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1군 (소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1군은 1941년 5월에 창설된 소련군 부대로, 바실리 게라시멘코 중장이 초대 사령관을 맡았다. 초기에는 제63, 제66 소총병 군단과 제25기계화군단 등 다양한 부대로 구성되었다. 독소전쟁 초기 드네프르 강 방어, 라하초프-즈로빈 탈환 작전에 참여했으나, 키예프 포위전에서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1941년 10월부터 1942년 5월까지 하르코프-벨고로드 방어선을 담당했으며, 이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활약하여 1943년 5월 제6근위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3년 7월 재창설된 제21군은 수보로프 작전, 비보르크-페트로자보츠크 공세, 비스와-오데르 공세, 실레지아 공세, 프라하 공세 등 다양한 전투에 참여했으며, 드미트리 구세프 대장이 마지막 사령관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야전군 - 제37군 (소련)
    제37군은 1941년 창설되어 키예프 방어전, 로스토프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으며, 불가리아 점령 후 제37독립군으로 재지정되었다가 제10기계화군으로 개편되어 해산되었다.
  • 소련의 야전군 - 제40군 (소련)
    제40군(소련)은 독소 전쟁과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한 소련군의 야전군으로, 창설과 해체, 재편성을 거쳐 소련 붕괴 후 카자흐스탄 공화국군의 일부가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소련의 야전군 - 제37군 (소련)
    제37군은 1941년 창설되어 키예프 방어전, 로스토프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으며, 불가리아 점령 후 제37독립군으로 재지정되었다가 제10기계화군으로 개편되어 해산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소련의 야전군 - 제26군 (소련)
    제26군은 소련군에 편성되어 1941년부터 1942년까지 여러 차례 편성 및 해산을 반복하며 독일군과 전투를 벌였으며, 4차 편성 이후 카렐리야 전선에서 활동하다 루마니아에서 종전을 맞이하고 해산되었다.
  • 1941년 설립 - 미국 육군 항공대
    미국 육군 항공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급격히 성장하여 최대 규모의 병력과 항공기를 보유했던 미합중국 육군의 항공전 부대였으나, 1947년에 미국 공군으로 재편되었다.
  • 1941년 설립 - 청주교육대학교
    1941년 청주사범학교로 설립된 청주교육대학교는 국립대학교로서, 1963년 폐교 후 1984년 4년제 대학으로 재개교하여 초등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교육연수원, 평생교육원, 부설초등학교 등의 부속기관을 두고 있다.
제21군 (소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21군 (소련)
스탈린그라드 볼가 강둑 전투 중인 소련 해병대
스탈린그라드 볼가 강둑 전투 중인 소련 해병대
기본 정보
활동 기간1941년–1945년
국가소련
군종붉은 군대
종류연합군
규모야전군
지휘관
주요 지휘관표도르 쿠즈네초프
바실리 고르도프
미하일 그리고리예비치 예프레모프
바실리 쿠즈네초프
니콜라이 크릴로프
전투
참전제2차 세계 대전

2. 창설 및 초기 편성 (1941년)

1941년 5월, 볼가 군관구의 병력을 기반으로 제21군이 창설되었다.[1]

2. 1. 초기 지휘관

지휘관기간
바실리 게라시멘코 중장1941년 6월 – 7월 6일
세묜 부됸니 원수1941년 7월 6일 – 7월 10일
표도르 쿠즈네초프 대장1941년 7월 10일 – 7월 24일
미하일 그리고리예비치 예프레모프 중장1941년 7월 24일 – 8월 7일
바실리 고르도프 소장1941년 8월 7일 – 8월 24일
바실리 쿠즈네초프 중장1941년 8월 25일 – 9월 26일
야코프 체레비첸코 대장1941년 9월 26일 – 10월 5일
표도르 쿠즈네초프 대장1941년 10월 5일 – 10월 10일
바실리 고르도프 소장1941년 10월 15일 – 1942년 6월

[1]

2. 2. 초기 편제

wikitext

부대명지휘관
제63소총병군단[9]레오니트 페트롭스키 중장[9]
제53소총병사단[9]필리프 코노발로프 대령[9]
제148소총병사단[9]필리프 체로크마노프 대령[9]
제167소총병사단[9]바실리 라코프스키 대령[9]
제66소총병군단[9]표도르 수다코프 소장[9]
제61소총병사단[9]니콜라이 프리쉬체파 대령[9]
제117소총병사단[9]스피리돈 체르뉴고프 대령[9]
제154소총병사단[9]야코프 포카노프 대령[9]
제25기계화군단[9]세멘 크리보셰인 소장[9]
제50전차사단[9]보리스 바카로프 대령[9]
제55전차사단[9]바실리 바다노프 대령[9]
제219기계화사단[9]코르준 소장[9]
제12오토바이 연대[9]
포병 연대[9]
최고 사령부 예비대 (RGK) 제387 곡사포 연대
제420군단 포병 연대
제546군단 포병 연대


3. 독소전쟁 초기 (1941년 6월 ~ 1942년 5월)

제21군은 1941년 5월 볼가 군관구의 병력으로 창설되어 붉은 군대의 제2 작전 종대의 일부였다.[1] 초기에는 제63 소총병 군단(제53, 제148, 제167 소총병 사단)과 제66 소총병 군단을 기반으로 편성되었다. 바실리 게라시멘코 중장이 군대를 지휘했고, 바실리 고르도프 소장이 참모장을 맡았다.

