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비네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비네차는 1909년 주세페 블랑이 작곡한 노래로, 원래는 토리노 대학교 졸업 노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군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파시스트 정권의 찬가로 사용되었다. 로마 진군 이후 살바토르 고타가 새로운 가사를 썼으며, 파시스트적 주제를 담고 있다.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시기에는 가사가 수정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현재는 이탈리아 극우 세력 사이에서 불리고 있다. 조비네차는 파시즘과 무솔리니를 미화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이 노래의 연주를 거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9년 노래 - 아무르강의 물결
    1909년 막스 큐스가 작곡한 러시아 왈츠인 아무르강의 물결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인기를 얻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20세기 중반에는 가사가 붙여지고 합창단과 함께 연주되면서 동시베리아와 극동 지역의 음악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 파시스트 상징 - 로마식 경례
    로마식 경례는 오른팔을 뻗어 올리는 동작으로, 고대 로마 기원설과는 달리 실제 고대 로마 문헌이나 미술에서는 기원을 찾기 어려우나, 예술 작품과 대중 매체를 거쳐 파시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부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되기도 했다.
  • 파시스트 상징 - 속간
    속간은 고대 로마에서 권위의 상징으로 사용된 도끼 주위에 막대기를 묶은 형태로, 왕과 고위 공직자의 권한을 상징했으며, 로마 멸망 후 여러 정부와 기관에서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이탈리아의 노래 - 반디에라 로사
    반디에라 로사는 1877년 카를로 투치가 작곡하고 가사를 쓴 이탈리아의 혁명가요로, 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의 상징이자 노동자들의 투쟁과 연대를 고취하는 노래이며, 시대 변화에 따라 가사가 수정되어 전 세계 বিভিন্ন 언어로 번역되었고 한국에서는 민주화 운동 시기에 진보 진영의 가치와 이념을 상징하는 노래로 불렸다.
  • 이탈리아의 노래 - 돌아오라 소렌토로
    돌아오라 소렌토로는 1902년 잠바티스타 데 쿠르티스가 작곡한 나폴리 민요로, 소렌토 시장의 요청으로 만들어졌으며, 소렌토의 풍경과 고향을 떠나려는 연인에 대한 애절한 마음을 담아 널리 불리고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사용되었다.
조비네차
곡 정보
제목조비네차
영어 제목청춘
다른 제목조비네차
이탈리아 파시스트 찬가
작사가니노 옥실리아 (1909년)
마르첼로 만니 (1919년)
살바토레 고타 (1924년)
작곡가주세페 블랑
작곡 연도1909년
채택1943년
사용 중단1945년
이전 국가이탈리아
이전 국가의 찬가왕의 행진 (이탈리아 왕국)
계승 국가의 찬가피아베 강 전설
조비네차 악보
조비네차 악보
이탈리아어Giovinezza
로마자 표기Giovinezza
국제 음성 기호/dʒoviˈnettsa/
의미청춘
관련 항목조비네차 (졸업 노래)
조비네차 (영화)

2. 역사

"조비네차"는 원래 1909년 변호사이자 작곡가인 주세페 블랑이 토리노 대학교 졸업 노래로 작곡한 Il Commiato|일 코미아토ita("작별")라는 곡에서 유래했다.[8][9] 이 노래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군인들, 특히 파시스트 운동에 적극 가담했던 이탈리아 왕립 육군의 특수부대 아르디티 사이에서 인기를 얻으며 "인노 델리 아르디티"(Inno degli Arditi|인노 델리 아르디티ita)로 불리게 되었다.[10] 이후 피우메에서 가브리엘레 다눈치오가 주도한 집회를 통해 더욱 널리 퍼졌다.[11]

