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5민사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5민사여단은 미국 육군의 민사 작전 부대로,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1945년 군정단으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민사 작전 부대로 전환되어 냉전, 도미니카 내전 등 여러 작전에 투입되었다. 2006년 특수 작전 부대 증강 계획에 따라 민사여단으로 재창설되었으며, 현재는 5개의 예하 대대를 지휘하며,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민사여단 - 제85민사여단
제85민사여단은 2009년 10월 1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소속 민사작전 수행 부대로, 여러 민사대대를 예하에 두고 지역 주민과의 관계 개선, 인도주의적 지원, 재난 복구 지원 등을 수행하며 지역 사회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다. - 1974년 해체된 단체 - 미국 중부 육군
미국 중부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미국 육군 사령부로, 현재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중동 지역의 안보 협력 및 위기 대응을 담당하는 미국 중앙 사령부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1974년 해체된 단체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 1951년 해체된 단체 - 제27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은 영국 육군의 여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한국 전쟁에서 부산 교두보 전투와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하고 가평 전투와 글로스터 고지 전투에서 중공군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1951년 4월 27일 제28영연방보병여단으로 개칭되었다. - 1951년 해체된 단체 - 백골병단
백골병단은 1951년 1·4 후퇴 이후 북한군 첩보 활동을 위해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유격 부대로, 강원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고위 간부 생포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많은 사상자를 냈고, 전역 후 불이익을 겪었으며 전적비가 건립되었다.
제95민사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활동 기간 | 2006년 3월 16일 – 현재 |
병과 | [[파일:USA - Civil Affairs.png|17px]] 민사 |
역할 | 국가의 최우선 과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토지 영역의 인간적 요소를 이해하고 영향을 미치는 최고의 민간 정찰 및 교전 부대를 제공합니다. |
규모 | 여단 |
지휘 체계 | [[파일:SpecialForces Badge.svg|20px]] 제1특전사령부 [[파일:United State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DUI.png|20px]] 미국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 [[파일: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Insignia.svg|20px]] 미국 특수 작전 사령부 |
주둔지 | 포트 리버티, 노스캐롤라이나주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표어 | "Advise, Support, Stabilize" (조언, 지원, 안정화) "Order From Chaos" (혼돈으로부터 질서) |
색상 | 해당사항 없음 |
행진곡 | 해당사항 없음 |
마스코트 | 해당사항 없음 |
장비 | 해당사항 없음 |
전투 | 해당사항 없음 |
기념일 | 해당사항 없음 |
훈장 | 해당사항 없음 |
전투 명예 | 해당사항 없음 |
현재 사령관 | 대령 데이비드 J. 카즈마렉 |
식별 기호 | [[파일:95CivilAffairsBdeFlash.jpg|125px|center]] |
식별 기호 설명 | 여단의 베레모 플래시 |
식별 기호 2 | [[파일:United States Army Special Forces SSI (1958-2015).png|150px|center]] |
식별 기호 2 설명 | 제1특전사령부(공수) 견장 소매 휘장, 모든 예하 부대가 착용U.S. Army civil affairs Soldiers assigned to 95th Civil Affairs Brigade (Special Operations) (Airborne), climb over a "Nasty Nick" obstacle during day one of the Best Civil Affairs Team Competition, dated 30 October 2018, last accessed 9 July 2019 |
식별 기호 3 | [[파일:United States Army 95th Civil Affairs Brigade CSIB.png|150px|center]] |
식별 기호 3 설명 | 여단의 이전 전투 근무 식별 배지 |
역사 | |
창설 | 1945년 8월 25일 2006년 3월 14일 (재창설) |
해체 | 1946년 6월 30일 1951년 10월 28일 1974년 12월 21일 |
편제 | |
예하 부대 | 5개 대대 |
