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이케다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이케다 내각은 1960년 12월 8일 발족하여 1963년 12월 9일까지 이케다 하야토가 내각총리대신으로 재임한 일본의 내각이다. 내각의 각료는 세 차례의 개각을 거쳤으며, 1960년 12월 8일 각 부처의 정무 차관이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일본 - 삼무사건
삼무 사건은 1961년에서 1962년 사이 가와나미 토요사쿠를 중심으로 한 구 일본군 장교들이 이케다 하야토 내각 암살 및 국회 장악을 시도한 우익 쿠데타 미수 사건으로, "무세·무실업·무전쟁"의 삼무주의를 배경으로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혐의가 적용되어 관련자들이 기소 및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당시 일본 사회의 정치적 혼란과 우익 세력의 급진적 움직임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1961년 일본 -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
1961년 7월 18일에 출범한 제2차 이케다 내각을 1962년 7월에 개조하여 새롭게 구성한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는 이케다 하야토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았으며,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사임 후 이케다 하야토가 경제기획청 장관직을 겸임하게 된 것이 특징이다. - 1960년 일본 - 아사누마 이네지로 암살 사건
1960년 10월 12일, 일본 사회당 당수 아사누마 이네지로는 3당 합동 연설회 도중 극우 성향 야마구치 오토야에게 암살당했으며, 이 사건은 일본 최초의 텔레비전 생중계 정치인 암살 사건으로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사회당 몰락과 우익 결집에 영향을 미쳤으며, 나가오 야스시의 사진은 세계적인 보도 사진으로 평가받는다. - 1960년 일본 - 안보 투쟁
안보 투쟁은 1960년 기시 노부스케 내각의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에 반대하여 일본에서 일어난 대규모 사회 운동으로, 조약 강행 처리와 시위 격화 속에 발효되었고, 이후 일본 정치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 이케다 하야토 - 고도경제성장
고도경제성장은 1954년부터 1973년까지 일본에서 연평균 10%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동양의 기적"이라 불릴 만큼 빠른 경제 회복과 성장을 이룬 현상을 말한다. - 이케다 하야토 -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
1961년 7월 18일에 출범한 제2차 이케다 내각을 1962년 7월에 개조하여 새롭게 구성한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는 이케다 하야토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았으며,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사임 후 이케다 하야토가 경제기획청 장관직을 겸임하게 된 것이 특징이다.
제2차 이케다 내각 | |
---|---|
개요 | |
내각 명칭 | 제2차 이케다 내각 |
일본어 명칭 | 第2次池田内閣 |
내각 번호 | 59대 |
총리 | 이케다 하야토 |
![]() | |
내각 구성 | |
성립 | 1960년 (쇼와 35년) 12월 8일 |
해산 | 1961년 (쇼와 36년) 7월 18일 |
정치 기반 | |
여당 | 자유민주당 |
선거 | 1960년 총선거 1962년 참의원 선거 |
의회 현황 | 중의원: 다수당 참의원: 다수당 |
야당 | 일본사회당 민주사회당 일본공산당 동지회 공명당 |
수상 | 이케다 하야토 |
국가 원수 | 쇼와 |
이전 내각 | 제1차 이케다 내각 |
다음 내각 | 제3차 이케다 내각 |
기타 | |
의회 회기 | 제37회-45회 국회 |
2. 각료
제2차 이케다 내각은 1960년 12월 8일에 임명된 각료 명단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1] 내각총리대신 이케다 하야토(이케다파)를 비롯하여, 법무대신 우에키 고시로(사토파), 외무대신 고사카 젠타로(이케다파), 대장대신 미즈타 미키오(오노파), 문부대신 아라키 마스오(이케다파) 등이 임명되었다.
그 외에도 후생대신 후루이 요시미(미키·마쓰무라파), 농림대신 스토 히데오(이케다파), 통상산업대신 시이나 에쓰사부로(구 기시파), 운수대신 고구레 부다유(참의원 의원), 우정대신 고가네 요시테루(이케다파), 노동대신 이시다 히로히데(이시바시파), 건설대신 및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장 나카무라 우메키치(고노파), 자치대신 및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야스이 겐(참의원 의원), 행정관리청 장관 및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오자와 사에키(사토파), 방위청 장관 니시무라 나오미(사토파), 경제기획청 장관 사코미즈 히사쓰네(참의원 의원), 과학기술청 장관 이케다 마사노스케(구 기시파), 내각관방장관 오히라 마사요시(이케다파), 총리부 총무장관 후지에다 센스케(오노파)가 임명되었다.