1921년 로마 진군 시기에는 새로운 가사가 붙여져 불렸으며,[14] 로마 진군 이후 무솔리니의 의뢰로 살바토르 고타가 1924년 파시스트 이념을 담은 새로운 가사를 완성했다.[12] 이 가사는 청춘과 민족주의를 강조하며, 단테 알리기에리를 언급하며 이스트라 지방 등 영토 확장을 정당화하는 내용을 포함했다.[13] 1943년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시기에는 당시의 암울한 이탈리아 내전 분위기에 맞춰 가사가 다시 수정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카시빌레 휴전에 따라 연합군은 이탈리아에서 "조비네차"의 사용을 금지했다.[14] 이후 이탈리아는 국가가 없는 상태를 거쳐, 1946년 "일 칸토 델리 이탈리아니"를 임시 국가로 채택했고, 이 곡은 2017년에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09-1921)

"조비네차"는 1909년 변호사이자 작곡가인 주세페 블랑이 Il Commiato|일 코미아토ita("작별"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라는 제목의 졸업 노래로 처음 작곡했다. 블랑은 이후 이탈리아 제국에 대한 찬가인 ''로마의 독수리''를 포함한 다른 파시스트 노래도 작곡한 인물이다.[8] 본래 이 곡은 토리노 대학교의 졸업 노래였으며,[9]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군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당시에는 "인노 델리 아르디티"(Inno degli Arditi|인노 델리 아르디티ita, 아르디티의 찬가)라고 불렸는데, 아르디티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왕립 육군의 특수 부대로, 그 구성원 다수가 이후 파시스트 운동에 참여했다.[10] 이 노래는 피우메에서 가브리엘레 다눈치오가 주도한 대규모 집회를 통해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1]

로마 진군 시기에 불린 버전은 1921년 G. 카스탈도가 주세페 블랑의 원곡과 마르첼로 마니가 쓴 가사("수 콤파니 인 포르테 스키에레"(Su compagni in forte schiere|수 콤파니 인 포르테 스키에레ita)로 시작)를 사용하여 새롭게 편곡한 것이다.[14]

2. 2. 파시스트 시대 (1921-1943)

1921년, G. 카스탈도는 주세페 블랑의 원곡에 마르첼로 마니의 가사("수 콤파니 인 포르테 스키에레"로 시작)를 붙여 로마 진군 당시에 불린 버전을 만들었다.[14] 로마 진군 이후, 무솔리니는 살바토르 고타에게 새로운 가사를 의뢰했고, 이 가사는 1924년에 완성되어 파시스트 정권의 공식 찬가 중 하나가 되었다.[12]

고타가 쓴 가사는 청춘과 민족주의 같은 파시스트 이념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알리기에리의 비전"이라는 구절은 단테 알리기에리가 콰르네로 (크바르너) 만까지를 이탈리아 국경으로 보았다는 주장을 반영하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가 차지한 이스트라 지방을 정당화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13]

1943년에는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시기에 맞춰 새로운 가사가 만들어졌다. 이는 이전 가사의 지나치게 낙관적이고 승리에 찬 분위기가 당시 이탈리아 내전의 암울한 현실과 맞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2. 3. 전후 (1945-현재)

카시빌레 휴전 이후 연합군은 이탈리아에서 "조비네차"의 사용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당시 이탈리아는 국가가 없는 상태였다.[14] 1946년 10월 12일 이탈리아가 공화국으로 전환되면서 "일 칸토 델리 이탈리아니"가 임시 국가로 채택되었고, 이후 2017년 12월 4일에 공식 국가로 법제화되었다.

3. 가사

'조비네차'의 가사는 시대에 따라 여러 버전으로 개사되었다. 각 버전은 당시 이탈리아의 정치적 상황과 파시즘 이념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1922년, 1924년, 1943년 버전이 알려져 있다.


