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경무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총독부 경무국은 1919년 8월 20일 헌병경찰제도 폐지 이후 설치된 일제강점기 경찰 기구이다. 한국통감부 경무부, 경무총감부를 거쳐 조선총독부 경무국으로 이어지며, 독립운동 탄압, 사상 통제, 경제 수탈 등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1945년 광복 이후 미군정 하에서 잠시 존속하다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집행기관 - 노르웨이 경찰총국
노르웨이 경찰총국은 노르웨이의 법 집행 기관을 총괄하는 정부 기관이나, 현재 관련 문서가 없어 구체적인 정보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다. - 경찰 조직 - 포도청
포도청은 조선시대에 도적을 잡고 치안을 유지하던 관청으로, 성종 때 임시직으로 시작하여 좌·우 포도청으로 나뉘어 운영되다가 갑오경장 때 경무청으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천주교 박해에도 관여하였다. - 경찰 조직 - 경찰기동대
경찰기동대는 공공 질서 유지, 시위 진압, 재난 지원, 주요 인사 경호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 훈련 및 장비가 갖춰진 경찰 부대이지만, 과거 노동 운동 탄압, 과잉 진압, 군사화 논란 등의 비판과 경찰관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도 있다. - 경찰 - 물대포
물대포는 화재 진압 및 시위 진압에 사용되는 장비로, 독일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분사 압력과 거리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경찰 - 현행범
현행범은 범죄 실행 중이거나 직후인 사람을 뜻하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상 일반인도 영장 없이 체포 가능하나, 체포 필요성과 긴급성이 요구되고 경미한 범죄는 주거불명 또는 도주 우려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조선총독부 경무국 | |
---|---|
조선총독부 경무국 | |
![]() | |
개요 | |
설치 | 조선총독부 소속의 경찰 기관 |
설립 시기 | 1910년 |
폐지 시기 | 1945년 |
역할 | |
주요 업무 | 경찰 행정 보안 유지 검열 사상 통제 |
조직 | |
국장 | 경무국장 |
하위 부서 | 경무과 보안과 고등경찰과 위생과 감옥과 사법과 (1912년 폐지) 지문계 (1917년 설치) 해안경비대 (1919년 설치) |
역대 국장 | |
초대 국장 | 아카이케 아쓰요시 |
마지막 국장 | 미쓰야마 고시로 |
특징 | |
특징 | 식민지 경찰 통치의 핵심 기관 독립운동 탄압에 적극적 역할 수행 고등경찰을 통해 사상 통제 경찰 권한 강화 및 확대 |
관련 기관 | |
관련 기관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중추원 각 도 경찰부 경찰서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고등경찰 특별고등경찰 경찰 일제강점기 |
2. 연혁
1905년 12월 21일 한국통감부 설치와 함께 통감부 및 이사청 관제(칙령 제267호)에 의해 경무부(장은 경무총장)가 설치되었고, 이사청에 경부가 설치되었다. 경무부에는 고등경찰과, 경무과, 보안과, 위생과의 4개 과가 설치되었다.
