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루 (촉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루는 촉한의 장수로, 관우 휘하에서 도독을 지냈다. 219년, 관우가 오나라 군대에 쫓겨 맥성으로 후퇴했을 때 관우, 관평과 함께 탈출을 시도했으나, 반장과 주연의 매복에 걸려 마충에게 사로잡혔다. 관우와 관평은 처형되었지만, 조루에 대한 기록은 더 남아있지 않다. 삼국지연의에서는 관우를 보좌하는 인물로 등장하며, 형주 방어와 맥성 탈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생애

유비(劉備)의 수하 장수로 활동했으며, 형주(荊州)를 수비하던 관우(關羽) 밑에서 도독(都督)을 지냈다.

건안(建安) 24년(219년), 번성 전투 말기에 관우손권(孫權) 휘하의 여몽(呂蒙)과 육손(陸遜)에게 형주의 주요 거점들을 빼앗기고 맥성(麥城)으로 후퇴하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조루는 관우, 관평(關平) 등과 함께 맥성을 탈출하여 달아나려 했으나, 남군(南郡) 임저현(臨沮縣) 장향(障鄕)에서 오군반장(潘璋)과 주연(朱然)이 설치한 매복에 걸렸다. 결국 반장의 부장 마충(馬忠)에게 관우, 관평과 함께 사로잡혔다.[4]

관우관평 부자는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되었으나[5], 조루의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조루는 군전도독(軍前都督)이자 양말관(糧秣官) 또는 양료관(糧料官)[6]으로서 관우를 보좌하는 충성스럽고 청렴한 인물로 등장한다.[7] 왕보는 조루의 충의와 청렴함을 높이 사 그에게 형주 수비를 맡길 것을 건의했으나, 관우는 조루가 맡은 군량 보급 임무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7]

이후 조루는 관우번성 공격에 동행했다. 형주가 여몽에게 함락된 후 맥성에 고립되었을 때, 조루는 여몽에게 편지를 보내 설득하거나 상용유봉맹달에게 구원을 요청할 것을 진언하는 등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노력했다.[8]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관우, 관평 부자와 함께 맥성 탈출을 시도하던 중 오군의 매복에 걸려 난전 속에서 전사하는 것으로 묘사된다.[3][9]

3. 1. 형주 방어에 대한 우려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조루는 군전도독(軍前都督)이자 양말관(糧秣官) 또는 양료관(糧料官)[6]으로서 관우를 보좌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관우번성을 공격하러 떠나려 할 때, 부하 왕보는 형주 방어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2]

왕보는 평소 조루의 충성심과 청렴함을 높이 평가하여[7], 형주를 지킬 인물로 반준 대신 조루를 추천했다. 왕보는 반준에 대해 "평소 질투심이 강하고 이익을 탐하므로 중책을 맡겨서는 안 된다"고 비판하며, "성실하고 청렴한 조루에게 맡기면 만에 하나 실수가 없을 것"이라고 관우에게 간언했다.[6][7] 또한 왕보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봉화대를 설치할 것도 건의했다.

그러나 관우는 왕보의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관우는 조루가 맡고 있는 군량 담당관의 역할 역시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2][7] 결국 관우는 반준에게 형주를 맡기고, 봉화대를 설치하자는 제안만 수락한 채 번성으로 출진했다.

3. 2. 맥성에서의 최후

건안(建安) 24년(219년), 관우(關羽)는 여몽(呂蒙)과 육손(陸遜)에게 패배하여 맥성(麥城)으로 후퇴했다. 오군의 포위 속에서 관우는 관평(關平), 조루 등과 함께 성을 탈출하여 익주(益州) 방면으로 향하려 했으나, 남군(南郡) 임저현(臨沮縣) 장향(障鄕)에서 반장(潘璋)과 주연(朱然)의 매복에 걸렸다. 결국 반장의 부장 마충(馬忠)에게 관우, 관평 부자와 함께 사로잡혔다. 관우와 관평은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되었으나, 조루의 이후 행적에 대한 정사 기록은 없다.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루의 최후가 다르게 묘사된다. 맥성에 고립된 관우에게 조루는 먼저 여몽에게 편지를 보내 옛 정에 호소할 것을 건의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상용(上庸)의 유봉(劉封)과 맹달(孟達)에게 구원을 요청할 것을 진언했으나 이마저도 거절당했다.[8] 결국 관우가 북쪽 포위망을 뚫고 탈출을 시도하자, 조루는 관평과 함께 관우를 수행했다.[2] 그러나 오군의 여러 매복에 걸려 난전을 벌이던 중, 조루는 관우보다 먼저 전사하는 것으로 그려진다.[3][9]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2] 서적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3] 서적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4] 서적 三国志 s:zh:三國志/卷47
[5] 서적 三国志 s:zh:三國志/卷36#關羽
[6] 문서 食糧や秣の運搬担当官 ちくま文庫
[7] 삼국지연의 第073回 s:zh:三國演義/第073回
[8] 삼국지연의 第076回 s:zh:三國演義/第076回
[9] 삼국지연의 第077回 s:zh:三國演義/第077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