  • '''1922년 버전''': 초기 파시즘 운동의 열기와 이상을 담고 있으며, 이탈리아 문명의 부활과 국가적 형제애를 노래한다. 팔랑크스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전투적인 이미지를 드러내기도 한다.[15]

1922년 버전

  • '''1924년 버전''': 살바토르 고타가 작사한 이 버전은 베니토 무솔리니 개인에 대한 충성과 파시즘 체제를 노골적으로 찬양하는 내용이 두드러진다. 특히 "무솔리니가 그들을 다시 만들었네 / 내일의 전쟁을 위해"와 같은 구절은 파시즘 정권의 선전 의도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 버전은 파시스트 정권 하에서 사실상의 국가(國歌)처럼 널리 불렸다.[16] 자세한 가사와 한국어 번역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1943년 버전''': 제2차 세계 대전 막바지, 특히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사는 더욱 전투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을 띠며, 검은 셔츠단의 용맹과 죽음을 불사하는 결사항전 의지를 강조한다.[17]


각 시대별 가사는 파시즘 정권의 선전 도구로서 기능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게 파시즘 이념과 지도자에 대한 맹목적인 충성을 강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평가받는다.

3. 1. 1924년 가사 (살바토르 고타 작사)

1924년에 살바토르 고타가 작사한 버전은 베니토 무솔리니파시즘을 노골적으로 찬양하며, 이탈리아 민족주의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무솔리니가 그들을 다시 만들었네 / 내일의 전쟁을 위해"와 같은 구절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 가사는 총 3절과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는 이탈리아어 원문 가사와 영어 번역이다.[16] 하위 섹션에서 한국어 번역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이탈리아어 원문영어 번역
Salve o popolo dEroi
Salve a patria immortale
Son rinati i figli tuoi
Con la fè nell
ideale
Il valor dei tuon guerrieri,
La virtù dei pionieri
La vision dell' Alighieri
Oggi brilla in tutti i cuor.
영웅들의 백성이여, 만세,
불멸의 조국이여, 만세,
당신의 아들들은 다시 태어났네.
믿음과 이상을 가지고.
당신의 전사들의 용기,
당신의 개척자들의 미덕,
알리기에리의 비전,
오늘 모든 심장에 빛나네.
후렴
Giovinezza, Giovinezza,
Primavera di bellezza
Della vita nell' asprezza
Il tuo canto squilla e va!
(E per Benito Mussolini,
Eja eja alalà.
E per la nostra Patria bella,
Eja eja alalà.)
후렴
청춘, 청춘,
아름다움의 봄,
삶의 고난 속에서
당신의 노래는 울려 퍼지고 나아가네!
(베니토 무솔리니를 위하여,
에야 에야 알랄라.
우리의 아름다운 조국을 위하여,
에야 에야 알랄라.)
Dell Italia nei confini
Son rifatti gli italiani;
Li ha rifatti Mussolini
Per la guerra di domani.
Per la gloria del lavoro
Per la Pace e per l
alloro,
Per la gogna di coloro
Che la patria rinnegan.
이탈리아 국경 안에서,
이탈리아인들은 다시 만들어졌네,
무솔리니가 그들을 다시 만들었네
내일의 전쟁을 위해.
노동의 영광을 위해,
평화와 월계수를 위해,
조국을 부정한 자들의 치욕을 위해.
(후렴 반복)(후렴 반복)
I Poeti e gli artigiani
I signori e i contadini
Con orgoglio ditaliani
Giuran fede a Mussolini.
Non v
è povero quartiere
Che non mandi le sue schiere
Che non spieghi le bandiere
Del fascismo redentor.
시인들과 장인들,
영주들과 시골 사람들,
이탈리아인의 자부심으로
무솔리니에게 충성을 맹세하네.
빈곤한 동네는 없네,
그들의 대열을 보내지 않는 곳은,
구원하는 파시즘의 깃발을 펼치지 않는 곳은.
(후렴 반복)(후렴 반복)



1924년 버전

3. 1. 1. 한국어 번역

'''1절'''

:만세, 영웅의 민중이여

:만세, 불멸의 조국이여

:그대의 아들들은 다시 태어났네,

:믿음과 이상을 품고.

