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임스 마르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마르시아는 1937년 출생한 심리학자로, 청소년기 심리사회적 발달과 평생 정체성 발달에 관한 연구로 유명하다. 그는 에릭 에릭슨의 정체성 발달 이론을 체계화하여, 청소년기 정체성 성취 과정을 위기와 전념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설명했다. 마르시아는 정체성 발달 연구를 위해 개발한 정체성 지위 면접을 통해, 정체성 유실, 정체성 혼미, 정체성 유예, 정체성 성취의 네 가지 정체성 지위를 구분했다. 그의 이론은 다양한 연령대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회적 행동과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데 활용되지만, 정체성 지위의 발달 순서, 의식적인 탐색의 필요성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심리학자 - 조던 피터슨
    조던 피터슨은 캐나다 출신의 심리학자, 작가, 유튜버로, 토론토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하며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대중 강연과 저서를 통해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다.
  • 캐나다의 심리학자 - 쉬나 아이엔가
    쉬나 아이엔가는 선택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학자이자 작가로, 시각 장애를 극복하고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로 임용되어 소비자의 행동, 조직의 의사 결정, 리더십 등의 분야를 연구하며 《선택의 기술》과 《더 크게 생각하라: 혁신하는 방법》을 저술했다.
  • 발달심리학자 - 제롬 브루너
    제롬 브루너는 인지 심리학, 발달 심리학, 교육 심리학에 기여한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인지 과학자로, 인지 혁명을 주도하고 발견 학습, 나선형 교육과정, 비계 개념 등을 제시하며 교육 개혁과 서사 심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발달심리학자 -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누고 '스키마', '동화', '조절' 개념을 통해 인지 발달 과정을 분석한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인식론자로서, 발달심리학, 교육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회심리학자 - 대니얼 카너먼
    대니얼 카너먼은 1934년 텔아비브에서 태어난 심리학자이자 행동 경제학자로, 판단과 의사 결정에 대한 연구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3월에 사망했다.
  • 사회심리학자 - 앨버트 반두라
    앨버트 반두라는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인지이론을 정립하고 보보 인형 실험을 통해 관찰 학습의 중요성을 입증했으며, 자기 효능감 개념을 제시하여 인간의 사고, 동기, 행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기여한 캐나다 출신의 심리학자이다.
제임스 마르시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제임스 마르시아
출생일1937년 2월 10일
출생지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직업심리학자
모교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2. 어린 시절과 교육

마르시아는 1937년 2월 10일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나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테니스, 연극, 스피치, 음악을 연마하며 성장했으며, 역사, 영어, 철학 등 다양한 과목을 탐구했다. 1959년 오하이오주 스프링필드의 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심리학 학사 학위를, 1965년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임상 심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5][6]

3. 경력

마르시아는 1965년 버팔로 대학교에서 교수이자 심리학 클리닉 책임자로 전문 경력을 시작했다.[5] 1972년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로 옮겨 30년간 가르치다 은퇴했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에서 그는 대학원생들에게 훈련과 감독 기회를 제공하고 대중에게 임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초의 임상 심리학 센터를 설립했다. 연구, 강의, 지역 사회 심리학이 주요 활동이었지만,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음악 학교에서 트롬본 연주를 전공하기도 했다.[5] 은퇴 후에는 개인 임상 진료를 계속하면서, 밴쿠버의 교향악단과 밴드에서 베이스 및 테너 트롬본을 연주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7]

4. 자아 정체성 지위 이론

에릭 에릭슨은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규범적 갈등은 정체성 성취와 역할 혼동 사이의 대립이라고 제안했는데, 이는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의 다섯 번째 단계이다.[8] 마르시아는 이 단계가 에릭슨이 주장한 것처럼 '정체성 해결'이나 '정체성 혼란'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정치, 직업, 종교, 친밀한 관계, 우정, 성 역할을 포함한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정체성을 탐구하고 헌신한 정도에 따라 더 잘 이해될 수 있다고 보았다.[9] 청소년이 그러한 약속을 해야 하는 두 가지 중요한 영역은 이념과 직업이다.[10]

마르시아의 정체성 성취 이론에 따르면, 청소년 정체성 성취에는 '선택 또는 위기의 시간'과 '헌신'이라는 두 가지 뚜렷한 부분이 있다. 그는 위기를 이전의 가치나 선택을 재검토하고 새로운 대안을 탐구하는 격변의 시간, 즉 '개인이 대안적인 직업과 신념 중에서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것처럼 보이는 청소년기'라고 정의했다.[11] 탐구와 헌신은 모두 정체성 위기 동안 결과의 차이에 기여하는 두 가지 과정이다. 즉, 정체성 대안을 탐구하는지 여부와 선택한 대안에 헌신하는지 여부(그 정도)이다.

