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언과 동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언과 동의는 특정 정부 부처의 권한을 견제하기 위해 다른 부처의 동의를 요구하는 개념으로, 약한 행정부 시스템에서 입법부의 역할을 강조한다. 영국에서는 법률 제정 시 국왕과 의회의 동의를 모두 거치는 형식을 취하며, 싱가포르에서는 대통령의 권한 행사에 내각의 자문이 필요하다. 미국에서는 대통령의 조약 체결 및 공직 임명에 대해 상원의 자문과 동의를 요구하며, 이는 헌법에 명시되어 연방 정부의 권력 균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권한은 역사적으로 대통령과 상원 간의 관계에서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상원 청문회와 투표를 통해 행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상원 - 미국 상원 임시의장
    미국 상원 임시의장은 부통령 부재 시 상원 의사진행을 관할하고 대통령 계승 서열에 포함되며, 다수당의 최고참 의원이 맡는 것이 관례이다.
  • 미국 상원 - 미국 상원 정보위원회
    미국 상원 정보위원회는 정보기관의 활동을 감독하고 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1976년 설립된 상원 소속 위원회로, 정보 평가 보고서 발간, NSA 감시 폭로 관련 성명 발표, CIA 고문 정책 보고서 발표 등의 활동을 한다.
  • 헌법 - 프랑스 헌법
    프랑스 헌법은 국민주권, 권력분립, 인권 보장 등의 원칙을 명시하며, 강력한 대통령 중심의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1958년 헌법을 기준으로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헌법 -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은 1947년 5월 3일 시행된 일본의 최고 법규로, 천황을 상징적 존재로 규정하고 국민주권, 민주주의, 평화주의, 기본적 인권 존중을 핵심 이념으로 하며, 9조에서 전쟁 포기 및 전력 불보유를 선언하고 있다.
조언과 동의
조언과 동의
유형미국 상원의 권한
목적미국 대통령이 임명한 특정 공직자에 대한 동의 및 조약에 대한 승인 제공
작동 방식대통령의 지명을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후보자를 심문하고, 후보자의 적격성을 표결한다.
필요 조건상원 투표 과반수
관련 조항
미국 헌법제2조 2항
제1조 3항
역사
1789년처음으로 시행됨
영향
대통령의 권한임명 권한 제한
연방 정부임명 과정에 영향을 미침
조약 체결에 중요한 역할

2. 일반

이 개념은 특정 행동에 대해 다른 정부 부처의 동의를 요구함으로써 한 정부 부처의 권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표현은 국가원수의 실질적인 권력이 거의 없는 약한 행정부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며, 실제로 법안 통과의 중요한 부분은 입법부의 채택에 있다.

3. 영국

영국과 같은 입헌군주제 국가에서는 법안이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본 법은 폐하 국왕의 탁월한 폐하의 재가와 상원의 영적 귀족 및 속인 귀족 그리고 하원의 동의와 현재 의회의 권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정된다.

이 제정 공식은 법적으로는 법안이 영국 군주, 구체적으로는 국왕에 의해 제정되지만, 입법은 국왕의 주도가 아닌 의회의 주도에 의해 이루어짐을 강조한다.

4. 미국

"자문과 동의(Advice and consent)"는 미국 대통령이 조약을 체결하거나 내각 장관, 연방 판사, 군 장교, 미국 검사, 대사 등 고위 공직자를 임명할 때 미국 상원의 동의를 얻도록 한 권한이다. 이는 행정부의 권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 용어는 미국 헌법 제2조 2절 2항에 두 번 등장하며, 대통령의 권한 행사에 상원의 동의를 요구함으로써 권력 균형을 이루고자 했던 헌법 제정자들의 의도를 반영한다.

미국 상원은 임명 동의 권한을 행사하기 위해 청문회를 열고 후보자를 심사하며, 필리버스터와 같은 제도를 통해 소수 의견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2013년과 2017년에는 민주당과 공화당이 각각 '핵옵션'을 행사하여 필리버스터를 무력화하고 단순 과반수 찬성으로 임명안을 통과시킨 사례도 있다. 특히 2016년 미치 매코넬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대법관 지명을 거부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4. 1. 헌법 조항

미국에서 "자문과 동의"는 미국 대통령이 체결한 조약과 내각 장관, 연방 판사, 군 장교, 미국 검사, 대사 및 기타 하위 직책을 포함한 공직에 대한 임명에 대해 상의하고 승인할 수 있는 미국 상원의 권한이다. 이 권한은 여러 주 상원에서도 행사되며, 주지사와 같은 주 최고 경영자의 다양한 임명에 대해 상의하고 승인하는데, 예를 들어 일부 주 전역의 공무원, 주지사 내각의 주 부처 장, 주 판사(일부 주) 등이 있다.[3]

"조언과 동의(Advice and consent)"라는 용어는 미국 헌법 제2조 제2절 제2항에 두 번 등장한다. 첫 번째는 상원의 조약 체결 및 비준(Treaty Clause) 과정에서의 역할을 언급할 때 사용되고, 두 번째는 연방 임명직 공무원의 지명 및 승인(Appointments Clause) 과정에서 상원의 역할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문구는 연방 정부의 권력 균형에 관한 섬세한 타협의 일환으로 헌법 제정 회의(Constitutional Convention)에서 작성되었다. 많은 대의원들은 대통령에게 강력한 집행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권위주의적 통제를 우려하는 다른 대의원들은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을 선호했다. 대통령이 상원의 조언과 동의를 얻도록 요구함으로써 정부 업무를 방해하지 않고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었다.

