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세영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외교부 제1차관과 국립외교원 원장을 역임했다.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부에 입부했다. 주일본 대사관, 주예멘 대사관,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등에서 근무했으며, 동북아시아국장을 지냈다. 2012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관련 문제로 사임 후 외교부를 퇴직하고 동서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7년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 검증 태스크포스 부위원장으로 참여했다. 2019년 5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외교부 제1차관을 역임했으며, 2013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저서로는 『일한 외교사 - 대립과 협력의 50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씨 - 조청희
조청희는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로, 몽골야구협회 유소년 야구팀 수석 코치, 한화 이글스와 고양 원더스에서 트레이닝 코치를 역임했다. - 조씨 - 조윤호 (희극인)
조윤호는 중부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졸업하고 2009년 뮤지컬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로, 《개그콘서트》의 여러 코너에서 유행어를 만들고 영화 더빙 및 출연을 통해 활동 영역을 넓혔다. - 동서대학교 교수 - 임권택
임권택은 1962년 데뷔 후 상업 영화와 예술 영화를 넘나들며 한국적인 정서와 문화를 담은 작품들로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인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동서대학교 교수 - 김대식 (1962년)
김대식은 동의대학교와 오타니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대학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여의도연구원 원장을 지냈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 사상구 국민의힘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현재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으로 활동 중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 - 김규현
김규현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주미국 대사관 참사관 등을 거쳐 박근혜 정부에서 외교부 제1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 등을 역임했고 윤석열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 - 조태열
조태열은 서울대 법대와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WTO 분쟁패널 의장, 외교부 제2차관, 주 유엔 대사 등을 역임하고 2024년 외교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G7 가입 추진 및 한중 관계 개선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시인 조지훈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 조헌영의 손자이다.
조세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세영 |
로마자 표기 | Cho Se-young |
한글 | 조세영 |
한자 | 趙世暎 |
가타카나 | チョ・セヨン |
히라가나 | そう せいえい |
공직자 정보 | |
이름 | 조세영 |
원어명 | 趙世暎 |
국가 | 대한민국 |
직책 | 제5대 외교부 제1차관 |
임기 | 2019년 5월 23일 ~ 2020년 8월 14일 |
전임 | 조현 |
후임 | 최종건 |
출생일 | 1961년 10월 11일 |
학력 | 고려대학교 법학과 |
신체 정보 | |
군 복무 |
2. 학력
3. 경력
- 1984년 7월 - 외무부 입부 (84.5. 제18회 외무고시)[12][1]
- 1987년~89년 - 게이오기주쿠 대학교 방문 연구원[1]
- 1990년 6월 - 주일본 대사관 2등서기관[12][1]
- 1993년 12월 - 주예멘 대사관 1등서기관[12][1]
- 1996년 2월 - 대통령비서실 파견[12][1]
- 1999년 7월 -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영사[12][1]
- 2001년 6월 - 주일본 대사관 1등서기관[12][1]
- 2004년 5월 - 동북아통상과장[12][1]
- 2005년 12월 - 주중국 대사관 공사참사관[12][1]
- 2007년 12월 - 주일본 대사관 공사참사관[12][1]
- 2011년 8월 - 동북아시아국장[12][1]
- 2013년 9월 - 외교부 명예퇴직[12][1]
- 2013년 9월 - 동서대 국제학부 특임교수 겸 일본연구센터 소장[12][1]
- 2018년 9월 - 외교부 국립외교원장[12][1]
- 2019년 5월 - 외교부 제1차관[12][1]
- 2019년 5월~2020년 8월 - 외교부 제1차관[1]
3. 1. 외교부
조세영은 1984년 7월 외무부에 입부하여(제18회 외무고시) 외교관 경력을 시작하였다.[12][1] 1990년 6월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2등서기관, 1993년 12월 주예멘 대사관 1등서기관, 1996년 2월 대통령비서실 파견, 1999년 7월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영사, 2001년 6월 주일본 대사관 1등서기관을 역임하였다.[12][1] 1987년부터 1989년까지는 게이오기주쿠 대학 방문 연구원으로 있었다.[1]2004년 5월에는 동북아통상과장, 2005년 12월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 2007년 12월 주일본 대사관 공사참사관, 2011년 8월 동북아시아국장을 역임하였다.[12][1] 2013년 9월 외교부에서 명예퇴직 후, 동서대 국제학부 특임교수 겸 일본연구센터 소장을 맡았다.[12][1] 2018년 9월에는 국립외교원장에 임명되었고, 2019년 5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외교부 제1차관을 역임하였다.[1]
3. 2. 학계 및 기타 경력
조세영은 1984년 제18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부에 입부하였다.[12] 1987년부터 1989년까지 게이오기주쿠 대학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외교관으로서는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2등서기관, 주예멘 대사관 1등서기관, 대통령비서실 파견,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영사, 주일본 대사관 1등서기관, 동북아통상과장,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 주일본 대사관 공사참사관, 동북아시아국장을 역임했다.[1] 2013년 9월 외교부에서 명예퇴직한 후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특임교수 겸 일본연구센터 소장으로 활동했다.[1] 2018년 9월에는 국립외교원장에 임명되었고, 2019년 5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외교부 제1차관을 역임하였다.[1][12]4. 한국 외교부 시절 주요 활동
한국 외교부에서 근무하며, 김영삼, 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의 일본어 통역을 맡았으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동북아시아국장을 역임했다.[3] 2012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을 둘러싼 문제로 책임을 물어 동북아시아국장에서 사임했고, 2013년에는 외무성을 퇴직했다.[4]
그 후 2017년 문재인 정부 하에서 설치된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2015년 12월) 검증을 위한 태스크포스에 부위원장으로 참여했다. 2018년 9월, 국립외교원 원장을 거쳐, 2019년5월 23일, 대한민국 외교부 제1차관에 취임했다.[5] 2020년 8월 14일자로 외교부 제1차관에서 퇴임했다.
