드레스녹은 뉴욕 출신의 19세 여성 캐슬린 링우드와 결혼했다.[19] 그는 푸른 눈의 평양시민(Crossing the Line)에서 어린 나이에 결혼하여 아내가 미국에 머무는 동안 자신은 2년 동안 서독에 배치되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아내에게 충실했다고 자부했지만, 귀국 후 그녀가 다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드레스녹은 아이들을 버리지 않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그녀가 임신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가 1962년에 귀순한 후에도 결혼 관계를 유지했다. 그녀는 이듬해 그가 "고의적인 유기"를 했다는 이유로 이혼 소송을 제기했다.[20]
2. 2. 군 입대와 첫 결혼
제임스 드레스녹은 조지프 드레스녹 시니어(1917 ~ 1978)의 아들로, 1951년에 가족이 이혼하면서 아버지와 함께 살게 되었다.[52][53] 10대 시절 위탁 가정을 전전하다 17세 생일 다음 날 미국 육군에 입대했다.[53] 서독에 2년간 배치되었다가 귀국 후, 1959년 12월에 뉴욕 출신의 캐슬린 링우드와 결혼했다.[19] 하지만 귀국했을 때 그녀는 이미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있었고, 드레스녹이 1962년에 귀순한 후 이듬해 이혼 소송을 제기했다.[20]3. 월북
드레스녹은 미국 육군의 상병으로 1960년대 초반 비무장 지대에 근무하였다. 미국에 있었던 첫 아내가 떠난 후, 다시 자원하여 대한민국으로 왔다. 대한민국에 입국한 이후, 기지를 떠날 수 있는 허가증에 서명을 위조한 혐의로 군법회의에 부쳐졌다. 이후 처벌을 두려워하여 탈영을 결심하게 된다.[54]
1962년 8월 15일, 동료 군인들이 점심을 먹고 있을 때, 지뢰밭을 달려 월북하였다. 조선인민군이 그를 체포하였고, 열차편으로 평양으로 이송되어 조사받았다.[54] 조사받는 과정에서 또다시 도주했는데 중국보다는 그래도 같은 백인종인 소련이 낫겠다 싶어서 다른 월북 미군들과 소련 대사관에 들어갔으나, 소련 측에서 받아 주지 않았다.
자신의 삶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고 처벌을 감수하기 싫었던 그는 1962년 8월 15일, 군사 재판과 관련하여 토마스 브라이언 대위와 만나기로 예정된 3시간 전에, 동료 병사들이 점심을 먹고 있는 동안 대낮에 지뢰밭을 가로질러 북한 영토의 기정동으로 넘어갔고, 그곳에서 북한 군인들에게 즉시 체포되었다.[9]
3. 1. 월북 과정
1962년 8월 15일, 미국 육군의 상병이었던 제임스 드레스녹은 동료 군인들이 점심 식사를 하는 동안 지뢰밭을 가로질러 월북하여 조선인민군에 체포되었다.[54] 드레스녹은 한국에 배속되어 군사 분계선에서의 경비를 맡고 있었으며, 당시 그의 계급은 이등병이었다.[39] 그는 "어린 시절, 결혼, 군대 생활 모두에 질렸다. 내가 갈 곳은 하나밖에 없었다"고 회고했다.[38]드레스녹은 미국에 있었던 첫 아내가 떠난 후, 다시 자원하여 대한민국으로 왔다. 대한민국에 입국한 이후, 기지를 떠날 수 있는 허가증에 서명을 위조한 혐의로 군법회의에 부쳐졌고, 처벌을 두려워하여 탈영을 결심하게 되었다.[54] 그는 자신의 삶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고 처벌을 감수하기 싫었던 나머지, 군사 재판과 관련하여 토마스 브라이언 대위와 만나기로 예정된 3시간 전에, 동료 병사들이 점심을 먹고 있는 동안 대낮에 지뢰밭을 가로질러 북한 영토의 기정동으로 넘어갔다.[9]
조선인민군은 드레스녹을 체포하여 열차편으로 평양으로 이송하여 조사했다.[54] 조사 과정에서 드레스녹은 다른 월북 미군들과 함께 소련 대사관에 들어가 망명을 시도했으나, 소련 측에서 받아 주지 않았다.[54]
3. 2. 월북 직후
1962년 8월 15일, 드레스녹은 동료 군인들이 점심을 먹고 있을 때 지뢰밭을 달려 월북하였다.[54] 조선인민군은 그를 체포하여 열차편으로 평양으로 이송해 조사했다.[54] 조사 과정에서 드레스녹은 또다시 도주했는데, 중국보다는 소련이 낫겠다 싶어 다른 월북 미군들과 소련 대사관에 들어가 망명을 시도했으나, 소련 측에서 받아 주지 않았다.[54]드레스녹은 부대 허가를 받기 위해 서류에 상관의 서명을 위조한 혐의로 군사 재판에 회부될 예정이었고, 처벌을 감수하기 싫었던 그는 1962년 8월 15일 군사 재판과 관련하여 토마스 브라이언 대위와 만나기로 예정된 3시간 전에, 동료 병사들이 점심을 먹고 있는 동안 대낮에 지뢰밭을 가로질러 북한 영토의 기정동으로 넘어갔고, 그곳에서 북한 군인들에게 즉시 체포되었다.[9]
