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2002년에 개최되었으며, 한국 영화 두 편이 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영화제는 황금곰상과 은곰상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미라 네어가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황금곰상은 폴 그린그래스의 《블러디 선데이》와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수여되었고, 한국 영화로는 김기덕 감독의 《나쁜 남자》와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KT》가 경쟁 부문에, 《GO》, 《검은 물 바닥에서》, 《아픈 두 사람》 등이 파노라마 부문에, 《옌안의 딸》, 《사립 탐정 하마 마이크 이름 없는 숲》 등이 포럼 부문에 초청되었다. 또한, 1960년대 유럽 영화를 조명하는 회고전이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독일 - 200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200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603명의 의원을 선출한 선거로, 사회민주당이 기독교민주연합과의 접전 끝에 제1당을 유지하며 녹색당과의 연정을 통해 정권을 재창출했다. - 2002년 독일 - 2002년 위버링겐 공중 충돌 사고
2002년 7월 1일 독일 남부 보덴 호 상공에서 바시키르 항공 2937편과 DHL 항공 611편이 공중 충돌하여 탑승자 71명 전원이 사망한 이 사고는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오류와 조종사 대처 미흡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이후 항공 안전 규정 강화와 관제 시스템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 - 2002년 영화제 - 제59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2002년 개최된 제59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는 공 리가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피터 뮬란 감독의 《막달레나 시스터즈》가 황금사자상을, 이창동 감독의 《오아시스》가 은사자상(감독상)을, 문소리가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상을 수상하며 한국 영화계의 위상을 높였다. - 2002년 영화제 - 2002년 칸 영화제
2002년 칸 영화제는 데이비드 린치 감독이 심사위원장을 맡아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피아니스트》가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임권택 감독이 《취화선》으로 감독상을, 우디 앨런이 명예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영화제이다. - 2002년 2월 - 2002년 동계 올림픽
2002년 동계 올림픽은 IOC 위원 매수 의혹 논란 속에서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서 개최되어 미트 롬니 회장의 주도로 성공적인 운영과 재정적 흑자를 기록했지만, 피겨스케이팅 심판 판정 논란과 쇼트트랙 김동성 실격 사건 등 공정성 논란도 있었으며 스켈레톤 종목 부활과 솔트레이크시티의 스키 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2002년 2월 - 2002년 CONCACAF 골드컵
2002년 CONCACAF 골드컵은 미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결승에서 코스타리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브라이언 맥브라이드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제5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베를린, 독일 |
시작 | 헤븐 |
종료 | 위대한 독재자 |
개최일 | 2002년 2월 6일 ~ 2002년 2월 17일 |
회차 | 52회 |
작품 수 | 389편 |
웹사이트 | 베를린 국제 영화제 공식 웹사이트 |
이전 영화제 | 51회 |
다음 영화제 | 53회 |
수상 | |
황금곰상 | 블러디 선데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2. 주요 경쟁 부문
제5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주요 경쟁 부문에서는 황금곰상과 은곰상 후보작들이 경합을 벌였다.[8]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1972년 북아일랜드에서 실제로 일어난 "피의 일요일 사건"을 바탕으로 한 폴 그린그래스 감독의 드라마 『블러디 선데이』 두 작품이 황금곰상을 공동 수상했다. 특히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애니메이션 영화로서는 최초로 황금곰상을 수상하여 화제가 되었다.
