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전투비행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1전투비행단은 대한민국 공군 제19전투비행단 예하 부대로, F-15K 전투기를 운용하며 대구 공군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1951년 제12전투비행중대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F-5A/B 기종 퇴역으로 해편되었다가 F-15K 대대로 재창설되었다. 2006년과 2018년 F-15K 전투기 추락 사고가 있었으며, 역대 비행단장 목록과 부대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국제공항 - 대구경북신공항
대구경북신공항은 대구광역시 군위군과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에 건설될 예정인 공항으로, 2030년 상반기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화물터미널 위치 이견과 잦은 안개 발생 문제 등으로 건설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 대구국제공항 - 대구공항 이전계획
대구공항 이전계획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K-2와 대구국제공항을 군위군과 의성군으로 통합 이전하는 사업으로, 소음 문제로 1990년대부터 필요성이 제기되어 2017년 이전 후보지 선정 후 2030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 중이며, 이전 부지 선정, 주민 투표, 안개 문제 등이 주요 쟁점이다. - 대한민국의 전투비행단 - 제1전투비행단 (대한민국)
제1전투비행단은 1951년 창설되어 공군본부, 작전사령부, 남부전투사령부의 지휘를 거쳐 현재 공군공중전투사령부 소속으로, 여러 예하 부대를 두고 훈련 중 항공기 추락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 부대이다. - 대한민국의 전투비행단 - 제18전투비행단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군의 제18전투비행단은 제105전투비행대대와 제112전투비행대대를 주축으로 하며, 과거 제205전투비행대대도 있었으나 2015년 해체되었고, KF-5F 전투기로 무사고 비행 기록을 달성하기도 했지만 F-5 전투기 추락 사고로 조종사를 잃기도 했다. - 대구 동구 소재의 관공서 - 한국장학재단
한국장학재단은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고등교육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학자금 대출, 국가장학금, 국가 교육근로장학금, 국가우수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한다. - 대구 동구 소재의 관공서 - 경북지방우정청
경북지방우정청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관할하며 우편, 예금, 보험 등의 우정사업을 수행하는 우정사업본부 소속 지방우정청으로, 1970년 대구지방체신청으로 설치되어 경북지방체신청을 거쳐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다.
제11전투비행단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11전투비행단 |
원어 이름 | 第十一戰鬪飛行團 |
활동 기간 | 1958년 8월 1일 ~ 현재 |
종류 | 전투비행단 |
역할 | 중·남부 영공방위 |
규모 | 비행단 |
명령 체계 | 공군공중전투사령부 |
본부 | 대구 공군기지 |
별칭 | 광성대 |
군가 | 제11전투비행단가 |
장비 | F-15K 슬램 이글 |
비행단장 | [[파일:Flag of the ROK Air Force Brigadier General (OF-6).svg|30px]] 준장 류기필(공사 43기) |
2. 편성
제11전투비행단은 대한민국 공군 최정예 전투비행단으로서, F-15K를 운용하는 다음과 같은 전투 비행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비행대대 | 주요 임무 및 특징 |
---|---|
제102전투비행대대 | 한국 전쟁 당시 승호리 철교 폭파 작전 참가[1], 2009년 18년 무사고 비행기록 달성[1] |
제110전투비행대대 | |
제122전투비행대대 | 2009년 탑건 배출 |
2. 1. 제102전투비행대대
1951년 창설된 제102전투비행대대는 F-15K를 운용하며, 한국 전쟁 당시 승호리 철교 폭파 작전에 참가하는 등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1] 2005년 F-5A/B 퇴역으로 잠시 해편되었다가 2007년 F-15K 대대로 재창설되었고, 2009년에는 18년 무사고 비행기록을 달성하며 그 능력을 입증했다.[1]2. 2. 제110전투비행대대