5. 네 가지 정체성 지위

에릭 에릭슨은 청소년기의 규범적 갈등이 정체성 성취와 정체성 혼미 사이의 대립이라고 보았다. 제임스 마르시아는 에릭슨의 이론을 확장하여, 청소년기 정체성 문제는 정체성 해소나 혼미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정체성을 탐색하고 획득하기 위해 전념하는 정도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소년들이 전념해야 하는 두 가지 중요한 영역으로 이념과 직업을 꼽았다.[36]

마르시아는 정체성 발달 이론에서 위기(crisis)와 전념(commitment)이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를 제시했다. 위기는 격동의 시기로, 청소년들이 기존의 가치나 선택을 재검토하고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는 시기이다. 그는 위기를 '청소년 시기 중, 여러 직업과 신념에 관한 대안들 중에서 무언가를 활발하게 선택하는 시기'로 정의했다.[37] 탐색과 전념이라는 두 과정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정체성 위기의 결과가 달라진다. 즉, 새로운 정체성 대안을 탐색할지, 어느 정도 범위까지 탐색할지, 그리고 선택한 대안에 전념할지 여부가 중요하다.

마르시아는 정체성 지위 면담(Identity Status Interview)이라는 준구조화 면담 도구를 개발하여 개인의 정체성 연구에 활용했다. 이 면담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개인의 탐색과 전념 범위를 조사한다. 마르시아와 동료들은 면담 자료를 평가하여 네 가지 가능한 정체성 지위를 도출했다.

마르시아가 분류한 네 가지 정체성 지위는 다음과 같다.

정체성 지위설명
정체성 유실대안 탐색 없이 전념이 이루어진 상태
정체성 혼미탐색이나 전념을 하지 않는 무형태의 상태
정체성 유예위기 상태에서 대안 탐색은 활발하지만 전념이 없거나 모호한 상태
정체성 성취위기를 겪고 정체성 탐색과 전념을 수행하여 정체성을 확립한 상태


5. 1. 정체성 유실 (Foreclosure)

정체성 유실(정체성 폐쇄, 정체성 조기 성숙) 지위는 대안 탐색 없이 전념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며, 자녀가 문제 제기 없이 받아들인 부모의 생각이나 신념에 기반하여 전념하기도 한다.[38] 예를 들어, 아버지가 감리교도에 공화당 지지자인 농부라면, 아들 역시 문제 제기를 거의 하지 않고 감리교도에 공화당 지지자인 농부가 되거나 비슷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 경우 아무리 아들이 전념하였다고 하여도 정체성을 달성하였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39]

전당계약에서 채무자가 기한 내에 채무를 변제하지 못하면, 계약에 따라 채권자는 채무자로부터 원금을 받지 못하고 대신 채무자가 맡긴 담보물을 자기 소유로 하고 처분하여 채무 대금을 충당하는 ‘유질처분(流質處分, foreclosure)’처럼, 청소년 자녀는 자의 혹은 타의로 부모가 물려준 정체성을 부모에게 돌려주지 않고 자신의 소유로 만들게 된다. 청소년이 부모가 규정해 준 정체성에 반대하여 다른 하나의 정체성을 채택하면, ‘부적 정체성(negative-identity)’이 형성될 수 있다. 청소년들이 ‘유질처분’을 통하여 권위적인 가치관들을 지지하는 현상에 대하여, 마르시아는 ‘유질처분’을 부모의 또 다른 자아가 되는 것이라고 보는 청소년들의 관점과 완전히 일치한다고 보았다.[40]

마르시아는 정체성 위기가 일단 닥치면, 더 이상 정체성 상실 지위로 돌아갈 수 없다고 보았다.[41]

5. 2. 정체성 혼미 (Identity diffusion)

정체성 발달의 필요성을 대면하지 못하는 청소년은 정체성 혼미(혹은 정체성 혼란, 정체성 혼돈)라는 아무 형태도 없는 상태로 남게 되어 탐색이나 전념을 하지 않는다. 이 상태는 사회적 고립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42] 정체성 혼미는 네 가지 정체성 지위들 중에서 가장 단조롭고 미성숙하며,[43] 인생을 규정짓는 영역들을 통틀어서 해야 할 탐색도 전념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들은 정체성 위기를 겪을 수도, 겪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때마다 이들은 문제에 관심이 거의 없거나 계속 결단을 내리지 않는다.

