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백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백현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농학자이자 교육자이다. 1900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4년 사망했다. 근대 농학 및 생화학 연구의 선구자로서, 전통 식품 연구와 농업 환경 개선에 기여했다. 콩, 김치, 전통 장류 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 식품에 과학적으로 접근했으며, 벼농사 연구에 동위원소를 활용하여 쌀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수원농림전문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 농학 교육 발전에 힘썼고, 한국농학회 창설 및 학술 활동을 통해 농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화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대한민국의 농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대한민국의 농학자 - 김순권
김순권은 옥수수 품종 개발로 한국과 아프리카 식량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 농학자로, 특히 나이지리아에서 새삼 저항성 옥수수 품종 개발로 "Mayegun"이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한국 옥수수 품종 개발, 경북대학교 교수,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후학 양성 및 북한 식량 문제 해결에도 힘썼다.
조백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조백현 |
한자 | 趙伯顕 |
로마자 표기 | Jo Baek-hyeon |
인물 정보 | |
이름 | 조백현 |
원래 이름 | 趙伯顯 |
출생일 | 1900년 12월 15일 |
출생지 | 대한제국 한성부 |
사망일 | 1994년 7월 13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평양(平壤)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침례회) |
부모 | 조성근(부) |
형제 | 조남숙(누나) |
친인척 | 이병도(자형) 이기령(생질) 이춘녕(생질) 이태령(생질) 이동녕(생질) |
학력 | |
학력 | 서울대 대학원 농학박사 |
경력 | |
직책 | KEC 교육위원 |
경력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임기 | 1945년 9월 13일 ~ 1946년 1월 22일 |
장관 | 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장관 |
국가 | 미군정청 |
수상 | |
수상 | 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사령관 |
대통령 |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 |
정당 | |
정당 | 무소속 |
2. 일생
조백현은 서울 출생으로 본관(관향)은 평양(平壤)이며 아호(雅號)는 화농(華農)이다. 구한말 대한제국 육군 참장을 지낸 무관(武官) 출신 조성근(趙性根)의 아들이며, 사학자 이병도(李丙燾)가 그의 자형이다.[1]
(하위 섹션 '생애 및 업적'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일생에 대한 내용은 최대한 간략하게 작성)
2. 1. 생애 및 업적
서울 출생으로 본관(관향)은 평양(平壤)이며 아호(雅號)는 화농(華農)이다. 구한말 대한제국 육군 참장을 지낸 무관(武官) 출신 조성근(趙性根)의 아들이며, 사학자 이병도(李丙燾)가 그의 자형이다.[1]근대 농학 및 생화학 연구의 선구자로, 전통식품 연구를 실제 국민들의 식생활과 연계하여 농학 및 식품산업 분야를 발전시켰다. 특히 콩, 김치, 전통 장류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전통식품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해 종균의 개발과 번식 등에 공헌했다. 김치의 영양가치, 메주 곰팡이 분류, 고추장 성분분석 등 전통식품을 농학으로 발전시킨 것이다.[1] 1932년 콩나물과 산나물 등을 연구한 ‘두아제조 중 일어나는 제 성분의 변화에 관하여’(수원고등농림학교 창립 25주년 기념 논문집), ‘한국산야생식용식물의 식품적 가치에 대하여’(1932, 동상논문집) 등은 한국인이 발표한 농학 분야 최초의 학술논문으로, 한국 근대 농학연구의 효시로 평가받고 있다.[1]
또한 비료 개발, 쌀 생산성 향상 등 국민생활 및 건강과 관련한 실용적인 분야에 적극 참여하여 낙후된 농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원자력 동위원소를 이용해 벼농사의 합리적인 방법을 연구해 쌀 생산성을 향상시켰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국제협력공동연구이자 합리적 시비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로도 세계 최초로 손꼽힌다. 연구방법 및 결과의 해석에 대해서도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극찬했다.[1] 1965년 원자력청 산하에 방사선농학연구소를 창설하고 벼의 품종개량 및 비료성분과 환경오염물질의 토양 및 수질 환경에서의 동태 등 농업 현장의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며 농업 및 농산업 분야의 기초를 완성했다.[1]
1925년 수원농림전문학교에 최초 한국인 강사로 부임해 교수를 거쳐 교장으로 취임했으며, 1946년에는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초대 학장으로 취임해 우리나라 농학 교육 및 정상화에 힘썼다. 한국 대학 기반 설계를 위해 미국 정부와 함께 미국 ‘미네소타 대학 계획’을 수립했고, 이 계획을 통해 한국 농학 분야 대학교육의 체계를 수립하고 교수의 교육 및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해외연수 파견 제도를 설립했다.[1]
1954년 한국 농학회 창설과 함께 회장을 맡았고, 1967년 한국토양비료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여러 농학학술회 활동을 수행하며 한국 농학회의 근대화를 위해 힘썼다. 1986년에는 농학 분야의 기초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을 격려하기 위해 사재를 털어 화농장학회 및 화농상 시상제도를 설립했다.[1]
만년에는 동갑의 농학자 윤상원(尹相元) 건국대학교 명예교수와 서로 개신교 침례회 교우로 지냈으며, 그와 같은 해(1994년)에 별세하였다.[1]
2. 2. 학력
연도 | 학교 | 학과 | 학위 |
---|---|---|---|
1913년 | 경성 매동보통학교 | 졸업 | |
1916년 | 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 수료 | |
1919년 |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 졸업 | |
1921년 | 규슈 제국대학교 | 농학과 | 중퇴 |
1925년 | 규슈 제국대학교 | 농예화학과 | 학사 |
1928년 | 규슈 제국대학교 대학원 | 농예화학과 | 농학석사 |
1957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학과 | 농학박사 |
2. 3. 주요 경력
연도 | 경력 |
---|---|
1925년 | 수원고등농림학교 조교수 |
1945년 | 미 군정청 KEC(한국교육위원회) 위원 |
1946년 |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교수 및 학장 |
1955년 |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 한국농학회 초대 회장 |
1962년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1965년 ~ 1973년 | 한국원자력위원회 상임위원 |
1972년 | 한국식품과학회 초대 회장 |
1986년 | 화농장학회 이사장 |
1993년 | 재단법인 화농연학재단 이사장 |
3. 상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