2. 1. 황금곰상 후보작
영어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
8 Women | 8 Femmes | 프랑소와 오종 | 프랑스, 이탈리아 |
Amen. | Amen. | 코스타 가브라스 | 프랑스, 독일, 루마니아, 미국 |
A Tree of Palme | パルムの樹 | 나카무라 타카시 | 일본 |
Baader | Baader | 크리스토퍼 로스 | 독일, 영국 |
나쁜 남자 | 나쁜 남자 | 김기덕 | 대한민국 |
Beneath Clouds | Beneath Clouds | 이반 센 | 오스트레일리아 |
Bloody Sunday | Bloody Sunday | 폴 그린그래스 | 영국, 아일랜드 |
Burning in the Wind | Brucio nel vento | 실비오 솔디니 | 이탈리아, 스위스 |
Bridget | Bridget | 아모스 콜렉 | 프랑스, 일본 |
A Map of the Heart | Der Felsen | 도미니크 그라프 | 독일 |
Grill Point | Halbe Treppe | 안드레아스 드레젠 | 독일 |
Heaven | Heaven | 톰 티크베어 | 독일, 이탈리아, 미국, 프랑스, 영국 |
Iris | Iris | 리처드 에어 | 미국, 영국 |
Minor Mishaps | Minor Mishaps | 아네트 K. 올레센 | 덴마크 |
KT | KT | 사카모토 준지 | 대한민국 |
Safe Conduct | Laissez-passer |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 프랑스, 스페인, 독일 |
'Monsters Ball'' | 'Monsters Ball'' | 마크 포스터 | 미국, 캐나다 |
Monday Morning | Lundi matin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프랑스, 이탈리아 |
Stones | Piedras | 라몬 살라자르 | 스페인 |
The Royal Tenenbaums | The Royal Tenenbaums | 웨스 앤더슨 | 미국 |
The Shipping News | The Shipping News | 라세 할스트롬 | 미국, 캐나다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千と千尋の神隠し | 미야자키 하야오 | 일본 |
One Day in August | Δεκαπενταύγουστος | 콘스탄틴 지아나리스 | 그리스 |
Temptations | Temptations | 졸탄 카몬디 | 헝가리 |
[8]
황금곰상 경쟁 부문에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폴 그린그래스 감독의 드라마 『블러디 선데이』 두 작품이 선정되었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애니메이션 영화로서는 처음으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또한, 한국 영화로는 김기덕 감독의 『나쁜 남자』와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KT』가 경쟁 부문에 출품되었다.
2. 2. 심사위원단
미라 네어 (인도) 영화 제작자가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다음은 영화제 심사위원으로 발표된 사람들이다.[7]이름 | 국적 | 직업 |
---|---|---|
미라 네어 | India|인도영어 | 영화 제작자, 심사위원장 |
니콜레타 브라스키 | Italy|이탈리아영어 | 배우 |
피터 코위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역사가, 작가 |
레나타 리트비노바 | Russia|러시아영어 | 배우, 영화 제작자 |
루크레시아 마르텔 | Argentina|아르헨티나영어 | 감독, 시나리오 작가 |
클로디 오사르 | France|프랑스영어 | 프로듀서 |
라울 펙 | Haiti|아이티영어 | 영화 제작자 |
데클란 퀸 | United States|미국영어 | 촬영 감독 |
오스카 뢰hler | Germany|독일영어 | 영화 제작자, 저널리스트 |
케네스 투란 | United States|미국영어 | 교수, 영화 평론가 |
제5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뛰어난 작품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은 영화 및 영화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상이 수여되었다.
3. 수상 내역
3. 1. 경쟁 부문
제5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서는 다양한 작품들이 경합을 벌였다. 주요 수상 내역과 경쟁 부문 출품작은 다음과 같다.
