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은 미국 육군 제101공수사단을 지원하는 부대로, 다양한 명칭 변경과 재편성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1956년 창설 이후,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 주요 군사 작전에 참여했으며, 2015년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었다. 이 부대는 2개의 대대와 2개의 배속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이프라이너'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101지원여단 문양
제101지원여단 병과 식별 표지
국가미국
소속미국 육군
종류현역
역할지원
규모여단
지휘 구조FORSCOM
주둔지켄터키주 포트 캠벨
별칭(정보 없음)
후원자(정보 없음)
모토(정보 없음)
색상(정보 없음)
군가(정보 없음)
마스코트(정보 없음)
장비(정보 없음)
전투(정보 없음)
기념일(정보 없음)
훈장(정보 없음)
전투 명예(정보 없음)
지휘관
지휘관(정보 없음)
주목할 만한 지휘관(정보 없음)
식별
여단 및 예하 부대의 에어본 배경 장식
배경 장식 (여단 및 예하 부대)
제101공수사단의 전투 근무 식별 배지
전투 근무 식별 배지 (CSIB)
여단의 이전 어깨 소매 휘장 및 CSIB
여단의 이전 어깨 소매 휘장 및 CSIB

2. 역사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은 1956년 7월 1일, 캠프벨 요새에서 제101공수사단 지원단으로 창설되었다. 당시 지원단은 제326공수 의무 중대, 제426공수 병참 중대, 제101 공수 지원 및 정비 중대, 본부, 본부 파견대 및 사단 군악대로 구성되었다.

1957년 4월에 부대 개편이 있었다. 1957년 4월 25일, 제101공수사단 지원단이 재편성되어 제101공수사단 지원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426공수 병참 중대는 제426 보급 및 수송 중대가 되었다. 제101 공수 지원 및 정비 중대는 지원단에서 분리되었고, 제101 행정 중대와 제313 육군 보안국 대대 B 중대가 지원단에 추가되었다.

1964년 2월, 지원단은 재편성되어 제101공수사단 지원사령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예하 부대는 제326 의무 대대, 제426 보급 및 수송 중대, 본부 및 본부 중대, 사단 군악대, 제101 행정 중대 및 제101 병참 중대(공중 장비 지원)였다.

1974년부터 1979년까지, 제101 DISCOM은 독특한 부대 베레모 플래시가 있는 짙은 파란색 베레모를 착용했다.

1974년부터 1979년까지, 제101 DISCOM은 독특한 부대 베레모 플래시가 있는 짙은 파란색 베레모를 착용했다.


1992년 10월, 사단 지원 사령부는 임시적으로 3개의 지원 대대, 1개의 주 지원 대대, 제101 인사근무 중대, 제101 재정 대대, 본부 및 본부 중대, 사단 군악대로 재편성되었다.

1994년 4월 16일, DISCOM은 본부 및 본부 중대, 제63 화학 중대, 제426 전방 지원 대대, 제526 전방 지원 대대, 제626 전방 지원 대대, 제801 주 지원 대대 및 제8 대대, 제101 항공 연대(AVIM)로 구성되었다.

2001년 9월 11일은 DISCOM 역사에서 또 다른 장을 열었다. 제626 전방 지원 대대는 제801 주 지원 대대, 제8 대대, 제101 항공 연대 및 DISCOM 본부의 병력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어 항구적 자유 작전 동안 태스크 포스 라카산을 지원했다.

2003년 2월, 사단 지원 사령부는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중동에 배치되어 제101공수사단(공중 강습)에 전투 지원을 제공했다.

2004년 9월 16일, 제101공수사단 지원사령부는 재편성되어 제101 지원 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제101공수사단에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어 "올드 에이브" 패치를 변경했다.

2005년 4월 21일, 부대는 제101 지속 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부대는 2005년 말 새로운 지위로 이라크에 배치되었다.

2014년 말, 제101 지속 여단은 에볼라 발병 확산을 막기 위해 합동군 사령부-유나이티드 어시스턴스를 지원하기 위해 라이베리아에 배치되었다.

2015년 7월 30일, 제101 지속 여단은 제101공수사단 지속 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제101공수사단에 공식적으로 재배치되면서 "올드 에이브" 패치를 다시 착용하게 되었다.

2018년, 부대는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부대는 비공식적으로 "라이프라이너"로 알려져 있다.

제101공수사단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제187보병연대 (미국)를 예하 부대로 두었으며, 제187보병연대 (미국)는 1950년 10월 평양 인근에 낙하산을 타고 전개해 북한 수도 평양 점령을 지원했다. 한국전쟁 당시 미국 제101공수단이 평안북도·함경남도 등에서 고공침투 작전을 실시했으며, 한국군이 자체적으로 고공강하 기술을 도입한 것은 1960년이다.