1910년 6월 24일 대한제국의 경찰 사무가 일본에 위임되어 한국의 경시청과 경무국이 폐지되었다. 6월 30일 경찰관서관제(칙령 제296호)에 의해 통감부 외국으로 경찰관서가 설치되어 중앙에 경무총감부, 지방에 경찰부·경찰서가 설치되었다. 경무총감부의 장은 경무총장이며 주차군(주둔군) 헌병대 사령관이 겸직하였고 한국의 경찰 사무를 통괄하고 황궁과 한성의 경찰 사무를 담당하였다. 이 제도는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총독부가 설치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경무총감에는 헌병대 사령관, 각 도의 경무부장은 헌병대장이 임명되어 지방 행정 기관의 외곽 기구로서 일반 경찰과 위생 사무를 통괄하여 집행하였다(헌병경찰제도).[1]
1919년 8월 20일 헌병경찰제도는 폐지되어 독립 관청인 경무총감부와 각 도의 경무부가 폐지되었다. 총독부에 경무국이 설치되었고 지방에서는 도지사가 경찰권을 행사하였다. 1921년 2월 이후에는 경찰부로 변경되었다.[1]
2. 1. 한국통감부 경무부 (1905년 ~ 1910년)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설치된 한국통감부의 경찰 기구이다. 1905년 12월 21일 통감부 및 이사청 관제(칙령 제267호)에 의해서 경무부(장은 경무총장)가 설치되었고, 이사청에 경부가 설치되었다. 경무부에는 고등경찰과, 경무과, 보안과, 위생과의 4개 과가 설치되었다. 경무고문 마루야마 시게토시(丸山重俊) 초빙을 계기로 설치되었으며, 대한제국의 경찰권을 장악하기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하였다.2. 2. 경무총감부 (1910년 ~ 1919년)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 조선총독부는 경찰관서관제(칙령 제296호)에 따라 중앙에 경무총감부를 설치하고, 지방에는 경찰부와 경찰서를 설치하였다.[1] 경무총감부의 장은 경무총장이었으며, 주차군(주둔군) 헌병대 사령관이 겸직하여 한국의 경찰 사무를 통괄하고 황궁과 한성의 경찰 사무를 담당하였다.[1]경무총감에는 헌병대 사령관, 각 도의 경무부장에는 헌병대장이 임명되어 지방 행정 기관의 외곽 기구로서 일반 경찰과 위생 사무를 통괄하여 집행하였다. 이를 헌병경찰제도라고 한다.[1] 헌병경찰제도는 일제강점기 초기 무단 통치의 핵심 기관으로서, 독립운동을 탄압하고 조선인들의 일상생활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19년 3·1 운동 이후, 헌병경찰제도는 폐지되었고, 독립 관청이었던 경무총감부와 각 도의 경무부도 폐지되었다.[1]
2. 3. 경무국 (1919년 ~ 1945년)
1919년 3·1 운동 이후 헌병경찰제도가 폐지되면서 조선총독부에 설치된 경찰 기구이다. 표면적으로는 일반 경찰 제도로 전환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조선총독부의 통제 하에 운영되었다.[1] 독립운동 탄압, 사상 통제, 경제 수탈 등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1] 1945년 해방 이후 미군정 하에서 잠시 존속하다가 해체되었다.[1] 경무국 부국장에는 한종건이 임명되었다.1919년 8월 20일, 헌병경찰제도가 폐지되면서 독립 관청이었던 경무총감부와 각 도의 경찰부도 폐지되었다.[1] 조선총독부 본부에는 경무국이 설치되었고, 지방에서는 각 도 도지사가 경찰권을 행사하게 되었으며, 제3부(1921년 2월 이후 "경무부")가 설치되었다.[1] 기구 재편으로 경찰서 등도 보강되어, 1920년에 경성(서울) 2서, 평양 1서, 함경북도 1서, 부산 1서의 총 5개 경찰서가 신설되었다.[1] 각 도의 839개소 주재소 및 14개소 파출소 중 방범상 중요한 주재소에는 경부보가 추가 배치되었다.[1]
3. 조직 및 기구
1941년 9월 1일 당시 조선총독부 경찰은 경무국을 중심으로 여러 부서와 부속 기관이 설치되어 있었다. 각 도에는 경찰 사무를 담당하는 부국으로서 도청 산하에 경찰부가 설치되어 있었다.[1]
3. 1. 경무국
1941년 9월 1일 당시 조선총독부 경무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 비서실
- 경무과
- 방호과
- 교통과
- 경제경찰과
- 보안과
- 도서과
- 위생과
- 발파기술원양성소
이 외에도 총독부 소속 관청으로서 경찰관 강습소 등이 있었다. 또한 각 도에는 경찰 사무를 담당하는 부국으로서 도청 산하에 경찰부가 설치되어 있었다.[1]
4. 역대 경무국장
역대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은 일제강점기 식민 통치 정책을 직접 수행하며, 조선인들을 억압하고 탄압하는 데 앞장섰던 인물들이다. 이들은 한국통감부 경무부 경무총장, 경무총감부 경무총장, 경무국장을 포함한 조선총독부 경찰의 역대 수장들이다.