상 | 영화 | 감독 | 제작국 |
---|---|---|---|
황금곰상 | 블러디 선데이 | 폴 그린그래스 | 영국 |
황금곰상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미야자키 하야오 | 일본 |
심사위원대상 | 그릴 포인트 | 안드레아스 드레젠 | 독일 |
감독상 | 월요일에 건배!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프랑스 |
남자배우상 | 레세 파세 | 자크 감블랭 | 프랑스 |
여자배우상 | 몬스터 볼 | 할리 베리 | 미국 |
영화음악상 | 레세 파세 | 앙투안 뒤아멜 | 프랑스 |
예술공헌상 | 8명의 여인들 | 다니엘 다리외, 카트린 드뇌브, 엠마뉘엘 베아르, 파니 아르당, 이자벨 위페르, 버지니 르도아얭, 뤼디빈 사니에, 필민 리샤르 | 프랑스 |
알프레드 바우어상 | 바더 | 크리스토프 로스 | 독일 |
제목 (원제) | 감독 | 제작국 |
---|---|---|
8명의 여인들 (8 femmes) | 프랑소와 오종 | 프랑스 이탈리아 |
홀로코스트 - 아돌프 히틀러의 세례 - (Amen.) | 코스타 가브라스 | 프랑스 |
바더 (Baader) | 크리스토퍼 로스 | 독일 |
구름 아래를 (Beneath Clouds) | 이반 센 | 오스트레일리아 |
브리짓 (Bridget) | 아모스 콜렉 | 프랑스 일본 미국 |
바람의 고통 (Brucio nel vento) | 실비오 솔디니 | 이탈리아 |
Δεκαπενταύγουστοςel (One Day in August) | 콘스탄틴 자나리스 | 그리스 |
Der Felsen (A Map of the Heart) | 도미니크 그라프 | 독일 |
계단 도중에 (Halbe Treppe) | 안드레아스 드레젠 | 독일 |
헤븐 (Heaven) | 톰 티크베어 | 이탈리아 미국 외 |
아이리스 (Iris) | 리처드 에어 | 미국 |
KT | 사카모토 준지 | 일본 대한민국 |
Kísértések (Temptations) | 졸탄 카몬디 | 헝가리 |
레세 파세 自由への通行許可証 (Laissez-passer) |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 프랑스 스페인 |
월요일에 건배! (Lundi matin)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프랑스 이탈리아 |
몬스터 볼 (Monster's Ball) | 마크 포스터 | 미국 캐나다 |
나쁜 남자 (나쁜 남자) | 김기덕 | 대한민국 |
구두에 반하다 (Piedras) | 라몬 사라사르 | 스페인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미야자키 하야오 | 일본 |
Små ulykker (Minor Mishaps) | 아네트 K. 올레센 | 덴마크 |
로얄 테넌바움 (The Royal Tenenbaums) | 웨스 앤더슨 | 미국 |
쉬핑 뉴스 (The Shipping News) | 라세 할스트룀 | 미국 |
블러디 선데이 (Bloody Sunday) | 폴 그린그래스 | 영국 |
3. 1. 1. 황금곰상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1972년 북아일랜드에서 실제로 일어난 피의 일요일 사건을 바탕으로 한 폴 그린그래스 감독의 블러디 선데이가 황금곰상을 공동 수상했다.[11][12]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애니메이션 영화로서는 최초로 황금곰상을 수상한 기록을 남겼다.