2. 1. 창설과 제2차 세계 대전

제101공수사단은 1918년 7월 23일 방위군에 배정되어 창설되었고, 1921년 6월 24일 예비군에 배정되었다. 1942년 8월 15일, 제101공수사단으로 재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

D-데이인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제506보병연대 (미국)는 프랑스 노르망디의 생마리뒤몽 서쪽 1마일에 설정된 드롭 존(강하지대) C에 낙하했다. 당시 구름이 매우 짙었고, 10마일 정도에 걸쳐 매우 집중적인 대공포 사격을 받았으며, C-47 수송기 3대가 격추되었다. 공수부대는 자유낙하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지점에 낙하하기 어려워 드롭 존 설정이 필요하며, 이곳은 대규모 군대가 자유 낙하 후 모일 수 있는 장소이다.

제10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노르망디 상륙작전(+화살촉), 라인란트 (+화살촉), 아르덴-알자스, 중앙유럽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스트리머내역
제2차 세계 대전


2. 2. 베트남 전쟁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은 베트남 전쟁에서 공중 기동 작전을 통해 활약했다. 구정 대공세를 비롯하여 반격 3, 4, 5, 6단계, 69년 구정 반격, 1969년 하계-추계, 1970년 동계-춘계, 성소 반격, 반격 7단계, 1, 2차 통합 작전 등 다양한 작전에 참전했다.

2. 3. 걸프 전쟁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은 서남아시아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방어, 쿠웨이트 방어 및 해방 작전에 참여했다.

2. 4. 테러와의 전쟁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은 테러와의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이라크 전쟁의 이라크 자유 작전에 참전하여 바그다드 함락에 기여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제626 전방 지원 대대는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어 태스크 포스 라카산을 지원했다. 2003년 2월에는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중동에 배치되어 제101공수사단(공중 강습)에 전투 지원을 제공했다. 2015년 5월 11일에는 제159전투항공여단이 해산되었다. 2018년에는 다시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스트리머내역
테러와의 전쟁


2. 5. 대한민국과의 관계

제101공수사단은 한국 전쟁 당시 제187보병연대가 평양 점령을 지원한 바 있다. 또한, 제101공수부대는 평안북도, 함경남도 등에서 고공침투 작전을 실시하였다. 1960년에는 한국군에 고공강하 기술이 도입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대한민국 육군제7기동군단은 한국군 최초이자 유일한 기동군단으로, 모든 부대가 기계화되어 있다. 작계 5027에 따르면, 제7기동군단은 적이 서부전선 ‘하이웨이 1’ 축선과 ‘철원-문산’ 축선을 통해 공격해 올 때, 전열을 재정비하고 공지합동전술 및 기동전술로 적의 종심을 타격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7기동군단에는 특공연대 대신 헬기를 이용하여 적 종심을 타격하고 교두보를 구축하는 강습연대가 편성되어 있다. 주한미군의 제2보병사단 (미국)은 한미연합사의 전시지휘체계에 따라 한국군 제7기동군단에 배속되어 함께 작전을 수행한다.

한반도에서 전쟁 발발 시, 신속전개군(RDF)인 美제18공수군단(특히 101공중강습사단)과 본토의 항공여단 등이 증원되어 미군과 함께 북한을 타격하는 역할을 맡는다.

3. 편제 및 구조

제101지원여단은 FORSCOM 예하의 별도 여단이었으나, 2015년에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었다.[2] 이 여단은 모듈형 지원여단으로, 2개의 대대와 2개의 배속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2]


  • 25px
    제101특수병력대대 "Steady Eagle"
  • * 본부 및 본부 중대 "Angry Dogs"
  • * 제9전구 관문
  • * 제58통신중대 "Mandalorians"
  • * 제101재정관리지원중대 "Eagle Paymasters"
  • * 제101인사중대 "Vipers"
  • * 제619야전급식중대 "Fire Eagles"
  • 25px
    제129사단 지원지원대대 "Hammer Down", 제43지원여단 소속[3]
  • * 본부 및 본부 파견대[4]
  • * A중대(구 제227혼합수송중대)[5]
  • * B중대(구 제584병기중대)
  • * C중대(구 제74혼합수송중대)[6]
  • * 제372내륙화물수송중대
  • * 제613MCT[7]
  • * 제632MCT[6]
  • * 제541수송중대[5]
  • * 제594수송중대[5][8]


'''배속 부대:'''

  • 25px
    제716헌병대대 "Peacekeepers,"[9] 제16헌병여단

3. 1. 지휘부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의 지휘부는 다음과 같다.