1966년 봄, 배급이 부족해지자 배급 담당자가 물품 부족으로 고기 통조림을 배급할 수 없다고 말하는 한편, 돼지 한 마리를 데려왔다.[41] 드레스녹을 포함한 4명의 월북 미군은 봄부터 여름까지 돼지 한 마리를 살찌우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만추가 되어서야 겨우 살이 찌고 고기 보관에 적합한 한랭한 기후가 되었을 때 간부들의 일행이 와서 그들 앞에서 해체하기 시작했다.[41] 앱셔가 욕설을 내뱉고 총구가 겨눠졌으나, 그 자리에서 앱셔가 사과하며 마무리되었다.[41] 하지만, 4명은 진정하지 못하고, 노동당 본부로 가서 지도원이 배급품을 횡령하고 있다고 호소했다.[41] 게다가 소련 대사관이 바로 앞에 보였기 때문에 망명을 신청했지만 실패로 끝났다.[41]
4. 북한에서의 삶
드레스녹은 월북 후에 또 다른 망명자 래리 앨런 앱셔를 만났다. 이를 포함한 네 망명자들은 같이 살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서 발간하는 선전물에 참가하였다.[54] 여러 잡지 표지에 출연하였고, 대남 방송을 통하여 다른 미군의 월북을 유도하였다.[54] 처음에는 북한에 남지 않으려고 생각하여 1966년에 평양 주재 소련 영사관에 들어갔으나, 정부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54]
이후 드레스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정착하기로 하였다. 드레스녹은 홍철수라는 이름도 사용했는데, 홍은 '붉을 홍'(紅)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1978년부터 영화에 출연하기 시작하였고, 미국인 역을 맡아서 국가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 배역 이름이 아서였기 때문에 북조선인 친구에게는 아서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또한 김일성의 저작물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54][5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는 동안 그는 두 번 결혼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만난 첫 아내는 1950년 루마니아에서 태어나 이탈리아인과 1970년에 결혼하여 이탈리아로 가서 살다가 1978년에 이탈리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치된 루마니아인 여성인 도이나 붐베아(1950년 ~ 1997년)였으며, 두 아들이 있었다. 젠킨스의 자서전에서는 도나라고 언급하고 있다. 도이나가 1997년에 폐암으로 죽은 후, 토고 외교관과 결혼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성의 딸과 결혼하여 2001년에 셋째 아들을 낳았다. 그의 가족은 평양에서 국가가 지급한 아파트에 살면서 북한 정부가 지급한 연금을 받으면서 살고 있다. 현재 드레스녹은 심장 질환과 간 질환으로 건강이 안 좋은 상태이며, 흡연과 음주 때문이라고 한다.[54]
드레스녹은 여생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보낼 예정이며, 아무리 많은 돈을 주어도 귀국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현재는 은퇴한 상태로, 북조선에서 이따금씩 강연을 하며 시간을 때우기 위해서 낚시를 즐긴다.[54]
두 번째 결혼에서 낳은 차남 제임스 가브리엘 드레스녹은, 제임스 조지프 드레스녹이 1980년대에 영어를 가르치기도 했던 평양외국어대학의 학생이며, 그의 영어 억양에는 조선어가 많이 묻어 있다. 가브리엘은 북조선 사람과 결혼할 생각은 없지만 자기 자신을 북조선인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외교관 일을 하고 싶다고 하였다.[54]
2001년에는 김정일이 직접 드레스녹의 60번째 생일을 축하한다면서 많은 선물을 지급했다.
