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기본 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제2 기본 형식은 미분 기하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매끄러운 다양체의 부분 다양체의 텐서장이다. 이는 아핀 접속을 이용하거나, 유클리드 공간 속의 곡면의 법선 벡터와 헤세 행렬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제2 기본 형식은 리만 다양체의 초곡면이나 임의의 여차원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가우스-코다치 방정식을 통해 곡률 텐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분기하학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외부 공간이 아닌 곡면 자체의 리만 계량만으로 결정된다는 정리로, 곡면의 변형 시 가우스 곡률이 보존됨을 의미하며, 지도 제작의 불가능성 증명과 고차원 리만 다양체 일반화에 응용되어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된다.
제2 기본 형식 | |
---|---|
개요 | |
분야 | 미분기하학 |
관련 개념 | 제1 기본 형식 가우스 사상 평균 곡률 가우스 곡률 |
정의 | |
정의 | 곡면의 법선 벡터와 위치 벡터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이차 형식 |
성질 | |
성질 | 곡면의 국소적인 모양 (곡률)을 결정 |
응용 | 곡면 분류, 최소 곡면 연구 등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곡면의 곡률 측지선 접평면 |
2. 정의
아핀 접속 가 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 속의 부분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제2 기본 형식''' 는 위의 텐서장이다. 이는 매끄러운 벡터 다발 의 매끄러운 단면이며,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매장 함수 이 주어졌을 때,
:
여기서 는 법다발이며, 는 에서 으로 가는 사영 연산자이다. 만약 의 접속의 비틀림이 0이라면 제2 기본 형식은 대칭 텐서이다.
2. 1. 아핀 접속을 이용한 정의
아핀 접속 가 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 속의 부분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제2 기본 형식''' 는 위의 텐서장이다. 이는 매끄러운 벡터 다발 의 매끄러운 단면이며,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매장 함수 이 주어졌을 때,:
여기서 는 법다발이며, 는 에서 으로 가는 사영 연산자이다. 만약 의 접속의 비틀림이 0이라면 제2 기본 형식은 대칭 텐서이다.
2. 2. 유클리드 공간 속의 곡면
고전적으로, 제2 기본 형식은 유클리드 공간 속의 2차원 곡면 에 대하여 정의되며, 이는 곡면의 법선벡터와 헤세 행렬을 이용하여 표현된다. 곡면에 좌표 를 주었을 때, 는 로 주어진다. 이 경우 의 법선벡터는:
이다. 이 경우, 의 '''제2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은 2×2 대칭행렬이다.
:
즉, 의 헤세 행렬과 법선벡터의 내적이다. 행렬 표현에서 기호 은 전통적이다.
제2 기본 형식은 매개변수 곡면 in 에서 가우스에 의해 도입되고 연구되었다.
2. 2. 1. 고전적 표기법
고전적으로 제2 기본 형식은 유클리드 공간 속의 2차원 곡면 에 대하여 주어진다. 곡면에 좌표 를 주었을 때, 는 로 주어진다. 이 경우 의 법선벡터는:
이다.
이 경우, 의 제2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은 2×2 대칭행렬로 표현된다.
:
여기서 행렬 표현에서 사용된 은 전통적인 표기법에 따른 계수들이다. 즉, 제2 기본 형식은 의 헤세 행렬과 법선벡터의 내적으로 계산된다.
일반적인 매개변수 곡면의 제2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 = '''r'''(''u'',''v'')를 에서 곡면의 정규 매개변수화라고 하고, 여기서 은 두 변수의 매끄러운 벡터 값 함수이다. '''r'''의 ''u''와 ''v''에 대한 편도함수를 '''r'''''u'' 및 '''r'''''v''로 나타낸다. 매개변수화의 정규성은 '''r'''의 영역에서 모든(''u'',''v'')에 대해 '''r'''''u''와 '''r'''''v''가 선형 독립적임을 의미하며, 따라서 각 지점에서 ''S''에 대한 접평면을 형성한다. 동등하게, 외적 '''r'''''u'' × '''r'''''v''는 곡면에 수직인 영벡터이다. 따라서 매개변수화는 단위 법선 벡터 '''n'''의 필드를 정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