참고 자료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제95민사여단은 1945년 8월 25일 창설된 제95군정 그룹에 기원을 두고 있다.[4] 이 부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임시 정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일본에 배속되었다가 1946년 6월 30일 해산되었다.[4]
한국 전쟁 직전인 1948년 10월 29일,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제95군정 그룹이 다시 재활성화되었다.[4] 한국 전선에 파견되어 여러 작전에 참여했으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군정 그룹의 필요성이 감소하여 1951년 10월 28일 한국에서 해산되었다.[4]
1955년 2월 9일, 조지아 주 캠프 고든에서 다시 창설되어 민사 업무 부대로 재편성되었다. 1959년 6월 25일, 제95민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4] 1969년 3월 27일에는 특수 부대 휘장을 받았다.[5] 그러나 베트남 전쟁을 비롯한 미 육군의 어떠한 분쟁이나 비상사태에도 파견되지 않았고, 1974년 12월 21일 포트 브래그에서 해산되었다.[4]
2006년, 미국 국방부는 4개년 국방 검토 보고서를 통해 특수 작전 부대 강화와 심리 작전 및 민사 작전 부대 증강 계획을 발표했다.[6] 이에 따라 제95민사여단이 재창설되었고, 2007년 3월 임시 지위에서 해제되어 완전히 활성화되었다.[10]
2. 1. 군정기 (1945~1951)
1945년 8월, 일본의 항복 선언으로 태평양 연합군이 일본 혼슈에 상륙하였다. 일본군의 모든 부대를 동원해제하고 군대를 해체한 뒤, 군정을 위한 부대로서 1945년 8월 25일 제95군정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가 캘리포니아주 프레지디오 오브 몬트레이에서 창설되었다. 부대는 일본으로 가서 제8군을 도와 군정 임무를 수행하고 후쿠오카현 쿠루메에서 1946년 6월 30일에 해산하였다.[4]2년 뒤, 제95군정단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의 한국 군정을 지원하기 위해 1948년 10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재소집되었다. 제96, 97, 98, 101군정단은 1949년 1월 25일에 해산하고, 제95군정단만이 유일하게 잔존하였고, 한국 전쟁이 일어난 뒤, 1951년 10월 28일 부산에서 해산하였다.[4]
2. 2. 민사 작전 부대로의 재편 (1955~1974)
1954년 12월 9일 정규군에 할당되고 이듬해 1955년 2월 9일 조지아주 캠프 고든에서 민사 부대로 재소집되었다. 뉴저지주 캠프 킬리머의 난민수용소로 가서 난민들을 대상으로 민사활동을 하였다. 이듬해 일어난 1956년 헝가리 혁명을 계기로 부대는 국군 원정 전역에 동원되었다. 1959년 6월 25일, 제95민사단으로 재조직되었다. 1965년 도미니카 공화국의 내전에 개입한 제82공수사단을 지원하였다. 국군 원정에서 귀환한 제95민사단은 1971년 포트 브래그로 배치되었고 1974년 12월 21일까지 존 F. 케네디 군사원조관에 배속되고 해산하였다.2. 3. 현대의 민사여단 (2006~현재)
2006년 3월 14일, 제95민사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4][7] 2007년 3월 16일, 코드36번 민사분과가 설립되고 여단의 임시 상태가 해제되었으며, 제96민사대대가 창설되었다.[10][11] 2018년 1월 31일, 제85민사여단이 해산하면서 유일한 정규군 민사여단이 되었다.[16]2006년 2월 6일, 미국 국방부는 4개년 국방 검토 보고서를 발표하며 특수 작전 부대를 미군 모든 병과에서 증강할 것이라고 밝혔다.[6] 이를 위해 심리 작전 및 민사 작전 부대를 3,700명으로 증강하여 육군 전체를 지원할 계획이었다.[6] 당시 현역 민사 작전 부대는 제96민사여단 뿐이었고, 이 부대는 미국 육군의 주요 지역 사령부에 배속된 6개 중대 규모 부대를 지휘했다.[7] 이에 4개의 현역 대대 규모 민사 작전 부대를 지휘할 여단급 부대 창설이 결정되었다. 이 조치로 여단은 육군 비상 사태 지원을 위한 예하 부대의 신속한 전개를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7] 이후 제95민사그룹 재활성화가 결정되었다.[8]
2006년 3월, 로버트 와그너 중장은 부대를 여단으로 재지정하고 임시 운영을 승인했다.[4][7] 5월까지 여단은 420명(본부 및 본부 중대 20명, 제96민사대대 400명)의 직원을 보유했다.[9] 2007년 3월, 제95민사여단은 임시 지위에서 해제되어 완전히 활성화되었다.[10]
여단 본부는 예하 부대들이 여러 지원 임무를 위해 배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배치된 적이 없다. 제96민사대대는 2007년 중반 이라크 전쟁 지원을 위해 부대를 배치했다.[12] 여단은 항구적 자유 작전에서 특수 작전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도 병력을 배치했다.[13] 이라크에서 급조 폭발물로 인한 사망 2명을 포함, 여러 사상자가 발생했다.[12] 캘리포니아주는 사망한 소령을 추모하며 조기를 게양했다.[14] 부상병 지원 사업을 통해 재활된 사상자도 발생했다.[13] 2008년 창설 전 제98민사대대도 이라크에 병력을 배치했으며,[15] 이들은 테러와의 전쟁 지원을 위해 아프리카 등에도 배치되었다.[15]
3. 편성
제95민사여단은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둔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와 5개의 예하 대대로 구성된다.
