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0보병사단 (독일 국방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활동한 사단이다.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에 참여했으며, 폴란드 침공과 프랑스 침공에 투입되었다. 이후 제10차량화보병사단, 제10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되었다. 1944년 키예프 전투에서 전멸한 후 재편성되었으나, 1945년 폴란드에서 다시 괴멸되었고, 전쟁 말기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소련군에 항복했다. 주요 지휘관으로는 알프레트 베거, 콘라트 폰 코헨하우젠, 아우구스트 슈미트 등이 있으며, 폴란드 침공 과정에서 민간인 학살에 연루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352보병사단
제352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1943년 11월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오마하 해변을 방어하다 큰 피해를 입고 해체된 후, 1944년 9월 제352국민척탄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5년 4월 다름슈타트에서 전멸하며 해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은 1934년 창설되어 폴란드, 서유럽, 동부 전선에 참전했으며, 부다페스트 전투에서 궤멸된 후 재편성되어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 - 1935년 설립 - 캠프 데이비드
캠프 데이비드는 메릴랜드주 캐탁틴 산맥에 위치한 미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1938년 휴양 시설로 개장 후 1942년 대통령 별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주요 국제 회담 및 외교 협상 장소로 활용되어 왔다. - 1935년 설립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은 기쿠치 칸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기려 제정한 일본의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 신인 및 중견 작가의 단편 및 중편 소설을 대상으로 매년 두 차례 시상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회중시계가 수여되고 문예춘추에 수상작이 게재되지만, 저널리즘적 성격과 심사 과정, 심사위원 구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1945년 설립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여운형이 건국동맹을 모체로 일본 패망 직후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과 행정권을 이양받아 발족한 단체로, 일제 타도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전국적인 치안 유지와 행정 공백 해소에 기여했으나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해체되었다. - 1945년 설립 -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은 194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이후 전력을 구축하고 율곡 계획과 군 현대화 정책을 통해 현대화되었으며, 국제 사회에 기여하고 대양해군 건설을 목표로 함정 및 항공기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며 해군본부, 해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등을 운영하고 약 7만 명의 병력과 170여 척의 함정, 60여 대의 항공기를 운용하는 대한민국의 해상 및 상륙 작전을 담당하는 군대이다.
제10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제10보병사단 |
원어 명칭 | 10. Infanterie-Division (독일어) |
기타 명칭 | 제10기계화보병사단 (10. Infanterie-Division (mot.)) 제10기갑척탄병사단 (10. Panzergrenadier-Division) |
복무 기간 | 1934년 10월 1일 – 1945년 5월 8일 |
소속 국가 | 나치 독일 |
군종 | 육군 |
병과 | 보병 기갑척탄병 |
역할 | 기계화 보병 |
규모 | 사단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
해체 | 1945년 5월 8일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해당사항 없음 |
편성 | |
1939년 – 1943년 | 보병 연대 20 보병 연대 41 보병 연대 85 사단 지원 부대 10 |
1943년 6월 – 1945년 5월 | 기갑척탄병 연대 20 기갑척탄병 연대 41 전차 대대 7 장갑 정찰 대대 110 사단 지원 부대 10 |
2. 부대 역사
제10보병사단은 1938년 3월 오스트리아 병합에 참가했고,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 1940년 5월 프랑스 침공에 참가했다. 이후 '''제10차량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고, 1943년 6월 '''제10기갑척탄병사단'''으로 다시 개편되었다.[1]
1944년 8월, 키에프 전투와 이어진 방어전에서 전멸하였다. 그해 10월,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재편되어 전투단 형태로 전선에 복귀했다. 1945년 1월 폴란드에서 다시 괴멸되었고, 2월에 부분 재편되었다. 이 사단은 전쟁 말기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소련군에 항복했다.[1]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1938년 3월, 오스트리아 병합에 참가했으며,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 1940년 5월 프랑스 침공에 참가했다. 그 후 사단은 '''제10차량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고, 1943년 6월에 '''제10기갑척탄병사단'''으로 다시 개편되었다.2. 2. 동부 전선 투입과 재편
1938년 3월, 오스트리아 병합에 참가했으며,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 1940년 5월 프랑스 침공에 참전했다. 이후 제10보병사단은 '''제10차량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고, 1943년 6월에는 '''제10기갑척탄병사단'''으로 다시 개편되었다.[1]1944년 8월, 키에프 전투와 이어진 방어전에서 사단은 전멸하였다. 그해 10월,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재편되어 전투단 형태로 전선에 복귀했다. 1945년 1월 폴란드에서 다시 괴멸되었고, 2월에 부분 재편되었다. 이 사단은 전쟁 말기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소련군에 항복했다.[1]
2. 3. 종전
1938년 3월, 오스트리아 병합에 참가했으며,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 1940년 5월 프랑스 침공에도 참가했다. 그 후 '''제10차량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고, 1943년 6월 '''제10기갑척탄병사단'''으로 다시 개편되었다.1944년 8월, 키에프 전투와 이어진 방어 전투에서 전멸하였다. 그해 10월,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재편성되었고, 전투단이 되어 전선에 복귀했다. 1945년 1월 폴란드에서 다시 괴멸되어 2월에 부분 재편성되었다. 이 사단은 전쟁 말기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소련군에 항복했다.