정체성 혼미 지위의 사람들은 자신에게 부여되는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불안을 많이 겪지 않는다. 그러나 신경 쓰고 돌봐야 할 것들이 많아질수록, 이들은 정체성 유예 지위로 가게 되거나, 혹은 정신 혼란으로 인하여 조현병 환자가 되거나,[44] 혹은 부적 정체성 역할이나 자멸적 정체성 역할을 채택한다.[45]

5. 3. 정체성 유예 (Moratorium)

정체성 유예 지위(혹은 일시적 정지)는 위기 상태에서 전념하지 않거나 전념 활동이 모호하지만 대안 탐색은 활발히 하는 상태이다.[46] 정체성 유예 지위의 학생들은 다른 지위의 학생들보다 더 많은 불안을 겪으며, 이들에게 있어 현실은 예측 불가하기에, 이들은 세상을 예측 가능한 것으로 만들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한다.[47]

이러한 불안에도 불구하고, 포스트모던적 경향은 사람들로 하여금 정체성 유예 지위에 더 오래 머물도록 했는데, 게일 쉬히는 이 현상을 ‘잠정적 성인기(Provisional Adulthood)’라고 명명하였다.[48] 마찬가지로, 제프리 아넷의 새로운 성인기는 정체성 탐구를 주요 측면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정체성 유예와 많은 속성을 공유한다.[22]

5. 4. 정체성 성취 (Identity achievement)

마르시아는 정체성 위기를 겪고 이를 극복하면, 정체성 혼미 상태에서 정체성 유예 상태를 거쳐 정체성 성취 상태로 발전한다고 보았다.[49] 이러한 발전은 위기를 겪고 정체성을 탐색하며 전념하는 사람들의 지위이다. 마르시아는 정체성을 성취한 학생들은 외부가 아닌 내면에서 자기규정 소재(locus of self-definition)를 발달시켰다고 설명하며 자신의 이론을 증명하였다.[50]

마르시아는 "확산에서 모라토리엄을 거쳐 정체성 성취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진행 과정"이라고 생각했다.[23] 따라서 정체성 성취는 일반적으로 위기를 경험하고, 정체성 탐구를 거쳐, 헌신을 한 사람들의 상태이다. 마르시아는 "정체성을 성취한 학생들이 외부적 정의가 아닌, 내면적 자아 정의의 중심을 발전시켰다"는 그의 "학생들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발견했다.[24]

6. 정체성 지위 이동

정체성 지위 이동은 평생에 걸쳐서 발생한다. 청소년기 후반에서 성년기 초반에 정체성 지위 변화는 퇴행하는 것이 아니라 발전하는 것이 될 가능성이 2배 이상 된다.[51] 장기간적으로 살펴보면, 지위 변화는 정체성 유예 지위에서 정체성 성취 지위로 전이하는 것이 가장 흔하다.[52]

이러한 전이는 정체성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하기도 한다.[53] 마르시아는 불균형과 관련하여 지위 변화가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정체성 위기는 성년기 중후반 단계나 삶에서 맞닥뜨리는 중대한 사건의 형태로 오게 된다.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배우자나 연인의 죽음, 실직, 이사 등과 같은 중대 사건들은 불균형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개인이 모종의 정체성 유형을 구축해 둔 상태에서만 발생한다. 정체성 혼미 지위는 침체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정체성을 구축하는 노력을 한 적이 없기에 재구축할 정체성 자체가 없다. 정체성 상실 지위의 경우, 대부분은 어렸을 때와 유사한 환경에 살기를 택하여서 변화하지 않는다. 정체성 불균형은 정체성 상실 지위의 사람들에게 매우 파괴적인 효과를 가져다 준다.

정체성 불균형 상태가 발생하면, 재구축 기간이 시작된다. 이 기간은 ‘유예-성취-유예-성취 주기(MAMA 주기)’로 불린다.[54] 세 심리사회적 단계와 어우러져 개인에게는 최소 3번의 MAMA 주기가 발생한다.[55] 재구축 기간동안 개인은 초기 정체성 지위로 퇴행(regress)한다.[56] 낡은 구성체들이 무너져서 정체성에 더 적합한 새로운 구성체들이 구축되는 것이 핵심이다.[57] 재구축 과정에서 이전 정체성과의 연속성은 계속 존재하지만, 새로운 구축이 새로운 삶의 경험과 전념들을 포함하면서 확장된다.[58]

7. 적용과 비판

마르시아는 청소년 후반에 주목하였으나, 그의 이론은 다양한 정체성 위기가 발생하는 성년 중후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 연구에서는 마르시아의 정체성 지위 모델과 사회적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모색하여, 19~35세 사이 연령대의 젊은 성인들에 주목하였다.[59] 정체성 지위는 특정한 어느 한 연령대에 제한된 것이 아니다. 개인은 종교적 신념, 이념, 직업 선호도와 같은 정체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평생 탐색한다.[60]