:그대 병사들의 용맹이여

:그대 지도자들의 미덕이여

:알리기에리의 환상이여

:이 날 모두의 가슴 속에 빛나리라.

::'''후렴'''

::젊음이여, 젊음이여,

::아름다운 봄날이여,

::삶의 역경 속에서도,

::그대의 노래는 울려퍼진다!

::(무솔리니를 위하여,

::만세, 만세, 만만세!

::우리의 아름다운 조국을 위하여,

::만세, 만세, 만만세!)

'''2절'''

:이탈리아의 변방에서

:이탈리아인들은 다시 태어났네

:무솔리니가 그들을 새롭게 하였으니,

:내일의 싸움을 위하여,

:노동의 영광을 위하여,

:평화와 월계관을 위하여,

:우리 조국을 저버린

:역적들을 욕보이기 위하여.

::'''(후렴 반복)'''

'''3절'''

:시인들도 장인들도

:지주들도 농부들도

:이탈리아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무솔리니에 충성을 맹세하네.

:이제 모두가 가난에서 벗어나

:나라를 위해 힘을 보태고,

:우리를 구원할 파시즘의 깃발

:펼치지 않을 이 없으리.

::'''(후렴 반복)'''

4. 논란과 비판

"조비네차"는 이탈리아 파시즘 정권의 상징적인 노래로 사용되면서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이 노래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을 찬양하고 정당화하는 데 동원되었으며, 각종 공식 행사에서 연주가 강요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이용에 대한 반발과 저항도 존재했는데, 특히 세계적인 지휘자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여러 차례 "조비네차" 연주를 거부하며 파시즘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드러냈다. 그의 저항은 파시스트 정권의 탄압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4. 1.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와의 갈등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과거 1919년 파시스트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한 경력이 있으며, 베니토 무솔리니로부터 "세계 최고의 지휘자"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지만, 여러 차례 파시스트 찬가인 "조비네차" 연주를 거부하며 파시즘에 저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스카니니는 1922년 밀라노에서 "조비네차" 연주를 거부했으며, 이후 바이로이트에서도 같은 이유로 연주를 거부하여 유럽 전역의 반파시스트들로부터 지지와 찬사를 받았다.[28] 1926년 4월 15일, 무솔리니는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의 라 스칼라 극장 초연에 초대를 받았으나 참석하지 않았다. 이는 지휘를 맡은 토스카니니가 공연 전 "조비네차" 연주를 거부했기 때문이었다.[29]

결정적으로 1931년 5월, 토스카니니는 볼로냐에서 열린 콘서트에서도 "조비네차" 지휘를 거부했다. 이 사건 이후 그는 파시스트 행동대원인 검은 셔츠단에게 습격을 당했고,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조국 이탈리아를 떠나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1][30]

5. 대중문화 속 조비네차

"조비네차"는 스포츠 행사, 영화 상영 전후, 기타 공공 모임에서 자주 연주되었으며, 때로는 아주 사소한 이유로 연주되기도 했다. 이 노래가 연주될 때 제대로 예를 갖추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불리한 결과가 따랐고, 심지어 폭력적인 상황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았다.[18] 외국인이라 할지라도 "조비네차"가 연주될 때 모자를 벗어 경의를 표하지 않으면 검은 셔츠단에게 폭행을 당하기도 했다.[19]

1930년대에 "조비네차"는 이탈리아군의 공식 국가 지위를 얻었다.[20] 학교에서는 하루 일과를 시작할 때 "조비네차"나 오페라 나치오날레 발릴라 (파시스트 청년 조직)의 노래인 "발릴라"를 불러야 했다.[21] 파시스트 순교자 전시관의 예배당에서는 희미하게 녹음된 "조비네차"가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다.[22]