3. 1. 예하 부대












4. 영예
제95민사여단은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캠페인에서 활약했으며, 부대 표창을 받았다.
4. 1. 부대 표창
4. 2. 캠페인 스트리머
분쟁 | 스트리머 | 년도 |
---|---|---|
한국 전쟁 | 유엔 1차 공세 | 1950 |
한국 전쟁 | CCF 춘계공세 | 1951 |
한국 전쟁 | UN 하계-추계 공세 | 1951 |
5. 계보
6. 소속
시기 | 소속 |
---|---|
시기 미상 | 연합군 최고사령부 |
1948년 10월 | 제8군 |
1971년 | 존 F. 케네디 군사원조관 |
2006년 3월 14일 | 미국 육군 특수작전사령부 |
2014년 9월 30일 | 제1특전사령부 |
참조
[1]
웹사이트
U.S. Army civil affairs Soldiers assigned to 95th Civil Affairs Brigade (Special Operations) (Airborne), climb over a "Nasty Nick" obstacle during day one of the Best Civil Affairs Team Competition
https://www.alamy.co[...]
2018-10-30
[2]
웹사이트
TIOH: 92 Civil Affairs Battalion
https://web.archive.[...]
2011-02-27
[3]
웹사이트
New active duty civil affairs battalion activated
http://news.soc.mil/[...]
USASOC News Service
2008-08-21
[4]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95th Civil Affairs Brigade
http://www.history.a[...]
2008-08-21
[5]
웹사이트
The Institute of Heraldry: 95th Civil Affairs Brigade
http://www.tioh.hqda[...]
The Institute of Heraldry
2008-08-21
[6]
웹사이트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http://www.defenseli[...]
US Department of Defense
2008-08-21
[7]
웹사이트
GlobalSecurity.org: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Operations Command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08-08-21
[8]
웹사이트
"Scroll & Sword' Volume 59, Issue 1"
http://www.civilaffa[...]
Civil Affairs Association
2008-08-21
[9]
웹사이트
GlobalSecurity.org: 95th Civil Affairs Brigade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08-08-21
[10]
웹사이트
"Scroll & Sword' Volume 60, Issue 1"
http://www.civilaffa[...]
Civil Affairs Association
2008-08-21
[11]
웹사이트
MEDIA ADVISORY: 95th Civil Affairs Brigade activation ceremony
http://news.soc.mil/[...]
U.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Public Affairs Office
2008-08-21
[12]
웹사이트
July 2007 Troop Deaths in Iraq
https://www.usatoday[...]
Associated Press
2008-08-21
[13]
웹사이트
Wounded Warriors compete in Wyoming
http://sinepari.soc.[...]
U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2008-08-21
[14]
웹사이트
Veterans News
http://www.cdva.ca.g[...]
California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2008-08-21
[15]
웹사이트
98th Civil Affairs Battalion Activated
http://www.soc.mil/s[...]
U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2008-08-21
[16]
뉴스
85th Civil Affairs Brigade inactivated
http://www.forthoods[...]
Fort Hood Sentinel
2018-02-08
[17]
웹인용
PERMANENT ORDERS 333-21
https://history.army[...]
미국 육군부
2008-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