3. 1. 2. 은곰상
- 심사위원대상: 그릴 포인트 - 안드레아스 드레젠[11][12]
- 감독상: 월요일 아침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11][12]
- 여자배우상: 몬스터 볼 - 할리 베리[11][12]
- 남자배우상: 안전 통행 - 자크 감블랭[11][12]
- 예술공헌상: 8명의 여인들 - 카트린 드뇌브 외 7명[11][12]
- 영화음악상: 안전 통행 - 앙투안 뒤아멜[11][12]
- 알프레드 바우어상: 바더 - 크리스토프 로스[11][12]
3. 2. 독립 부문
경쟁 부문 외에도 다양한 독립 영화들을 위한 상들이 수여되었다. 에큐메니컬상, 슈팅스타상, 테디상 등이 있다.[3]- 발레 워스 캔셀드 - 앤 와일드 수상
- 작은 불행 - 아네테 K. 올레센 수상
4. 회고전 - 1960년대 유럽 영화
1960년대 유럽 영화를 집중 조명하는 특별 회고전이 개최되어, 당시 유럽 영화의 다양성과 예술성을 보여주었다. 다음은 회고전에서 상영된 영화 목록이다.[10]
영어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
491 | 491 | 빌고트 셰만 | 스웨덴 |
8과 1/2 | 8½ | 페데리코 펠리니 | 이탈리아, 프랑스 |
안드레이 루블료프 | Андрей Рублёв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소련 |
빅 탑 아래의 예술가들: 당황한 사람들 | Die Artisten in der Zirkuskuppel: ratlos | 알렉산더 클루게 | 서독 |
현재의 시간의 나머지에 대한 공격 | Der Angriff der Gegenwart auf die übrige Zeit | 알렉산더 클루게 | |
아줌마 툴라 | 라 티아 툴라 | 미겔 피카소 | 스페인 |
오르고솔로의 도적들 | 반디티 아 오르고솔로 | 비토리오 데 세타 | 이탈리아 |
혁명 전야 | 프리마 델라 리볼루치오네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
빌리 라이어 | 빌리 라이어 | 존 슐레진저 | 영국 |
검은 페테르 | 체르니 페테르 | 밀로스 포만 | 체코슬로바키아 |
블로우업 | 블로우업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영국 |
초년의 빵 | 다스 브로트 데어 퓌헤 얄레 | 헤르베르트 베셀리 | 서독 |
칸타타 | 올다스 에스 코테스 | 얀초 미클로시 | 헝가리 |
우리들을 잡아봐 | 우리들을 잡아봐 | 존 부어먼 | 영국 |
찰스, 죽거나 살아 있거나 | 샤를 모르 우 비프 | 알랭 타너 | 스위스 |
수집가 | 라 콜렉시오네르 | 에릭 로메르 | 프랑스 |
데이지 | 세드미크라스키 | 베라 히틸로바 | 체코슬로바키아 |
출발 | 르 데파르 |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 | 벨기에 |
'LEclisse'' | 'LEclisse''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이탈리아, 프랑스 |
초기 작품 | Рани радови | 젤리미르 질니크 | 유고슬라비아 |
약혼자들 | 이 피단자티 | 에르마노 올미 | 이탈리아 |
좋은 시간의 여인들 | 레 본 페므 | 클로드 샤브롤 | 프랑스, 이탈리아 |
대 침묵 | 일 그란데 실렌치오 | 세르지오 코르부치 | 이탈리아, 프랑스 |
녹색의 해 | 오스 베르데스 아노스 | 파울루 호샤 | 포르투갈 |
굶주림 | 술트 | 헤닝 칼센 | 덴마크 |
사냥 | 라 카사 | 카를로스 사우라 | 스페인 |
나는 쿠바 | 소이 쿠바 | 미하일 칼라토조프 | 소련, 쿠바 |
만약.... | 만약.... | 린지 앤더슨 | 영국 |
식별 표지: 없음 | 리스오피스 |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 | 폴란드 |
순수한 마법사들 | 니에윈니 차로지에이에 | 안제이 바이다 | |
친밀한 조명 | 인팀니 오스베틀레니 | 이반 파세르 | 체코슬로바키아 |
물속의 칼 | 누즈 브 보디에 | 로만 폴란스키 | 폴란드 |
왼손의 운명 | 파타 모르가나 | 비센테 아란다 | 스페인 |