  • 지휘관: 소장 게리 J. 볼레스키
  • 지원 부지휘관: 준장 로날드 F. 루이스
  • 참모장: 대령
  • 주임원사: 그레고리 F. 노와크

3. 2. 예하 부대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 "Life Liners"은 2015년에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었다.[2] 이 여단은 모듈형 지원여단으로, 2개의 대대와 2개의 배속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2]

  • 제101특수병력대대 "Steady Eagle"
  • * 본부 및 본부 중대 "Angry Dogs"
  • * 제9전구 관문
  • * 제58통신중대 "Mandalorians"
  • * 제101재정관리지원중대 "Eagle Paymasters"
  • * 제101인사중대 "Vipers"
  • * 제619야전급식중대 "Fire Eagles"
  • 제129전투유지지원대대 "Drive the Wedge"
  • * 본부 및 본부 파견대[4]
  • * A중대(구 제227혼합수송중대)[5]
  • * B중대(구 제584병기중대)
  • * C중대(구 제74혼합수송중대)[6]
  • * 제372내륙화물수송중대
  • * 제613MCT[7]
  • * 제632MCT[6]
  • * 제541수송중대[5]
  • * 제594수송중대[5][8]


'''배속 부대:'''

  • 제716헌병대대 "Peacekeepers,"[9] 제16헌병여단 소속.
  • 제108방공포병여단, 제44방공포병연대, 2대대
  • 테네시 육군 방위군 연관부대 제1176수송중대
  • 켄터키 육군 방위군 연관부대 제2123수송중대


제101공수사단의 다른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사단 본부 및 본부대대 "Gladiadores"
  • * A중대 "Slayers"
  • * B중대 "Black Dragons"
  • * C중대 "Spartans"
  • * 본부 및 지원중대 "Sentries"
  • * 군악대 "Pride of the Eagle"
  • '''(♣) 제1여단전투단''' "Bastogne"
  • * 제327보병연대, 1대대 "Bulldogs"
  • * 제327보병연대, 2대대 "No Slack"
  • * 제506보병연대, 1대대 "Red Currahee"
  • * 제32기병연대, 1대대 "Victory or Death"
  • * 제320야전포병연대, 2대대 "Balls of the Eagle"
  • * 제426여단지원대대 "Taskmasters"
  • * 제326여단공병대대 "Sapper Eagles"
  • '''(♥) 제2여단전투단''' "Strike"
  • * 제502보병연대, 1대대 "First Strike"
  • * 제502보병연대, 2대대 "Strike Force"
  • * 제26보병연대, 1대대 "Blue Spaders"
  • * 제75기병연대, 1대대 "Widowmakers"
  • * 제320야전포병연대, 1대대 "Top Guns"
  • * 제39여단공병대대 "Raptor"
  • * 제526여단지원대대 "Best by Performance"
  • '''제3여단전투단''' "Rakkasans"
  • * 제187보병연대 (미국), 1대대 "Leader Rakkasans"
  • * 제187보병연대 (미국), 3대대 "Iron Rakkasans"
  • * 제506보병연대, 2대대 "White Currahee" (제506보병연대 E중대 참조)
  • * 제33기병연대, 1대대 "War Rakkasans"
  • * 제320야전포병연대, 3대대 "Red Knight"
  • * 제21여단공병대대 "Rak Solid"
  • * 제626여단지원대대 "Assurgam"
  • '''사단 포병대''' "Guns of Glory"
  • * 본부 및 본부포대
  • (♦) '''제101전투항공여단''' "Wings of Destiny"
  • * 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Hell Cats"
  • * 제101항공연대, 1대대 "Expect No Mercy"
  • * 제101항공연대, 5대대 "Eagle Assault"
  • * 제101항공연대, 6대대 (GSAB) "Shadow of the Eagle"
  • * 제17기병연대, 2편대 "Out Front"
  • * 제96항공지원대대 "Troubleshooters"

4. 장비

4. 1. 항공

4. 2. 지상

5. 기타

1956년 7월 1일, 캠프벨 요새에서 제101공수사단 지원단으로 제101공수사단 지원사령부(DISCOM)가 창설되었다.[2] 지원단은 제326공수 의무 중대, 제426공수 병참 중대, 제101 공수 지원 및 정비 중대, 본부, 본부 파견대 및 사단 군악대로 구성되었다. 1957년 4월 25일, 제101공수사단 지원단이 재편성되어 제101공수사단 지원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426공수 병참 중대는 제426 보급 및 수송 중대가 되었고, 제101 공수 지원 및 정비 중대는 지원단에서 분리되었다. 제101 행정 중대와 제313 육군 보안국 대대 B 중대가 지원단에 추가되었다.