"조비네차"의 곡조는 다른 나라로 퍼져나가기도 했다. 독일어 가사를 붙인 "히틀러로이테"(Hitlerleute|히틀러의 사람들de)라는 노래가 만들어져 불렸다. [http://www.ingeb.org/songs/giovinez.html] 또한, 삼국 동맹을 기념하여 "조비네차"의 일본어 번역인 "검은 셔츠당의 노래"(黒シャツ党の歌일본어)와 "파시스트의 노래"(ファシストの歌일본어)가 만들어졌으며, 이는 일본 해외 방송을 통해 전파되었다.[23]

이탈리아의 유명 테너 베냐미노 질리는 1937년에 "조비네차"를 녹음했지만, 이 녹음은 이후 EMI에서 발매된 그의 "완전판" 음반에서는 눈에 띄게 제외되었다.[24] "조비네차"는 아체르보 법 통과 이후 1924년 파시스트가 장악한 의회가 개원할 때 연주되었으며,[25] 제2차 세계 대전나치가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창설을 발표하는 라디오 방송 직전에도 연주되었다.[26]

1939년 3월 12일, 교황 비오 12세교황 대관식이 열린 날, 교황의 팔라티노 근위대가 "조비네차"를 연주하는 사건이 있었다. 대관식의 마지막 의식이 끝난 후 비오 12세가 라테라노 궁전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팔라티노 근위대와 이탈리아 근위대가 서로 인사를 나누는 과정에서 팔라티노 근위대가 파시스트 국가인 "조비네차"를 연주하고, 이탈리아 근위대는 교황 찬가를 연주하며 화답하는 장면이 연출되었다. 이 사건은 대관식의 공식적인 일부가 아니었고 교황의 지시나 승인 없이 발생했지만, 이후 비오 12세가 암호 파시스트로 묘사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27]

참조

[1] 서적 Mussolini: a New Lif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2] 서적 Fontamar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 서적 Trapped in Tuscany Liberated by the Buffalo Soldiers Branden Books
[4] 서적 Italy: A Modern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6] 서적 I canti di Salò Fratelli Frilli
[7] 서적 States of Memory-CL: continuities, conflicts, and transformations in national retrospection Duk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New Oxford Companion to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World Since 1919 Macmillan
[10] 서적 Readings in European History Since 1814 F. S. Crofts & co
[11]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Routledge
[12] 웹사이트 "Giovinezza" (The Youth) http://david.nationa[...] 2008-08-23
[13] 서적 Italy and the Wider World 1860-1960 Routledge
[14] 서적 Grove's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t. Martin's Press
[15] Youtube Fasci di combattimento Version https://www.youtube.[...]
[16] Youtube PNF Version https://www.youtube.[...]
[17] Youtube RSI Version https://www.youtube.[...]
[18] 서적 The Adventures of Roberto Rossellini Da Capo Press
[19] 서적 Hemingway: A Life Without Consequences Da Capo Press
[20] 서적 The Italian Fascist Party in Power: A Study in Totalitarian Ru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 서적 Fascist at Work Ams Pr Inc
[22] 서적 Symbolic Space: French Enlightenment Architecture and Its Lega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서적 ラジオ・トウキョウ 1 真珠湾への道 ""
[24] 간행물 Records in Review Wyeth Press
[25] 뉴스 Italy's Parliament Opened with Pomp. The New York Times 1924-05-25
[26] 뉴스 New Fascist Regime Setup, Nazis Report. New York Times 1943-09-09
[27] 뉴스 Pope Takes Over St. John Lateran In Pageant Last Held 93 Years Ago. New York Times 1939-05-19
[28] 서적 Isaiah Berlin: A Life Owl Books
[29] 서적 The Complete Operas of Puccini: A Critical Guide Da Capo Press
[30] 서적 The Maestro, the Life of Arturo Toscanini Simon and Schuster
[31] 서적 History of the Italian People Weidenfeld & Nicolson
[32] 서적 The Fall of the House of Savoy Macmillan
[33] 뉴스 Mussolini ousted with fascist cabinet. New York Times 1943-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