리브 | 리브 | 파울 로케베르그 | 노르웨이 |
사랑 65 | 캐르렉 65 | 보 위더베르 | 스웨덴 |
사랑의 사건, 혹은 미싱 교환수의 사건 | 류보브니 슬루차이 이리 트라게디야 슬루즈베니세 | 두산 마카베예프 | 유고슬라비아 |
매지컬 미스테리 투어 | 매지컬 미스테리 투어 | 비틀즈 | 영국 |
은하수 | 라 비아 라테아 | 루이스 부뉘엘 | 스페인, 프랑스 |
미스터 프리덤 | 미스터 프리덤 | 윌리엄 클라인 | 프랑스 |
살인자들은 우리 안에 있다 | 디 뫼르더 진트 운터 운스 | 볼프강 슈타우테 | 독일 |
벌거벗은 유년 시절 | 랑팡스 누 | 모리스 피알라 | 프랑스 |
벌거벗은 마음 | 레 쾨르 베르 | 에두아르 룬츠 | |
밤의 거리 | 나흐츠 아우프 덴 슈트라센 | 루돌프 유거트 | 서독 |
화해되지 않음 | 니히트 페르죄흔트 오더 에스 힐프트 누어 게발트, 보 게발트 헤르쉬트 | 장마리 스트로브, 다니엘 위예 | 서독 |
열린 비밀 | 익시테이잘루에 | 마우누 쿠르크바라 | 핀란드 |
파라노이아 | 파라노이아 | 아드리안 디트포르스트 | 네덜란드 |
승객 | 파사제르카 | 비톨트 레셰비치, 안제이 문크 | 폴란드 |
퍼포먼스 | 퍼포먼스 | 도널드 캐멀, 니콜라스 로그 | 영국 |
페르소나 | 페르소나 | 잉마르 베리만 | 스웨덴 |
미치광이 피에로 | 미치광이 피에로 | 장뤽 고다르 | 프랑스, 이탈리아 |
부두 | 라 제테 | 크리스 마르케 | 프랑스 |
까마귀의 끝 | 크바르테레트 코르펜 | 보 위더베르 | 스웨덴 |
재연 | 레콘스티투리아 | 루치안 핀틸리에 | 루마니아 |
죄인 | 디 쥐데린 | 빌리 포르스트 | 서독 |
전복자들 | 이 소브베르시비 | 파올로 타비아니, 비토리오 타비아니 | 이탈리아 |
꿀맛 | 꿀맛 | 토니 리처드슨 | 영국 |
목요일 우리는 일요일처럼 노래할 것이다 | 즈디 온 샹트라 콤 도망쉬 | 루 드 헤쉬 | 벨기에, 프랑스 |
돌의 흔적 | 슈르 데어 슈타이네 | 프랭크 베이어 | 동독 |
비바 마리아! | 비바 마리아! | 루이 말 | 프랑스, 이탈리아 |
전쟁은 끝났다 | 라 게르 에 피니 | 알랭 레네 | 프랑스, 스웨덴 |
어제의 소녀 | 압쉬이드 폰 게스턴 | 알렉산더 클루게 | 서독 |
5. 기타 부문
제목 원제 | 감독 | 제작국 |
---|---|---|
8명의 여인들 8 femmes | 프랑소와 오종 | 프랑스 이탈리아 |
홀로코스트 - 아돌프 히틀러의 세례 - Amen. | 코스타 가브라스 | 프랑스 |
Baader | 크리스토퍼 로스 | |
구름 아래를 Beneath Clouds | 이반 센 | 오스트레일리아 |
Bridget 브리짓 | 아모스 콜렉 | 프랑스 일본 미국 |
바람의 고통 Brucio nel vento | 실비오 솔디니 | 이탈리아 |
Δεκαπενταύγουστοςel (One Day in August) | 콘스탄틴 자나리스 | 그리스 |
Der Felsen (A Map of the Heart) | 도미니크 그라프 | |
계단 도중에 Halbe Treppe | 안드레아스 드레젠 | |
헤븐 Heaven | 톰 티크베어 | 이탈리아 미국 외 |
아이리스 Iris | 리처드 에어 | 미국 |
KT | 사카모토 준지 | 일본 대한민국 |
Kísértések (Temptations) | 졸탄 카몬디 | 헝가리 |
레세 파세 自由への通行許可証 Laissez-passer |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 프랑스 스페인 |
월요일에 건배! Lundi matin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프랑스 이탈리아 |
몬스터 볼 'Monsters Ball'' | 마크 포스터 | 미국 캐나다 |
나쁜 남자 나쁜 남자 | 김기덕 | 대한민국 |
구두에 반하다 Piedras | 라몬 사라사르 | 스페인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미야자키 하야오 | 일본 |
Små ulykker (Minor Mishaps) | 아네트 K. 올레센 | |
로얄 테넌바움 The Royal Tenenbaums | 웨스 앤더슨 | 미국 |
쉬핑 뉴스 The Shipping News | 라세 할스트룀 | 미국 |