1964년 2월, 지원단은 제101공수사단 지원사령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예하 부대는 제326 의무 대대, 제426 보급 및 수송 중대, 본부 및 본부 중대, 사단 군악대, 제101 행정 중대 및 제101 병참 중대(공중 장비 지원)였다.

1992년 10월, 사단 지원 사령부는 임시적으로 3개의 지원 대대, 1개의 주 지원 대대, 제101 인사근무 중대, 제101 재정 대대, 본부 및 본부 중대, 사단 군악대로 재편성되었다. 1994년 4월 16일, DISCOM은 본부 및 본부 중대, 제63 화학 중대, 제426 전방 지원 대대, 제526 전방 지원 대대, 제626 전방 지원 대대, 제801 주 지원 대대 및 제8 대대, 제101 항공 연대(AVIM)로 구성되었다.

2001년 9월 11일 이후, 제626 전방 지원 대대는 제801 주 지원 대대, 제8 대대, 제101 항공 연대 및 DISCOM 본부의 병력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어 항구적 자유 작전 동안 태스크 포스 라카산을 지원했다. 2003년 2월, 사단 지원 사령부는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중동에 배치되어 제101공수사단(공중 강습)에 전투 지원을 제공했다.

2004년 9월 16일, 제101공수사단 지원사령부는 제101 지원 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제101공수사단에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어 "올드 에이브" 패치를 변경했다. 2005년 4월 21일, 부대는 제101 지속 여단으로 재지정되었고, 그해 말 이라크에 배치되었다.

2014년 말, 제101 지속 여단은 에볼라 발병 확산을 막기 위해 합동군 사령부-유나이티드 어시스턴스를 지원하기 위해 라이베리아에 배치되었다.

2015년 7월 30일, 제101 지속 여단은 제101공수사단 지속 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제101공수사단에 공식적으로 재배치되면서 "올드 에이브" 패치를 다시 착용하게 되었다.[2]

2018년, 부대는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부대는 비공식적으로 "라이프라이너"로 알려져 있다.

1974년부터 1979년까지, 제101 DISCOM은 독특한 부대 베레모 플래시가 있는 짙은 파란색 베레모를 착용했다.[10]

현재 제101지원여단은 FORSCOM 예하의 별도 여단이었으나, 2015년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었다.

5. 1. 부대 상징

5. 2. 역대 지휘관

5. 3. 훈장 및 표창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은 다음과 같은 훈장 및 표창을 받았다.

스트리머내역
육군 공로부대표창서남아시아, 1990년 ~ 1991년
이라크, 2003년
이라크, 2005년 ~ 2006년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노르망디
바스통
프랑스 Croix de Guerre (+종려잎)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벨기에 Croix de Guerre (+종려잎)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바스통 전투에서 벨기에군 명령에 따라 수여됨.
벨기에 Fourragere프랑스 및 벨기에에서의 작전으로 벨기에군 명령에 따라 수여됨.
Netherlands Orange Lanyard
종려잎 용맹십자장베트남, 1968년 ~ 1969년
베트남, 1971년
1급 민간행동명예훈장베트남, 1968년 ~ 1970년


참조

[1] 웹인용 TIOH – Heraldry – 101st Sustainment Brigade http://www.tioh.hqda[...]
[2] Webarchive 101st Sustainment Brigade "Lifeliners" http://www.campbell.[...] 2018-09-28
[3] 웹사이트 The 129th Combat Sustainment Support Battalion assumes responsibility of all logistical operations in Southwestern Afghanistan's Helmand Province https://www.dvidshub[...] DVIDS 2020-12-18
[4] 웹사이트 129th Division Sustainment Support Battalion un-case colors after their return to Fort Campbell from deployment https://www.clarksvi[...] Clarksville TN Online 2020-12-18
[5] 웹사이트 FTX prepares 129th CSSB for next Rendezvous with Destiny https://www.army.mil[...] U.S. Army 2020-12-18
[6] 웹사이트 The 129th Combat Sustainment Support Battalion Esablishes a Forward Logistics Element at Tarin Kowt, Afghanistan. https://www.dvidshub[...] DVIDS 2020-12-18
[7] 웹사이트 The 129th Combat Sustainment Support Battalion Graduates its First Afghan National Security Force Drivers Academy https://www.dvidshub[...] DVIDS 2020-12-18
[8] 웹사이트 Fort Campbell soldiers returning after 9 months in Kuwait https://apnews.com/a[...] The Associated Press 2020-12-18
[9]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716TH MILITARY POLICE BATTALION http://www.history.a[...]
[10] 서적 U.S. Army Patches, Flashes, and Ovals: A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Cloth Unit Insignia Insignia Venture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