미국 헌법 수정 제25조에 따라, 부통령직 임명은 상원이 아닌 의회 양원의 과반수 찬성으로 승인된다.

4. 2. 권한의 역사적 발전

미국에서 "자문과 동의(Advice and Consent)"는 미국 대통령이 체결한 조약과 내각 장관, 연방 판사, 군 장교, 미국 검사, 대사 및 기타 하위 직책을 포함한 공직에 대한 임명에 대해 상의하고 승인할 수 있는 미국 상원의 권한이다.[3] 이 권한은 여러 주 상원에서도 행사되며, 주지사와 같은 주 최고 경영자의 다양한 임명에 대해 상의하고 승인한다. 예를 들어 일부 주 전역의 공무원, 주지사 내각의 주 부처 장, 주 판사(일부 주) 등이 있다.

"조언과 동의"라는 용어는 미국 헌법에 두 번 등장하는데, 모두 제2조 제2절 제2항에 나온다. 첫 번째는 상원의 조약 체결 및 비준(Treaty Clause) 과정에서의 역할을 언급할 때 사용되고, 두 번째는 연방 임명직 공무원의 지명 및 승인(Appointments Clause) 과정에서 상원의 역할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문구는 연방 정부의 권력 균형에 관한 섬세한 타협의 일환으로 헌법 제정 회의(Constitutional Convention)에서 작성되었다. 많은 대의원들은 대통령에게 강력한 집행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권위주의적 통제를 우려하는 다른 대의원들은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을 선호했다. 대통령이 상원의 조언과 동의를 얻도록 요구함으로써 정부 업무를 방해하지 않고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었다.

미국 헌법 수정 제25조에 따라, 부통령직 임명은 상원이 아닌 의회 양원의 과반수 찬성으로 승인된다.

미국 헌법의 기초자들 중 토머스 제퍼슨제임스 매디슨과 같이 상원의 필요한 역할은 대통령이 지명한 후에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있었다.[4][5] 로저 셔먼은 지명 전 자문도 여전히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6]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지명 전 자문이 허용되지만 의무 사항은 아니라는 입장을 취했다.[7] 지명 전 자문이 선택 사항이라는 개념은 권한의 "자문" 부분과 "동의" 부분의 통합으로 발전했지만, 여러 대통령은 지명과 조약에 대해 상원 의원들과 비공식적으로 협의해 왔다.

일반적으로 미국 상원 청문회는 위원회 투표 전에 임명 후보자에 대한 질문을 하기 위해 개최된다. 후보자가 해당 위원회의 승인을 받으면, 임명은 전체 상원으로 보내져 확인 투표를 진행한다. 상원이 권한을 행사할 때 채택하는 실제 결의는 "자문과 동의"이다.[8][9] 임명의 경우, "자문과 동의" 결의를 통과시키려면 출석 상원의원 과반수가 필요하다. 그러나 필리버스터와 같이, 이러한 결의를 통과시키기 위해 과반수 이상의 지지를 요구하는 전술이 사용되어 왔다. 필리버스터의 경우, 자문과 동의 결의에 대한 투표를 하기 위해서조차도 토론 종결 결의에 대한 5분의 3 찬성표가 필요하다.

2013년 11월 21일, 당시 다수당 원내대표였던 해리 리드가 이끄는 민주당은 단순 과반수 투표로 필리버스터를 무력화하고 규칙을 변경하는 (의회의 "핵옵션" 행사) 결정을 내렸다.[10] 이로 인해 연방 법원의 사법부 임명과 대통령의 행정부 임명은 상원의 단순 과반수 찬성으로 확인 투표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리드는 대법원 임명에 대해서는 필리버스터를 유지했다.

2016년 2월 13일,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였던 미치 매코넬은 상원이 2016년 대통령 선거 이후까지 대법원 판사 앤터닌 스캘리아의 후임을 임명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권한에 대한 역사적인 비난이자 각 후보자의 자격을 개별적으로 심사하는 관행에 대한 이례적인 도전이었다. 매코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어떤 상원 원내대표도 이러한 권리를 주장한 적이 없었으며, 현직 대통령이 입법부의 어떤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대법원 임명 권한을 넘겨준 전례는 없었다.

2017년 4월, 매코넬과 공화당은 대법원 임명에 대한 민주당의 반대를 극복하기 위해 핵옵션을 사용하여, 민주당의 필리버스터가 성공했을 수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법원 준대법관 닐 고서치를 대법원에 임명했다.