마르시아의 준구조화 면담 방식을 사용하면 연구를 다양한 문화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정체성 지위들에 대한 비교문화 타당화(cross-cultural validation) 연구가 많이 있었다.[61]

그러나 비판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네 가지 정체성 지위는 발달 순서(developmental sequence)에서는 작동되지 않는다.
  • 정체성 성취 지위에서 의식적 탐색은 요구되지 않거나 발생하지 않는다.
  • 정체성 지위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어떻게 발달이 이뤄질 것인가에 관한 문제보다는, 정체성 지위 유형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에 더 집중한다.[62]

참조

[1] 서적 Created for Significance https://books.google[...] Author Solutions, Incorporated 2015-07-01
[2] PDF https://ubir.buffalo[...] 2022-03
[3] 간행물 Sport Psychology http://dx.doi.org/10[...] SAGE Publications, Ltd 2021-06-23
[4] 웹사이트 James Marcia - Identity Status https://www.assessme[...]
[5] 웹사이트 James Marcia - American Board of Assessment Psychology https://www.assessme[...]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7-01
[7] 웹사이트 Marcia – Cherry Classics Music https://cherryclassi[...] 2024-07-22
[8] 웹사이트 Ident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and Adulthood https://oxfordre.com[...] 2021-05-05
[9] Webarchiv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us http://www.garfield.[...] 2007-06-16
[10] 문서 Ego-Identity Status Penguin
[11] 문서 Ego-Identity Status
[12] 학술지 Identity Status Interview http://dx.doi.org/10[...] 2021-06-22
[13] 웹사이트 15.2: James Marcia – Theory of Identity Development https://socialsci.li[...] 2024-07-22
[14] 문서 Ego-status Identity
[15] 문서 Ego-Identity Status
[16] 문서 Ego-Identity Status
[17] 문서 Identity Formation, Agency and Culture
[18] 문서 Ego-Identity Status
[19] 문서 Developmental Psychology
[20] 웹사이트 15.2: James Marcia – Theory of Identity Development https://socialsci.li[...] 2024-07-22
[21] 문서 New Passages
[22] 학술지 Emerging Adulthood: What Is It, and What Is It Good For? https://srcd.onlinel[...] 2007-12
[23] 문서 Ego-identity Status
[24] 문서 Ego-identity Status
[25] 논문 Identity status change during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 meta-analysis
[26] 논문 Life transitions and stress in the context of psychosocial development
[27] 논문 Life transitions and stress in the context of psychosocial development
[28] 논문 Treading fearlessly: A commentary on personal persistence, identity development, and suicide
[29] 논문 Identity statuses and prosocial behaviors in young adulthood: A brief report
[30] 서적 Human Motor Development http://dx.doi.org/10[...] 2017-04-25
[31] 문서 Handbook of Stressful Transitions Across the Lifespan
[32] 웹사이트 Created for Significance google.com 2015-07-01
[33] URL https://ubir.buffalo[...]
[34] 웹사이트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 2015-07-01
[35]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us
[36] 서적 Ego-Identity Status Penguin 1973
[37] 문서 Ego-Identity Status
[38] 웹사이트 https://social.jrank[...]
[39] 문서 Ego-status Identity
[40] 문서 Ego-Identity Status
[41] 문서 Ego-Identity Status
[42] 웹사이트 https://social.jrank[...]
[43] 서적 Identity Formation, Agency and Culture 2002
[44] 문서 Ego-Identity Status
[45] 서적 Developmental Psychology London 1997
[46] 웹사이트 https://social.jrank[...]
[47] 문서 Ego-Identity Status
[48] 서적 New Passages London 1996
[49] 문서 Ego-identity Status
[50] 문서 Ego-identity Status
[51] 논문 Identity status change during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 meta-analysis 2010
[52] 논문 Identity status change during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 meta-analysis 2010
[53] 간행물 Life transitions and stress in the context of psychosocial development 2010
[54] 간행물 Life transitions and stress in the context of psychosocial development
[55] 간행물 Life transitions and stress in the context of psychosocial development 2010
[56] 간행물 Treading fearlessly: A commentary on personal persistence, identity development, and suicide 2003
[57] 간행물 Life transitions and stress in the context of psychosocial development 2010
[58] 간행물 Treading fearlessly: A commentary on personal persistence, identity development, and suicide 2003
[59] 논문 Identity statuses and prosocial behaviors in young adulthood: A brief report 2006
[60] 웹사이트 https://social.jrank[...]
[61] 서적 Handbook of Stressful Transitions Across the Lifespan 2009
[62] 서적 Handbook of Stressful Transitions Across the Lifespan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