내각법제국 장관에는 하야시 슈조, 내각관방부장관(정무)에는 야스오카 다케히사, 내각관방부장관(사무)에는 호소야 기이치, 총리부 총무부장관에는 사토 아사오가 임명되었다.
2. 1. 내각 각료 (초대)
직위 | 이름 | 정당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이케다 하야토 | 자유민주당 (이케다 파) | [1] |
법무대신 | 우에키 고시로 | 자유민주당 (사토 파) | [1] |
외무대신 | 고사카 젠타로 | 자유민주당 (이케다 파) | [1] |
대장대신 | 미즈타 미키오 | 자유민주당 (오노 파) | [1] |
문부대신 | 아라키 마스오 | 자유민주당 (이케다 파) | [1] |
후생대신 | 후루이 요시미 | 자유민주당 (미키·마쓰무라 파) | [1] |
농림대신 | 스토 히데오 | 자유민주당 (이케다 파) | [1] |
통상산업대신 | 시이나 에쓰사부로 | 자유민주당 (구 기시 파) | [1] |
운수대신 | 고구레 부다유 |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 | [1] |
우정대신 | 고가네 요시테루 | 자유민주당 (이케다 파) | [1] |
노동대신 | 이시다 히로히데 | 자유민주당 (이시바시 파) | [1] |
건설대신,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장 | 나카무라 우메키치 | 자유민주당 (고노 파) | [1] |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야스이 겐 |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 | [1] |
행정관리청 장관,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 오자와 사에키 | 자유민주당 (사토 파) | [1] |
방위청 장관 | 니시무라 나오미 | 자유민주당 (사토 파) | [1] |
경제기획청 장관 | 사코미즈 히사쓰네 |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 | [1] |
과학기술청 장관 | 이케다 마사노스케 | 자유민주당 (구 기시 파) | [1] |
내각관방장관 | 오히라 마사요시 | 자유민주당 (이케다 파) | [1] |
총리부 총무장관 | 후지에다 센스케 | 자유민주당 (오노 파) | [1] |
내각법제국 장관 | 하야시 슈조 | 무소속 | [1] |
2. 2. 내각 각료 (제1차 개각)

1961년 7월 18일에 제1차 개각이 단행되었다. 다음은 개각 후 각료 명단이다.[2]
직책 | 성명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내각총리대신 | 이케다 하야토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12월 9일 |
법무대신 | 우에키 고시로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2년 7월 18일 |
외무대신 | 고사카 젠타로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2년 7월 18일 |
대장대신 | 미즈타 미키오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2년 7월 18일 |
문부대신 | 아라키 마스오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7월 18일 |
후생대신 | 나다오 히로키치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농림대신 | 고노 이치로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통상산업대신 | 사토 에이사쿠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운수대신 | 사이토 노보루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체신대신 | 사코미즈 히사쓰네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노동대신 | 후쿠나가 겐지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건설대신,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장 | 나카무라 우메키치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2년 7월 18일 |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야스이 켄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2년 7월 18일 |
행정관리청 장관,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 가와시마 쇼지로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방위청 장관 | 후지에다 센스케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경제기획청 장관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5일 |
이케다 하야토 (겸임)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6일 | 1962년 7월 18일 | |
과학기술청 장관 | 미키 다케오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내각관방장관 | 오히라 마사요시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2년 7월 18일 |
총리부 총무장관 | 고다이라 히사오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2년 7월 18일 |
내각법제국 장관 | 하야시 슈조 | 무소속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12월 9일 |
내각관방 부장관 (정무) | 핫토리 야스시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25일 | 1962년 7월 27일 |
내각관방 부장관 (사무) | 호소야 기이치 | 무소속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12월 9일 |
총리부 차관 | 아사오 사토 | 무소속 | 1960년 12월 8일 | 1962년 5월 7일 |
후루야 토루 | 자유민주당 | 1962년 5월 7일 | 1963년 12월 9일 |
2. 3. 내각 각료 (제2차 개각)

1962년 7월 18일에 단행된 제2차 개각 후 각료 명단이다.[3]
직책 | 이름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내각총리대신 | 이케다 하야토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12월 9일 |
법무대신 | 나카가키 구니오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외무대신 | 오히라 마사요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대장대신 | 다나카 가쿠에이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문부대신 | 아라키 마스오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7월 18일 |