4. 1. 영화 출연과 번역 활동
드레스녹은 1978년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화에 출연하기 시작하여 미국인 역할을 맡아 국가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54][55] 특히 드라마 《이름 없는 영웅들》에서 미국인 악당 '아서 콕스테드' 역을 맡아, 북한 주민들에게 "아서"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5][5] 그는 김일성의 저작물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54][55][5]드레스녹은 월북 직후 또 다른 미국 탈북자인 래리 앨런 앱셔를 만났고, 이후 제리 패리쉬, 찰스 로버트 젠킨스를 포함하여 총 4명의 미군 탈북자들이 함께 생활하며 북한 정부의 선전 활동에 참여했다.[5] 이들은 잡지 표지에 등장하고, 대남 방송을 통해 다른 미군의 월북을 유도했다.[54]
4. 2. 결혼과 가족
드레스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두 번 결혼하였다.[54] 첫 번째 아내는 1978년 이탈리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치된 루마니아 여성 도이나 붐베아(1950년 ~ 1997년)였으며,[54] 그녀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 테오도어 드레스녹(1980년 출생)[28]과 제임스 가브리엘 드레스녹(1982년경 출생)[21]을 낳았다.[54] 붐베아는 1997년 폐암으로 사망했다.[54][28]붐베아 사후, 드레스녹은 토고 외교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딸과 재혼하여 2001년 셋째 아들 토니를 낳았다.[54] 드레스녹 가족은 평양에서 국가가 지급한 아파트에 살면서 북한 정부가 지급한 연금을 받으며 생활했다.[54] 드레스녹은 심장 질환과 간 질환을 앓고 있었는데, 이는 흡연과 음주 때문이라고 한다.[54]
4. 3. 북한 생활과 건강
드레스녹은 평양에서 국가가 지급한 아파트에 살면서 연금을 받으며 생활했다.[54] 그는 심장 질환과 간 질환을 앓았으며, 이는 흡연과 음주 때문이라고 한다.[54]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는 동안 두 번 결혼하였다. 첫 번째 아내는 루마니아인 여성인 도이나 붐베아였으며, 두 아들을 두었다. 1997년 그녀가 폐암으로 사망한 후, 토고 외교관과 결혼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성의 딸과 재혼하여 2001년에 셋째 아들을 얻었다.[54]4. 4. 북한 체제에 대한 입장
드레스녹은 여생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보낼 것이며, 아무리 많은 돈을 주어도 귀국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54] 그는 은퇴 후 가끔 강연을 하고 낚시를 즐겼다.[54] 드레스녹은 1966년 평양 주재 소련 영사관에 망명을 요청했으나, 북한 당국에 발각되어 실패한 이후 북한에 정착하기로 결심하였다.[5]그는 월북 직후 래리 앨런 앱셔를 포함한 네 명의 미군 망명자들과 함께 살면서 북한 정부의 선전 활동에 참여했다.[5] 잡지 표지에 등장하고 대남 방송을 통해 다른 미군의 월북을 유도하기도 했다.[54][5] 1978년부터는 여러 영화에 미국인 악역으로 출연하여 유명 인사가 되었고, 김일성의 저작물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54][55][5][16]
드레스녹은 1990년대 북한 기근 동안에도 "미국 정부와 일본의 제재 때문에"[17] 정부로부터 충분한 식량을 배급받았다고 주장하며, "위대한 수령님은 우리에게 특별한 배려를 베풀었습니다. 정부는 내가 죽는 날까지 나를 돌볼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8]
5. 사망
제임스 드레스녹은 2016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49][50][51] 향년 74세였다. 2017년 8월, 드레스녹의 아들들은 그가 2016년 11월에 뇌졸중으로 사망했음을 확인했다.[34][35]
그의 아들들은 아버지가 김정은에게 충성을 다하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밝혔다.[30][36] 또한, 이들은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 공격을 감행할 경우 미국이 파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30][36]
2017년 4월, 서방 뉴스 기관인 NK 뉴스는 드레스녹이 전년도에 사망했다고 보도했다.[33]
2001년에는 김정일이 직접 드레스녹의 60번째 생일을 축하한다면서 많은 선물을 지급했었다.