4. 3. 현재의 사용

미국에서 "자문과 동의(Advice and Consent)"는 미국 대통령이 체결한 조약과 내각 장관, 연방 판사, 군 장교, 미국 검사, 대사 및 기타 하위 직책을 포함한 공직에 대한 임명에 대해 상의하고 승인할 수 있는 미국 상원의 권한이다.[3][4] 이 권한은 여러 주 상원에서도 행사되며, 주지사와 같은 주 최고 경영자의 다양한 임명 (일부 주 전역의 공무원, 주지사 내각의 주 부처 장, 주 판사(일부 주) 등)에 대해 상의하고 승인한다.

"조언과 동의"라는 용어는 미국 헌법 제2조 제2절 제2항에 두 번 등장한다. 첫 번째는 상원의 조약 체결 및 비준(Treaty Clause) 과정에서의 역할을 언급할 때 사용되고, 두 번째는 연방 임명직 공무원의 지명 및 승인(Appointments Clause) 과정에서 상원의 역할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문구는 연방 정부의 권력 균형에 관한 섬세한 타협의 일환으로 헌법 제정 회의(Constitutional Convention)에서 작성되었다. 많은 대의원들은 대통령에게 강력한 집행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권위주의적 통제를 우려하는 다른 대의원들은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을 선호했다. 대통령이 상원의 조언과 동의를 얻도록 요구함으로써 정부 업무를 방해하지 않고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었다.

미국 헌법 수정 제25조에 따라, 부통령직 임명은 상원이 아닌 의회 양원의 과반수 찬성으로 승인된다.

미국 헌법 기초자들 중 토머스 제퍼슨제임스 매디슨은 상원의 역할이 대통령이 지명한 후에 자문하는 것이라고 믿었지만,[3][4] 로저 셔먼은 지명 전 자문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5]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지명 전 자문이 허용되지만 의무 사항은 아니라는 입장을 취했다.[6] 지명 전 자문이 선택 사항이라는 개념은 권한의 "자문" 부분과 "동의" 부분의 통합으로 발전했지만, 여러 대통령은 지명과 조약에 대해 상원 의원들과 비공식적으로 협의해 왔다.

일반적으로 미국 상원 청문회는 위원회 투표 전에 임명 후보자에 대한 질문을 하기 위해 개최된다. 후보자가 해당 위원회의 승인을 받으면, 임명은 전체 상원으로 보내져 확인 투표를 진행한다. 상원이 권한을 행사할 때 채택하는 실제 결의는 "자문과 동의"이다.[7][8] 임명의 경우, "자문과 동의" 결의를 통과시키려면 출석 상원의원 과반수가 필요하다. 그러나 필리버스터와 같이, 이러한 결의를 통과시키기 위해 과반수 이상의 지지를 요구하는 전술이 사용되어 왔다. 필리버스터의 경우, 자문과 동의 결의에 대한 투표를 하기 위해서조차도 토론 종결 결의에 대한 5분의 3 찬성표가 필요하다.

2013년 11월 21일, 당시 다수당 원내대표였던 해리 리드가 이끄는 민주당은 단순 과반수 투표로 필리버스터를 무력화하고 규칙을 변경하는 (의회의 "핵옵션" 행사) 결정을 내렸다.[9] 이로 인해 연방 법원의 사법부 임명과 대통령의 행정부 임명은 상원의 단순 과반수 찬성으로 확인 투표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리드는 대법원 임명에 대해서는 필리버스터를 유지했다.

2016년 2월 13일,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였던 미치 매코넬은 상원이 2016년 대통령 선거 이후까지 대법원 판사 앤터닌 스캘리아의 후임을 임명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권한에 대한 역사적인 비난이자 각 후보자의 자격을 개별적으로 심사하는 관행에 대한 이례적인 도전이었다. 매코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어떤 상원 원내대표도 이러한 권리를 주장한 적이 없었으며, 현직 대통령이 입법부의 어떤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대법원 임명 권한을 넘겨준 전례는 없었다.[10]

2017년 4월, 매코넬과 공화당은 대법원 임명에 대한 민주당의 반대를 극복하기 위해 핵옵션을 사용하여, 민주당의 필리버스터가 성공했을 수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법원 준대법관 닐 고서치를 대법원에 임명했다.

참조

[1] 법률 Art 22P.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ingapore
[2] 판례 Yong Vui Kong v Attorney-General [2011] SGCA 9
[3] 서적 The Constitution in Congress: The Federalist Period, 1789–180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7
[4] 웹사이트 Federalist No. 76 http://www.votesmart[...] 1788
[5] 웹사이트 Letter from Roger Sherman to John Adams http://press-pubs.uc[...] 1789-07
[6] 웹사이트 U.S. Senate history on the power to advise and consent https://www.senate.g[...]
[7] 웹사이트 U.S. Senate Rule 30 http://rules.senate.[...]
[8] 웹사이트 U.S. Senate Rule 31 http://rules.senate.[...]
[9] 뉴스 It's official: The Senate just got rid of part of the filibuster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3-11-21
[10] 뉴스 McConnell throws down the gauntlet: No Scalia replacement under Obama https://www.politico[...] Politico 2022-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