하위 섹션에서 한국통감부 경무부 경무총장, 경무총감부 경무총장, 경무국장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역대 경무국장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만을 제공한다.
4. 1. 한국통감부 경무부 경무총장
성명 | 재임 기간 | 비고 |
---|---|---|
오카 기시치로(岡喜七郎) | 1905년(메이지 38년) 12월 31일 – 1907년(메이지 40년) 9월 19일 | |
오카 기시치로(岡喜七郎) | 1907년(메이지 40년) 9월 19일 – 1910년(메이지 43년) 6월 14일 | 사무취급 |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二郎) | 1910년(메이지 43년) 7월 1일 – 1910년(메이지 43년) 10월 1일 |
4. 2. 경무총감부 경무총장
성명 | 재임 기간 | 비고 |
---|---|---|
통감부 경무총장 | ||
오카 기시치로(岡喜七郎) | 1905년(메이지 38년) 12월 31일 – 1907년(메이지 40년) 9월 19일 | |
오카 기시치로(岡喜七郎) | 1907년(메이지 40년) 9월 19일 – 1910년(메이지 43년) 6월 14일 | 사무취급 |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二郎) | 1910년(메이지 43년) 7월 1일 – 1910년(메이지 43년) 10월 1일 | |
조선총독부 경무총장 | ||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二郎) | 1910년(메이지 43년) 10월 1일 – 1914년(다이쇼 3년) 4월 17일 | |
타치바나 코이치로(立花小一郎) | 1914년(다이쇼 3년) 4월 17일 – 1916년(다이쇼 5년) 4월 1일 | |
후루우미 겐쵸(古海巖潮) | 1916년(다이쇼 5년) 4월 1일 – 1918년(다이쇼 7년) 7월 24일 | |
코지마 소지로(兒島惣次郎) | 1918년(다이쇼 7년) 7월 24일 – 1919년(다이쇼 8년) 8월 20일 |
4. 3. 경무국장
성명 | 재임 기간 | 비고 |
---|---|---|
노구치 준키치(野口淳吉) | 1919년 8월 20일 – 1919년 9월 5일 | 사망[1] |
후루미 이즈시오(古海嚴潮) | 1919년 9월 5일 ~ 1919년 9월 20일 | |
아카이케 아쓰시(赤池濃) | 1919년 9월 20일 – 1922년 6월 14일 | |
마루야마 쓰루키치(丸山鶴吉) | 1922년 6월 17일 – 1924년 9월 13일 | |
미야마쓰 미쓰마쓰(三矢宮松) | 1924년 9월 13일 – 1926년 9월 27일 | |
아사리 사부로(淺利三朗) | 1926년 9월 28일 – 1929년 11월 8일 | |
모리오카 지로(森岡二朗) | 1929년 11월 8일 – 1931년 6월 26일 | |
이케다 키요시(池田清) | 1931년 6월 26일 – 1936년 4월 22일 | |
타나카 타케오(田中武雄) | 1936년 4월 22일 – 1936년 9월 5일 | |
미하시 코이치로(三橋孝一郎) | 1936년 9월 5일 – 1942년 6월 2일 | |
탄게 이쿠타로(丹下郁太郎) | 1942년 6월 2일 – 1944년 8월 1일 | |
니시히로 타다오(西廣忠雄) | 1944년 8월 1일 - | 일본 통치하 마지막 국장 |
4. 4. 경무국 부국장
부국장 | 재임 기간 |
---|---|
한종건 | 1945년 8월 16일 ~ 1945년 9월 2일[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