6. 유산과 영향
6. 1. 두 아들의 삶
6. 2. 드레스녹 사건이 남긴 것
7. 출연 영화
드레스녹은 북한에서 여러 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 이름 없는 영웅들(1978)[16]
- 오후 5시부터 오전 5시까지(1990)[37]
- 크로싱 더 라인(2006)[16]
7. 1. 주요 출연작
- 이름 없는 영웅들(1978)[16]
- 오후 5시부터 오전 5시까지(1990)[37]
- 크로싱 더 라인(2006)[16]
참조
[1]
문서
Virginia, Birth Records, 1912–2014, Delayed Birth Records, 1854–1911
Virginia Department of Health, Richmond, Virginia
[2]
웹사이트
The Americans Who Chose To Live in North Korea
https://www.youtube.[...]
BBC
[3]
간행물
Report of the detailed findings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on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A/HRC/25/CRP.1
http://www.ohchr.org[...]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2014-02-07
[4]
웹사이트
World Documentary Competition, “Crossing the Line” (2006)
http://festival.sund[...]
2007 Sundance Film Festival
2007-01-28
[5]
뉴스
An American in North Korea.
http://www.cbsnews.c[...]
60 Minutes
2007-01-28
[6]
뉴스
In from the Cold
http://www.time.com/[...]
Time
2004-11-04
[7]
뉴스
An American in North Korea, Pledging Allegiance to the Great Leader
https://www.nytimes.[...]
2006-10-19
[8]
웹사이트
Full Cast and Crew for Crossing the Line
http://imdb.com/titl[...]
IMDb profile
2007-01-28
[9]
Youtube
James Dresnok: The US Soldier Who Defected to North Korea
https://www.youtube.[...]
Biographics
2019-07-22
[10]
웹사이트
Man Hopes His Brother Alive
http://scholar.lib.v[...]
1996-01-18
[11]
웹사이트
The Defector
https://www.stylewee[...]
2023-02-15
[12]
서적
North Korea Undercover: Inside the World's Most Secret State
https://books.google[...]
Pegasus Books
2017-08-21
[13]
뉴스
'The Dear Leader takes care of me'
https://www.theguard[...]
2023-02-15
[14]
웹사이트
PENTAGON: SOLDIERS RAN OFF TO N. KOREA
https://www.dailypre[...]
2023-02-15
[15]
웹사이트
Classic North Korean film about and starring US defectors has been converted into colour
https://koryogroup.c[...]
Koryogroup.com
2018-12-06
[16]
뉴스
Last US defector in North Korea
http://news.bbc.co.u[...]
2009-05-01
[17]
Youtube
"North Korea Documentary About a US Army soldier who defected to North Korea"
[18]
웹사이트
An American in North Korea, Pledging Allegiance to the Great Leader
https://www.nytimes.[...]
