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조 내각의 주도 하에 '대동아 전쟁 지원을 위한 총선거'라는 명목으로 실시되었다. 대정익찬회가 주도하여 치러졌으며, 모든 정당이 해산되고 대정익찬회에 합류하면서 사실상 일당 독재 체제 하에서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 대정익찬회 추천 후보가 압승을 거두었으며, 전시 동원 체제를 강화하고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4월 - 둘리틀 공습
둘리틀 공습은 1942년 미국이 일본 본토를 처음으로 공습한 사건으로, 진주만 공격에 대한 보복과 일본의 사기 저하를 위해 지미 둘리틀 중령이 지휘하는 B-25 폭격기 16대가 도쿄 등 일본 주요 도시를 폭격했으며, 일본군에게 큰 충격을 주어 미드웨이 해전에 영향을 미쳤다. - 1942년 4월 - 죽음의 바탄 행진
죽음의 바탄 행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바탄 반도 전투에서 패한 연합군 포로 약 7만 명이 일본군에 의해 강제 행진을 당하며 기아, 탈수, 질병, 학대로 7,000명에서 10,000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혼마 마사하루 중장이 전범으로 처형되었고 미국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어 현재까지 추모되고 있다. - 1942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2년 일본 - 싱가포르 전투
싱가포르 전투는 1942년 일본 제국이 싱가포르를 점령한 전투이며, 연합군의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공세에 밀려 8만 명의 연합군이 포로로 잡히고 영국의 위신이 실추되는 결과를 낳았다.
제2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선거 개요 | |
국가 | 일본 제국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이전 선거 | 1937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37년 |
다음 선거 | 1946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46년 |
선출 의석 | 466석 |
과반 의석 | 234석 |
선거 날짜 | 1942년 4월 30일 |
선거 결과 | |
![]() | |
주요 정당 | |
지도자 | 도조 히데키 |
정당 | 대정익찬회 |
이전 선거 의석 | 421석 |
획득 의석 | 381석 |
총리 | |
직책 | 내각총리대신 |
선거 전 총리 | 도조 히데키 |
선거 전 정당 | 대정익찬회 |
선거 후 총리 | 도조 히데키 |
선거 후 정당 | 대정익찬회 |
관련 정보 | |
아베 노부유키 | [[파일:Abe Nobuyuki.jpg|150x150px]] |
아베 노부유키 취임일 | 1942년 2월 |
아베 노부유키 선거구 | 불출마 |
2.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일본 내에서는 강력한 지도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신체제 운동이 일어났다. 고노에 후미마로 총리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일국일당 조직인 대정익찬회를 결성, 국민 동원 체제의 핵심으로 삼았다.[1]
1940년, 근로 국민당, 우익 정당인 동방회, 입헌양정회 등을 제외한 모든 정당이 자발적으로 해산하여 대정익찬회에 합류했다. 이후, 대정익찬회에 합류한 정치가들에 의해 익찬의원동맹이 결성되었고, 태평양 전쟁 (대동아 전쟁) 하에서 군부의 방침을 추인하는 '''익찬 체제'''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했다.[1]
의석
1940년 근로국민당과 우익 정당인 동방회를 제외한 모든 정당이 자발적으로 해산하여 대정익찬회에 합류했고, 좌익 정당들은 해산되었다.
1937년 제2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선출된 중의원 의원의 임기는 1941년 제2차 고노에 내각에 의해 1년 연장되었다.[4] 이는 반정부 세력의 확대를 막고 군부에 협력적인 의원들로 의회를 구성하여 익찬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내무성은 정부와 군의 주도로 추천 후보 제도를 도입하여 국책에 충실한 의원들로 구성된 새로운 의회 제도를 확립하고자 했다. 1942년 2월 23일 아베 노부유키를 회장으로 하는 익찬 정치체제 협의회가 결성되어 추천 후보를 선정했다.[6]
추천 후보는 선거 자금 지원 등 유리한 위치에 있었던 반면, 비추천 후보는 여러 제약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은 선거의 공정성에 대한 문제를 야기했다.
3. 선거 과정
1937년 전회 총선거에서 선출된 중의원 의원의 임기는 1941년 중의원 의원 임기 연장에 관한 법률에 의해 1년 연장되었다.[4] 제2차 고노에 내각 (고노에 후미마로 수상)은 대미 영전 시기에 "반정부적 세력의 신장이 보이면 적국에 '민심 이반'이라고 선전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임기 재연장을 요구했지만,[5] 군부에 협력적인 정치인만으로 의회를 점거하여 익찬 체제를 강화하려는 의견이 우세했다.
내무성 "혁신 관료"는 정부나 군 주도로 "추천 후보" 제도를 도입하여 국책에 충실한 의원만으로 의회를 구성하고, 자유 선거를 대신하는 새로운 선거 원리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1942년 2월 23일, 전 수상 아베 노부유키를 회장으로 하는 익찬 정치체제 협의회(익협)가 결성되어 후보자 추천을 주도했다. 기성 정당 출신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익찬회 내부 혁신파가 반발하기도 했다.
추천 후보는 선거 자금 (임시 군사비)을 지급받고, 군부나 대일본익찬장년단 등의 지원을 받아 유리한 위치에 섰다. 반면, 비추천 후보는 (스즈키 분지, 아사누마 이네지로 등) 입후보를 포기하거나, 선거 운동에서 유권자에 대한 간섭을 받는 등 불공정한 선거가 진행되었다.
해산된 좌익정당 인사들은 선거에 참여할 수 없었고, 대정익찬회에 합류하지 않은 동방회만 무소속 출마가 가능했다.[1] 도조 히데키 총리의 도조 내각은 1942년 4월 말, 둘리틀 공습 직후 "대동아 전쟁 지원을 위한 총선거"를 실시했다.[1]정당 계 내역 공고 전 전 원 신 bgcolor="#CE2029" | 익찬 정치체제 협의회 추천 466 bgcolor="#전송" | 익찬 정치체제 협의회 비추천 613 총계 1,079 [https://dl.ndl.go.jp/info:ndljp/pid/1351321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일람. 제21회]
4. 선거 결과
득표수 득표율 bgcolor="#CE2029" | 익찬 정치 체제 협의회 추천 381 bgcolor=" 익찬 정치 체제 협의회 비추천 85 총계 466 100.0% 유효표수 (유효율) 99.01% 무효표·백표수 (무효율) 0.99% 투표자수 (투표율) 83.15% 기권자수 (기권율) 16.85% 유권자수 100.0% 출처: [https://www.stat.go.jp/data/chouki/27.html 총무성 통계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