F-15K를 운용한다.2. 3. 제122전투비행대대
F-15K를 운용하며, 소속 조종사인 이진욱 중령이 2009년 "탑건"으로 선정되는 등 우수한 조종사들을 배출하고 있다.3. 역사
2005년 8월 12일, 제11전투비행단 102전투비행대대가 F-5A/B 기종 퇴역과 함께 잠정 해편되었다.[2] 2009년 4월 23일, 102전투비행대대는 18년 무사고 비행기록을 수립하여 대구공군기지에서 시상식을 가졌다.[3]
3. 1. 창설 및 초기 역사
1951년 8월에 창설된 제12전투비행중대는 훗날 제102전투비행대대의 전신으로, 한국 전쟁 당시 승호리 철교 폭파 작전 등에 참여하며 59년간 대한민국 영공을 수호하는 임무를 수행했다.[3]3. 2. F-15K 도입과 전력 강화
2007년 4월 1일, 제102전투비행대대가 F-15K 대대로 재창설되면서 제11전투비행단의 전력이 크게 강화되었다.[2] 2008년 10월에는 미국 세인트루이스 보잉 공장에서 출발한 F-15K 3대가 하와이와 괌을 거쳐 대구공군기지에 도착하면서, 총 40대의 F-15K 전투기 도입이 완료되었다.[2] 이로써 한반도 남부 영공 방위 능력이 한층 강화되었다.3. 3. 비상 출격 및 훈련
2009년 6월 3일, 백령도 인근에서 가상 훈련이 진행되었다. 오산의 공군 중앙방공통제소(MCRC)는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남하하는 북한 전투기 2대를 포착하고, 대구 제11전투비행단에 비상 출격 명령을 내렸다. 4대의 F-15K 전투기가 명령을 받고 6분 만에 이륙, 29분 뒤인 정오 12시 5분에 백령도 상공에 도착했다.[4]2009년 12월 11일, 제11전투비행단 122대대 이진욱 중령이 "2009 탑건"으로 선정되었다.[5]
3. 4. F-4D 퇴역
2010년 6월 16일, 공군 제11전투비행단에서 F-4D 전투기 퇴역식이 열렸다. 41년간 대한민국 영공 방위 임무를 수행해 온 F-4D 전투기는 이 날을 끝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6] F-4D 전투기가 퇴역하면서, 제11전투비행단은 F-15K를 주력으로 하는 현대화된 전투 비행단으로 거듭나게 되었다.4. 사건 및 사고
- 2006년 6월 7일: 제11전투비행단 소속 F-15K 전투기가 추락하여 조종사 2명이 순직했다.[7]
- 2018년 4월 5일: 훈련 후 귀환하던 F-15K 전투기가 경상북도 칠곡군에 추락, 조종사 2명이 순직했다.[8]
4. 1. 2006년 F-15K 추락 사고
2006년 6월 7일, 제11전투비행단 제122전투비행대대 소속 F-15K 전투기가 추락하여 조종사 김성대(36세, 공사 41기) 중령과 이재욱(32세, 공사 44기) 소령이 순직하였다.[7]4. 2. 2018년 F-15K 추락 사고
2018년 4월 5일, 훈련을 마치고 귀환하던 F-15K 전투기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하리 가산골프장 인근의 유학산에 추락하여 조종사 최필영(31) 소령과 박기훈(28) 대위가 순직했다.[8]5. 역대 비행단장
대수 | 이름 | 계급 | 출신 | 임기 |
---|---|---|---|---|
17 | 박종권 | 소장 | 공사 9기 | |
29 | 김상경 | 준장 | 공사 27기 | |
30 | 박재복 | 준장 | 공사 29기 | |
31 | 황성돈 | 준장 | 공사 30기 | |
32 | 이건완 | 소장 | 공사 32기 | |
33 | 조광제 | 준장 | 공사 33기 | |
34 | 이희찬 | 준장 | 공사 34기 | |
35 | 박하식 | 준장 | 공사 37기 | |
36 | 이상학 | 준장 | 공사 38기 | |
37 | 김태욱 | 준장 | 공사 40기 | |
38 | 구상모 | 준장 | 공사 43기 | |
39 | 류기필 | 준장 | 공사 43기 |
6. 부대가
제11전투비행단의 부대가는 다음과 같다.[1]
(1절)
나라와 겨레 위한 필승의 신념
장하다 우리들은 공군의 전위
혈관 속 살아 뛰는 자유의 정신
혈관 속 살아 뛰는 자유의 정신
나서라 이 하늘을 지켜야 한다
(2절)
승리는 우리 신념 눈부신 기백
무너지지 아니하는 하늘의 성역
세기의 큰 사명을 다했노라고
세기의 큰 사명을 다했노라고
은날개 펼쳐 들고 역사를 적자
(후렴)
우리는 해와 달 별과 함께 빛나는 또 하나의 익스플로러
피와 사랑으로 뭉친 동지들 제11전투비행단 하늘의 용사
참조
[1]
웹인용
공군연혁, 1950년대
http://www.airforce.[...]
대한민국공군
2017-08-21
[2]
뉴스
https://news.naver.c[...]
[3]
뉴스
https://news.naver.c[...]
[4]
뉴스
https://news.naver.c[...]
[5]
뉴스
https://news.naver.c[...]
[6]
뉴스
https://news.naver.c[...]
[7]
뉴스
https://news.naver.c[...]
[8]
뉴스
추락 전투기 숨진 두 조종사, 유가족·장병 오열 속 영면
https://news.naver.c[...]
2018-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