3. 주요 참전 전투
(내용 없음)
4. 역대 지휘관
취임일 | 계급 | 성명 |
---|---|---|
Generalleutnantde | 알프레트 베거 | ||
Generalleutnantde | 콘라트 폰 코헨하우젠 | ||
Generalleutnantde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뢰퍼 | ||
Oberstde | 한스 트라우트 | ||
Generalleutnantde | 아우구스트 슈미트 | ||
Generalmajorde | 발터 헤롤트 | ||
Oberstde | 알렉산더 비알 | ||
Generalmajorde | 카를-리하르트 코스만 |
5. 부대 편제
제10보병사단은 시기별로 편제가 달라졌다. 1939년에는 보병사단, 1943년에는 차량화보병사단, 1944년에는 기갑척탄병사단으로 편제가 바뀌었다. 각 시기별 세부 편제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39년 (보병사단) | 1943년 (차량화보병사단) | 1944년 (기갑척탄병사단) |
---|---|---|
제20보병연대 등 | 제20척탄병연대(차량화) 등 | 제7기갑대대 등 |
5. 1. 1939년 (보병사단)
부대 |
---|
제20보병연대 (Infanterie-Regiment 20de) |
제41보병연대 |
제85보병연대 |
제10포병연대 (Artillerie-Regiment 10de) |
제46포병연대 제1대대 (I./Artillerie-Regiment 46de) |
제10(포병)관측대대 (Beobachtungs-Abteilung 10de) |
제10대전차포대대 (Panzerabwehr-Abteilung 10de) |
제10공병대대 (Pionier-Bataillon 10de) |
제10통신대대 (Nachrichten-Abteilung 10de) |
제10야전보충대대 (Feldersatz-Bataillon 10de) |
제10사단보급대 (Infanterie-Divisions-Nachschubführer 10de) |
5. 2. 1943년 (차량화보병사단)
명칭 | 상세 |
---|---|
제20척탄병연대 | 차량화 |
제41척탄병연대 | 차량화 |
제10포병연대 | 차량화 |
제40오토바이대대 | Kradschützen-Bataillonde |
제10정찰대대 | |
제10대전차대대 | Panzer-Jäger-Abteilung|판처예거압타일룽de |
제10공병대대 | 차량화 |
제10통신대대 | 차량화 |
제10야전보충대대 | |
제10사단지원대 |
5. 3. 1944년 (기갑척탄병사단)
1944년 (기갑척탄병사단) |
---|
6. 기사십자장 서훈자
연도 | 날짜 | 이름 |
---|---|---|
1939년 | 10월 27일 | 아우구스트 슈미트 |
1940년 | 6월 24일 | 볼프강 제머 |
1940년 | 8월 15일 | 프리츠 쉬테거 |
7. 전쟁 범죄
1939년 폴란드 침공 과정에서 제10보병사단 소속 일부 부대가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주장이 있다. 이들은 제17보병사단 병력과 함께 최소 14명의 민간인을 학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참조
[1]
서적
Die Militärische Niederwerfung der Wehrmacht
Deutsche Verlags-Anstalt
[2]
간행물
Zbrodnie Wehrmachtu w Polsce – Wrzesień 1939
http://www.ipn.gov.p[...]
Instytut Pamięci Narodowej
20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