1941년 6월 독소전쟁 발발 당시 제21군은 드네프르강 우안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1] 7월 2일 서부 전선 사령부의 지휘를 받게 되었고, 7월 4일 독일군 제3 기갑 사단이 드네프르강을 건너 교두보를 확보했지만, 제63 소총병 군단의 반격으로 이틀 만에 철수해야 했다.[2]

7월 13일, 표도르 쿠즈네초프 대장 지휘 하에 제21군은 제67 소총병 군단과 오카 고로도비코프 대장 지휘의 기병 집단으로 증강되어 공세를 시작, 제63 소총병 군단은 드네프르강을 건너 라하초프와 즈로빈을 탈환했다.[4]

7월 24일, 제21군은 새로 창설된 중앙 전선으로 배속되었고, 표도르 쿠즈네초프는 중앙 전선 사령관, 미하일 에프레모프 중장이 제21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8월 초, 독일군의 압박으로 제21군의 방어선이 무너지기 시작하자, 8월 7일 미하일 에프레모프는 중앙 전선 사령관으로 이동했고, 바실리 고르도프가 제21군 사령관을 맡았다.

8월 12일, 크리차우가 하인츠 구데리안의 제2 기갑 집단에 점령되면서 제21군은 우익이 절단되어 동쪽으로 후퇴했다. 8월 25일, 중앙 전선이 해산되면서 제21군은 브랸스크 전선에 배속되었고, 바실리 쿠즈네초프 중장이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8월 26일, 독일 제2 기갑 집단이 데스나강 동쪽 기슭에 교두보를 확보하면서 제21군은 위협을 받았다. 쿠즈네초프는 데스나강을 넘어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9월 6일, 쿠즈네초프의 군대는 남서부 전선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제21군은 키예프 포위전에 갇히게 되었으나, 9월 둘째 주 동안 상당 부분이 포위망을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5]

3. 1. 주요 전투 및 작전

1941년 6월부터 7월까지 제21군은 드네프르강 방어에 참여하여 독일군의 공세를 저지하기 위해 격전을 벌였다.[1] 7월에는 제63 소총병 군단이 드네프르강을 도하하여 라하초프와 즈로빈을 탈환했다.[4] 이는 침공 이후 독일군으로부터 탈환한 최초의 대규모 도시였다. 8월에는 호멜 방어에 참여했으나, 독일군의 압박으로 인해 동쪽으로 후퇴했다.[5]

1941년 9월, 제21군은 남서부 전선 소속으로 키예프 포위전에 갇혔다. 그러나 제2 기갑 집단의 방어선에 생긴 틈을 통해 제21군의 상당 부분이 동쪽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6]

1941년 10월부터 1942년 5월까지 제21군은 하르코프-벨고로드 방어작전에 참여하여, 도네츠강 상류에서 독일군의 공세를 저지하며 방어전을 펼쳤다.

1943년 7월 12일 제3예비군이 제 21군으로 새롭게 지정되었으며, 8월에는 스몰렌스크를 탈환하기 위한 수보로프 작전에 참여했다. 엘니아를 점령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지만, 독일군의 완강한 저항에 막혀 더 이상의 진격은 어려웠다.

1944년 5월 초, 드미트리 구세프 중장 지휘 하의 제21군 사령부는 레닌그라드 전선으로 배속되어 카렐리야 지협 전선의 서쪽 절반에서 핀란드군 제4군단을 마주했다. 6월 9일 소련 발트 함대의 포격 지원을 시작으로, 6월 10일 제 21군은 발케아사리 구역에서 공세를 시작했다. VT선 (밤멜수-타이팔레) 과 VKT선(비푸리-쿠파르사리-타이팔레)등을 돌파하고 6월 20일 비보르크를 점령했다. 이후 탈리-이한탈라 전투에서 핀란드군의 방어선을 돌파하려 했으나, 핀란드군의 강력한 저항과 병력 소진으로 인해 7월 중순 공세가 종료되었다.