4. 1. 한일 관계
김영삼, 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의 일본어 통역을 맡았으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동북아시아국장을 역임했다.[3] 2012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을 둘러싼 문제로 책임을 물어 동북아시아국장에서 사임했고, 2013년에는 외무성을 퇴직했다.[4]그 후 2017년 문재인 정부 하에서 설치된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2015년 12월) 검증을 위한 태스크포스에 부위원장으로 참여했다. 2018년 9월, 국립외교원 원장을 거쳐, 2019년5월 23일, 대한민국 외교부 제1차관에 취임했다.[5] 2020년 8월 14일자로 외교부 제1차관에서 퇴임했다.
4. 2. 위안부 합의 검증
4. 3. 외교부 제1차관 시절
조세영은 1984년 7월 외무부에 입부하여(제18회 외무고시), 주일본 대사관 2등서기관, 주예멘 대사관 1등서기관, 대통령비서실 파견,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영사, 주일본 대사관 1등서기관, 동북아통상과장, 주중국 대사관 공사참사관, 주일본 대사관 공사참사관, 동북아시아국장 등을 역임했다.[12] 2013년 9월 외교부 명예퇴직 후 동서대 국제학부 특임교수 겸 일본연구센터 소장을 지내다가 2018년 9월 국립외교원장에 임명되었고, 2019년 5월 외교부 제1차관에 임명되었다.[12]2019년 7월 1일, 일본이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운용 재검토(반도체 재료 수출 관리, 화이트 국가 제외 절차 개시)를 발표하자, 나가미네 야스마사 대사를 불러 해당 조치가 한국의 관련 산업 및 양국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항의했다.[6][7]
2019년 8월 2일, 일본이 수출 규제 운용 재검토를 각의 결정한 것에 대해 다시 나가미네 대사를 불러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조 차관은 "일본의 조치는 우호 협력 국가에 대한 도리에 반하는 행위이며, 이러한 보복적인 경제 조치를 취하는 국가를 우리 국민은 더 이상 우호국으로 생각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8]
2019년 8월 6일, 아베 총리가 기자 회견에서 징용 배상 판결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 정부를 비판한 것에 대해 "일본 정부는 진실에서 눈을 돌리지 말고, 과거를 부정하며 인권을 무시하고 자유 무역 질서를 훼손하는 이기적인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반론했다.[9]
2019년 8월 28일, 조세영 차관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와 면담하여, 한국 측의 한일 군사 정보 보호 협정 파기 발표에 대해 미국이 거듭 실망과 우려를 표명하는 것을 자제해 달라고 요구했다.[10]
4. 4. 한미 관계
5. 상훈
6. 저서
조세영은 『일한 외교사 - 대립과 협력의 50년』을 저술하였으며, 이 책은 강희대에 의해 번역되어 2015년 11월 평범사(평범사 신서)에서 출판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제1차관인적사항〔第1次官個人情報〕
http://www.mofa.go.k[...]
大韓民国外交部
2019-11-10
[2]
뉴스
외교부 1차관에 조세영, 차관급 9명 관료 중심으로 인사〔外交部第一次官に趙世暎、9人の次官級官僚を中心に人事〕
http://www.businessp[...]
ビジネス・ポスト
2019-11-10
[3]
웹사이트
「ジャパンスクール」外務次官に 韓国政府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7-01
[4]
웹사이트
韓国が外交部第一次官に“日本通”を起用、「日韓関係改善」に期待の声
https://news.biglobe[...]
レコードチャイナ
2019-07-01
[5]
웹사이트
外交部次官に日本通の趙世暎氏任命 韓日関係改善の意思反映か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9-07-01
[6]
웹사이트
韓国外交省、駐韓日本大使呼び抗議…半導体材料禁輸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9-07-01
[7]
웹사이트
半導体材料の韓国向け輸出管理を厳格化、信頼関係毀損で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19-07-01
[8]
웹사이트
韓国次官「国民は日本を友好国と考えることができない」 日本大使呼び抗議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9-08-03
[9]
웹사이트
「日本は利己的な態度を放棄せよ」 韓国外務次官が発言
https://www.sankei.c[...]
2019-08-07産経新聞
2019-08-06
[10]
웹사이트
韓国が米大使に「失望」繰り返すなと自制要求
https://www.iza.ne.j[...]
iza
2019-08-29
[11]
뉴스
외교부 1차관에 조세영, 차관급 9명 관료 중심으로 인사
http://www.businessp[...]
비즈니스포스트
2019-11-10
[12]
웹인용
제1차관인적사항
http://www.mofa.go.k[...]
대한민국 외교부
2019-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