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9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9회 EBS 국제다큐영화제는 2022년에 개최된 EBS 국제다큐영화제로, 다양한 경쟁 및 비경쟁 부문으로 구성되어 여러 다큐멘터리 작품들을 상영했다. 경쟁 부문에서는 대상, 다큐멘터리 고양상, 심사위원 특별상, 시청자 관객상, 유스아이상 등을 시상했으며,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을 통해 젊은 창작자들의 작품을 선보였다. 상영 부문으로는 페스티벌 초이스, 컨템포러리 다큐 파노라마, 클로즈업 아이콘, 한국 다큐멘터리 파노라마,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 커넥티드, 다시 보는 다큐시네마, 하이독스 쇼케이스, 단편화첩 등이 있었다.

2. 역대 영화제

2. 1. 제1회 (2004)

2. 2. 제2회 (2005)

2. 3. 제3회 (2006)

2. 4. 제4회 (2007)

2. 5. 제5회 (2008)

2. 6. 제6회 (2009)

2. 7. 제7회 (2010)

2. 8. 제8회 (2011)

2. 9. 제9회 (2012)

2. 10. 제10회 (2013)

2. 11. 제11회 (2014)

2. 12. 제12회 (2015)

2. 13. 제13회 (2016)

2. 14. 제14회 (2017)

2. 15. 제15회 (2018)

2. 16. 제16회 (2019)

2. 17. 제17회 (2020)

2. 18. 제18회 (2021)

2. 19. 제19회 (2022)

2. 20. 제20회 (2023)

3. 수상 부문

3. 1. 경쟁 부문

3. 1. 1. 대상(글로벌)

넬리와 나딘 - 매그너스 게텐 수상

3. 1. 2. 다큐멘터리 고양상

사라지는 유목민 - 웨이성저 수상

3. 1. 3. 심사위원 특별상(글로벌)

제이슨 - 마아스야 움즈 수상

3. 1. 4. 심사위원 특별상(아시아)

베이루트: 폭풍의 눈 - 마이 마스리

3. 1. 5. 시청자 관객상(글로벌)

제이슨 - 마아스야 움즈 수상

3. 1. 6. 시청자 관객상(아시아)

메이크업 아티스트 - 자파 나자피 수상

3. 1. 7. 유스아이상

스칼라 극장 - 아난타 티타나트 수상

3. 2.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의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대상

  • 마음의 강물 - 배용진 수상

최우수상

  • 8 배율의 세계 - 윤혜준 수상

우수상

  • 안녕, 나의 집 - 서채영

3. 2. 1. 대상

마음의 강물 - 배용진 수상

3. 2. 2. 최우수상

8 배율의 세계 - 윤혜준 수상

3. 2. 3. 우수상

안녕, 나의 집 - 서채영

4. 상영 부문

4. 1. 페스티벌 초이스(경쟁): 글로벌

페스티벌 초이스 글로벌 부문은 세계 각국의 우수한 다큐멘터리를 소개하는 경쟁 부문이다. 벤 리드의 케이의 초상화, 레나 카르브의 블랙 맘바스, 서아현의 퀴어 마이 프렌즈, 매그너스 게텐의 넬리와 나딘, 마아스야 움즈의 제이슨, 시드한트 사린 외 1명이 제작한 아예나, 핌 즈비어의 시간의 조란학 등이 상영된다.

4. 2. 페스티벌 초이스(경쟁): 아시아

페스티벌 초이스의 아시아 부문은 아시아 지역의 다큐멘터리를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경쟁 부문이다.

  • 킴을 찾아서 - 정수은 감독 작품
  • 사라지는 유목민 - 웨이성저 감독 작품
  • 메이크업 아티스트 - 자파 나자피 감독 작품
  • 베이루트: 폭풍의 눈 - 마이 마스리 감독 작품
  • 그날이 오면 - 로냐 위 감독 작품
  • 스칼라 극장 - 아난타 티타나트 감독 작품
  • 토오이와 마사토 - 고바야시 기세이 감독 작품

4. 3. 컨템포러리 다큐 파노라마

컨템포러리 다큐 파노라마는 현대 다큐멘터리의 다양한 경향을 보여주는 비경쟁 부문이다. 이 섹션에서는 이타마르 로즈의 1억 뷰, 나히드 페르손의 우리의 목소리, 세르히 로즈니차의 바비 야르 협곡과 마이단, 키아라 아베사니 등의 가자에 띄운 편지, 리타 바그다디의 사이렌, 에프제 블랑크부르트 등의 ''Shadow Game'' 등의 작품이 소개되었다.

4. 4. 클로즈업 아이콘

이창동: 아이러니의 예술은 알랭 마자르 감독의 작품이며, 침묵의 예술가는 마우리치어스 슈테어클-디럭스가 제작하였다. 그레타 툰베리는 나탄 그로스만 감독이, 장의사는 질리언 마시 감독이 제작하였다. 오스카 피터슨: 블랙 + 화이트는 배리 에이브리치가, 자화상은 마가레트 올린 외 1명이 제작하였다. 지미 카터: 로큰롤 대통령은 매리 워튼 감독의 작품이다.

4. 5. 한국 다큐멘터리 파노라마

한국 다큐멘터리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작품들을 소개하는 부문이다.

  • 아동학대 자진신고 1년의 기록: 내 이웃의 아이 - 빈정현
  • 행복의 속도 - 박혁지
  • 지구별 방랑자 - 유최늘샘
  • 잠자리 구하기 - 홍다예
  • 피아노 프리즘 - 오재형
  • 미선 - 양예찬

4. 6.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

제19회 EBS 국제다큐영화제고양시와 협력하여 젊은 창작자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단편 다큐멘터리 공모전을 개최하였다. 출품작으로는 정은우 외 1명의 여름, 더위가 두려운 사람들, 윤혜준의 8 배율의 세계, 장준영의 엄마도 꿈이 있단다, 한소리의 스페이스 아웃, 배용진의 마음의 강물, 권용호의 자취방에서 만난 하늘타리, 안재빈의 허스토리, 이정현의 아빠의 정원, 서채영의 안녕, 나의 집, 윤지원의 보은이와 주완이 등이 있다.

4. 7. 커넥티드

wikitable

상영작감독
나란히, 발레양웨이신
두 개의 별판 지안
광야에서 부르는 노래천동난
오랜 시간, 우리산느 디스
샤부샤미라 라파엘라
라멘 먹으러 오세요존 다쉬바흐


4. 8. 다시 보는 다큐시네마

과거 EIDF에서 상영되었던 우수 작품들을 다시 소개한다. 할머니의 먼 집(이소현), 웰컴 투 X-월드(한태의), 이타미 준의 바다(정다운) 등이 상영되었다.

4. 9. 하이독스 쇼케이스

그녀의 이름은은 양주연 감독의 작품이다. 퀴어 마이 프렌즈는 서아현 감독이 제작하였다. 아예나는 시드한트 사린 외 1명이 제작한 다큐멘터리이다. 킴을 찾아서는 정수은 감독이 제작하였다.

4. 10. 단편화첩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단편 다큐멘터리들을 소개하는 부문이다.

  • 체인지 더 네임 - 차이 토마스
  • 지금 이 순간에도 - 제이미 멜처
  • 아옹다옹 - 김본희
  • 시네마 클럽 - 정윤지
  • 아프간에서의 후퇴 - 아나벨라 앙겔로브스카
  • 쿠르드족의 5월 13일 - 타리크 토피크
  • 금정굴 이야기 - 전승일
  • 말 끌기 좋은 날 - 야마다 유이치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