4. 스탈린그라드 전투 및 제6근위군 승격 (1942년 6월 ~ 1943년 5월)

제21군은 1942년 여름, 남서부 전선 북쪽 측면에서 독일 제6군과 헝가리 제2군에 맞섰다. 청색 작전으로 인해 돈 강 서안으로 후퇴했지만, 세라피모비치-클레츠카야 교두보를 확보하여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발판을 마련했다.[1]

이후 천왕성 작전에서 세라피모비치 교두보에서 공세를 개시하여 스탈린그라드의 독일 제6군을 포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링 작전을 통해 포위망을 압축하고 제6군을 격멸했다.[1]

이러한 공로로 1943년 5월, 제6근위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4. 1. 주요 전투 및 작전

청색 작전 저지 (1942년 6월 ~ 7월): 독일군의 공세로 인해 돈 강 서안으로 후퇴했다.[1]

세라피모비치-클레츠카야 교두보 확보 (1942년 7월 ~ 11월): 돈 강 우안에 교두보를 확보하여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발판을 마련했다.[1]

천왕성 작전 (1942년 11월): 세라피모비치 교두보에서 공세를 개시하여 스탈린그라드의 독일 제6군을 포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링 작전 (1943년 1월 ~ 2월):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을 압축하고 독일 제6군을 격멸했다.[1]

제6근위군으로 승격 (1943년 5월):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제6근위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비보르크-페트로자보츠크 공세 (1944년):

  • 1944년 6월 9일, 소련 발트 함대의 포격 지원을 받아 핀란드군 제4군단의 진지에 대규모 포격을 가했다.
  • 1944년 6월 10일, 제30근위소총군단을 선봉으로 하여 발케아사리 구역에서 공세를 시작, 핀란드 제10사단의 제1보병연대가 방어하는 핀란드 "주요 방어선"을 분쇄했다.
  • 1944년 6월 13일, VT선에 도달했다.
  • 1944년 6월 15일, 제109소총군단이 쿠우테르셀캐에서 VT선을 돌파했다. 핀란드 최고 사령부는 병력에게 VKT선으로 철수하라고 명령했다.
  • 1944년 6월 20일, 비보르크를 점령했다.
  • 1944년 6월 25일, 탈리-이한탈라 전투가 시작되었다.
  • 1944년 7월 3일, 제21군은 이한탈라의 핀란드 방어 진지를 공격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1944년 7월 중순, 카렐리야 지협에서의 공세가 종료되었다.


비스와-오데르 공세 (1945년 1월):

  • 1945년 1월 17일, 제21군은 작전에 투입되어 미에호프 지역에서 독일 제17군을 상대로 공격을 개시했다.
  • 1945년 1월 23일, 실레지아의 독일군을 우회하여 우익은 오데르강의 오폴레 근처에 도달했고, 좌익은 타르노프스키에 고리에 도달했다.
  • 1945년 1월 29일, 카토비체 산업 지역의 독일군이 철수했다.


오데르 강 ~ 네이세 강 진격 (1945년 2월 ~ 4월):

  • 1945년 2월 초, 제5근위군과 제21군은 오데르 강 남부 교두보에 집중 배치되었다.
  • 1945년 2월 14일, 브제크 교두보에서 독일 제17군에 대한 돌파가 시작되었다. 제21군은 그로트코프 쪽으로 남서쪽으로 진격했다.
  • 1945년 3월 중순,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은 오폴레 북쪽과 남쪽에서 프루드니크 지역을 향한 연합 공격을 감행했다. 제21군은 그로트코프 지역에서 남서쪽으로 공격했다.
  • 1945년 3월 말, 제21군은 브로츠와프에서 남서쪽으로 약 40킬로미터 떨어진 전선에서 70킬로미터 구간을 점령했다.


프라하 공세 (1945년 5월):

  • 1945년 5월 5일, 소련군의 공세가 시작되었다.
  • 1945년 5월 9일, 제21군은 70킬로미터를 진격하여 바우브지흐를 점령하고 체코 국경을 넘어 야로메르츠에 도달했다.

5. 제21군 재창설 및 이후 작전 (1943년 7월 ~ 1945년 5월)

1943년 7월, 소련군 최고사령부는 제3예비군을 제21군으로 재창설했다.[1]

6. 역대 지휘관

지휘관취임 기간
바실 헤라시멘코 중장1941년 6월 – 7월 6일
세묜 부됸니 원수1941년 7월 6일 – 7월 10일
표도르 쿠즈네초프 대장1941년 7월 10일 – 7월 24일
미하일 그리고리예비치 예프레모프 중장1941년 7월 24일 – 8월 7일
바실리 고르도프 소장1941년 8월 7일 – 8월 24일
바실리 쿠즈네초프 중장1941년 8월 25일 – 9월 26일
야코프 체레비첸코 대장1941년 9월 26일 – 10월 5일
표도르 쿠즈네초프 대장1941년 10월 5일 – 10월 10일
바실리 고르도프 소장1941년 10월 15일 – 1942년 6월
알렉세이 다닐로프 소장1942년 7월 – 11월 1일
이반 치스차코프 중장1942년 11월 – 1943년 4월
니콜라이 크릴로프 중장1943년 7월 12일 – 10월 24일
예브게니 주라블레프 중장1943년 10월 24일 – 1944년 2월 25일
바실리 슈베초프 중장1944년 2월 – 4월
드미트리 구세프 대장1944년 4월 – 1945년 5월


참조

[1] 서적 Blitzkrieg and Dnieperm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When Titans clashed
[8] 서적 The Battle for Leningrad 1941 – 1944 University Press of Kansas
[9] 웹사이트 World War II Armed Forces http://niehorste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