2006-10-19
[19]
문서
Virginia, Marriage Records, 1936-2014
[20]
문서
Virginia, Divorce Records, 1918-2014
[21]
뉴스
N. Korea kidnap victim's brother wants Pyongyang to come clean
http://www.bangkokpo[...]
2014-03-17
[22]
뉴스
Political kidnappings, North Korean style
https://www.usatoday[...]
2014-12-26
[23]
웹사이트
"Romanian Woman Kidnapped by N. Korea in 1978"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7-03-22
[24]
웹사이트
“Romanian brother of Pyongyang abductee visits”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7-04-21
[25]
서적
The Reluctant Communist: My Desertion, Court-Martial, and Forty-Year Imprisonment in North Kore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26]
웹사이트
Ministerul Afacerilor Externe
http://www.mae.ro/in[...]
[27]
웹사이트
Japonia mizează pe ajutorul României, în relaţia cu Phenianul pe tema răpirilor
http://www.realitate[...]
2015-12-28
[28]
뉴스
An American GI defected to North Korea. Now his sons are propaganda stars.
https://www.washingt[...]
2016-05-25
[29]
Youtube
Dresnok
https://m.youtube.co[...]
2018-05-19
[30]
Youtube
민족통신, 미국인 조선공민과 특별대담 -54년전 3.8선 넘어온 미국 병사의 두자녀는 말한다-
https://m.youtube.co[...]
[31]
웹사이트
The Australian who shot a North Korean propaganda film
https://www.bbc.com/[...]
2016-01-21
[32]
Youtube
- YouTube
https://m.youtube.co[...]
[33]
웹사이트
Jim Dresnok, American who defected to N.Korea in 1962, died in 2016
https://www.nknews.o[...]
2017-04-10
[34]
뉴스
Sons confirm death of US soldier James Dresnok, who defected to North Korea
https://www.theguard[...]
2017-08-21
[35]
뉴스
A U.S. soldier who defected to North Korea in 1962 has died, his Pyongyang-born sons say
https://www.washingt[...]
2017-08-21
[36]
뉴스
Sons of US defector to North Korea James Dresnok speak out after father's death – video
https://www.theguard[...]
2018-05-20
[37]
IMDb
From 5 p.m. to 5 am
[38]
문서
ジェンキンス(2006)pp.292-298
[39]
문서
ジェンキンス(2006)pp.57-60
[40]
문서
ジェンキンス(2006)pp.71-78
[41]
문서
ジェンキンス(2006)pp.78-82
[42]
문서
ジェンキンス(2006)pp.82-85
[43]
Youtube
A Romanian woman kidnapped by North Koreans - DOINA BUMBEA
http://www.youtube.c[...]
[44]
웹사이트
Romanian Foreign Office
http://www.mae.ro/in[...]
[45]
웹사이트
Realitatea
http://www.realitate[...]
[46]
뉴스
An American in North Korea
CBS Television
2007-01-28
[47]
뉴스
An American in North Korea, Pledging Allegiance to the Great Leader
http://travel2.nytim[...]
New York Times
2006-10-19
[48]
웹사이트
北朝鮮データ集
http://ricky4968.web[...]
[49]
웹사이트
Jim Dresnok, American who defected to N.Korea in 1962, died in 2016
https://www.nknews.o[...]
2017-04-15
[50]
뉴스
最後の脱走米兵、死去=息子2人が確認-北朝鮮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2017-08-21
[51]
뉴스
얼핏 보면 서양인 같은데…“미국 쓸어 버릴 것”
KBS뉴스라인
2017-08-23
[52]
문서
조셉 드레스녹 시니어는 1917년 2월 3일 태어났으며 1978년 3월 사망하였다.
[53]
뉴스
Man Hopes His Brother Alive
http://scholar.lib.v[...]
1996-01-18
[54]
뉴스
An American in North Korea.
http://www.cbsnews.c[...]
60 Minutes
2007-08-21
[55]
뉴스
Last US defector in North Korea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