후생대신 | 니시무라 에이이치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농림대신 | 시게마사 세이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통상산업대신 | 후쿠다 하지메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운수대신 | 아야베 겐타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우정대신 | 테시마 사카에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월 8일 |
오자와 큐타로 | 자유민주당 | 1963년 1월 8일 | 1963년 7월 18일 | |
노동대신 | 오하시 다케오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건설대신 | 고노 이치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장 | 가와시마 쇼지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2년 11월 2일 |
고노 이치로 | 자유민주당 | 1962년 11월 2일 | 1963년 12월 9일 | |
긴키권정비장관 | 고노 이치로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0일 | 1963년 12월 9일 |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시노다 고사쿠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행정관리청 장관,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 가와시마 쇼지로 | 자유민주당 | 1961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방위청 장관 | 시가 겐지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경제기획청 장관 | 미야자와 기이치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과학기술청 장관 | 곤도 츠루요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내각관방장관 | 구로가네 야스미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총리대신 관방장관 | 도쿠야스 지츠조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내각법제국 장관 | 하야시 슈조 | 무소속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12월 9일 |
2. 4. 내각 각료 (제3차 개각)

1963년 7월 18일에 제3차 개각이 이루어졌다.[4]
직책 | 이름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내각총리대신 | 이케다 하야토 | 자유민주당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12월 9일 |
법무대신 | 가야 오키노리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외무대신 | 오히라 마사요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대장대신 | 다나카 가쿠에이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문부대신 | 나다오 히로키치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후생대신 | 고바야시 다케지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농림대신 | 아카기 무네노리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통상산업대신 | 후쿠다 하지메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운수대신 | 아야베 겐타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체신대신 | 고이케 신조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노동대신 | 오하시 다케오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건설대신 | 고노 이치로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장 | 고노 이치로 | 자유민주당 | 1962년 11월 2일 | 1963년 12월 9일 |
긴키 지방 정비 국장 | 고노 이치로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0일 | 1963년 12월 9일 |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하야카와 다카시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행정관리청 장관 | 야마무라 신지로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과학기술청 장관 | 사토 에이사쿠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방위청 장관 | 후쿠다 도쿠야스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경제기획청 장관 | 미야자와 기이치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내각관방장관 | 구로가네 야스미 | 자유민주당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총리부 총무장관 | 노다 다케오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18일 | 1963년 12월 9일 |
내각법제국 국장 | 하야시 슈조 | 무소속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12월 9일 |
내각관방 부장관 (정무) | 구사노 이치로베이 | 자유민주당 | 1963년 7월 30일 | 1963년 12월 9일 |
내각관방 부장관 (사무) | 호소야 기이치 | 무소속 | 1960년 12월 8일 | 1963년 12월 9일 |
총리부 부국장 | 후루야 도루 | 자유민주당 | 1962년 5월 7일 | 1963년 12월 9일 |
후루카와 조키치
3. 정무 차관
외무 정무 차관 쓰시마 분지 대장 정무 차관 오쿠보 다케오
다나카 시게호문부 정무 차관 고케쓰 야조 후생 정무 차관 안도 가쿠
안도 사토루농림 정무 차관 핫타 사다요시
이하라 기시타카통상 산업 정무 차관 시세키 이헤이
스나하라 가쿠
하지메세키 이헤이
스나하라 이타루운수 정무 차관 후케 도시이치
후케 슌이치우정 정무 차관 모리야마 긴지
모리야마 킨지노동 정무 차관 아베 기요미
시바타 사카에1961년 2월 24일 - 건설 정무 차관 다무라 하지메 자치 정무 차관 도카이 모토사부로
도카이 겐자부로행정 관리 정무 차관 니시다 신이치 홋카이도 개발 정무 차관 하야시다 마사하루 방위 정무 차관 시라하마 니키치 경제 기획 정무 차관 에토 아키라
에토 사토시과학 기술 정무 차관 마쓰모토 이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