블러디 선데이 Bloody Sunday | 폴 그린그래스 | |
고스포드 파크 | 로버트 알트만 | 영국/미국 |
행복한 시절 | 장이머우 | 중국 |
뷰티풀 마인드 | 론 하워드 | 미국 |
Molitva za Getmana Mazepu | 유리 일렌코 | 우크라이나 |
'Ode To Cologne - A Rockn Roll Film By Wim Wenders'' | 빔 벤더스 | 미국 |
Taking Sides | 이슈트반 사보 | 독일/프랑스 |
6. 한국 영화
김기덕 감독의 《나쁜 남자》와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KT》가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8] 《KT》는 일본과 한국의 합작 영화로, 사카모토 준지 감독이 연출하고 한국 배우들이 출연하여 양국 간 문화 교류의 의미를 더했다.
그 외 파노라마 부문에는 행정훈의 《GO》, 나카타 히데오의 《검은 물 바닥에서》, 사이토 히사시의 《아픈 두 사람》이 초청되었다. 포럼 부문에는 이케가야 카오루 감독의 《옌안의 딸》, 아오야마 신지의 《사립 탐정 하마 마이크 이름 없는 숲》(사립 탐정 하마 마이크 텔레비전 시리즈 제6화의 영화판[14]), 카자마 시오리의 《화성의 캐논》, 나카무라 타카시의 애니메이션 《팜의 나무》, 사토 신스케의 《수라설희》가 각각 상영되었다.
7. 의미와 영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1972년 북아일랜드에서 실제로 일어난 피의 일요일 사건을 바탕으로 한 드라마 블러디 선데이 두 작품이 황금곰상을 수상했다.[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애니메이션 영화로서는 처음으로 황금곰상을 수상하여, 애니메이션 영화의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1] 블러디 선데이의 수상은 영화가 사회적 문제를 다루고 현실을 반영하는 중요한 매체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52nd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www.berlinale[...]
2012-10-22
[2]
웹사이트
BERLINALE 2002 OPENS WITH THE WORLD PREMIERE OF HEAVEN
https://www.berlinal[...]
2014-09-01
[3]
웹사이트
Chasing a Golden Bear
http://www.dw.de/cha[...]
2014-09-01
[4]
웹사이트
18 WORLD PREMIERES AND 3 DIRECTING DEBUTS IN THE BERLINALE COMPETITION 2002
https://www.berlinal[...]
2014-09-01
[5]
웹사이트
RETROSPECTIVE
http://www.berlinale[...]
2014-08-28
[6]
웹사이트
Berlinale beginnings
https://variety.com/[...]
2012-02-08
[7]
웹사이트
JURIES 2002
http://www.berlinale[...]
2014-06-09
[8]
웹사이트
PROGRAMME 2002
https://www.berlinal[...]
2014-06-09
[9]
웹사이트
RETROSPECTIVE
http://www.berlinale[...]
2014-08-28
[10]
웹사이트
RETROSPECTIVE 1991
https://www.berlinal[...]
2014-08-28
[11]
웹사이트
PRIZES & HONOURS 2002
http://www.berlinale[...]
2014-06-09
[12]
웹사이트
AWARDS ANNOUNCEMENT
http://www.berlinale[...]
2014-09-01
[13]
웹사이트
PRESS RELEASES 2002
https://www.berlinal[...]
ベルリン国際映画祭
2022-10-30
[14]
웹사이트
https://cinefil.tok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