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국 헌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국 헌법은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시로 제정되어 1947년 5월 3일부터 시행된 일본의 최고 법규이다. 이 헌법은 전문과 11개의 장, 103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황을 국가와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규정하고 국민 주권, 기본적 인권 존중, 평화주의를 기본 원리로 한다. 특히 헌법 제9조는 전쟁 포기와 전력 불보유를 명시하여 일본의 평화주의를 나타내지만, 자위대의 존재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헌법 개정은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과 국민투표 과반수 찬성을 얻어야 하며, 1952년 이후 보수 세력의 개정 시도가 있었으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5월 - 1947년 5월 20일 일식
1947년 5월 20일에 발생한 부분 일식은 사로스 주기 136에 속하며 북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북부 등지에서 관측되었고 냉전 시대의 불안정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발생했으며, UTC 기준 07:49에 시작하여 10:31에 종료되었고 북위 62.4° 서경 178.3° 지점에서 최대 일식이 관측되었다. - 1947년 문서 - 휴머니즘에 대해서
휴머니즘은 하이데거가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를 비판하며 존재론적 관점에서 자유 개념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제시한 철학적 입장이다. - 1947년 문서 - 뉘른베르크 강령
뉘른베르크 강령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뉘른베르크 재판 중 의사 재판에서 제시된 인간 대상 의학 연구 윤리에 관한 10가지 원칙으로, 나치 독일의 비윤리적 인체 실험 반성에서 비롯되어 피험자의 자발적 동의, 사회적 유익성, 과학적 근거, 고통 및 부상 최소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임상 연구 윤리 역사상 중요한 문서로 평가받고 각국 법률 및 윤리 규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47년 법 - 황실전범
황실전범은 일본 헌법에 따라 황위 계승을 남계 남성 후손으로 제한하고 황실 운영을 규정하는 법률로, 제정 당시 여성 천황 승계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는 황위 계승, 섭정, 황실 구성원 등을 규정하며 2017년 천황 퇴위 특례법이 제정되었다. - 1947년 법 - 일본국 헌법 제9조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전쟁과 무력 사용을 영구히 포기하고, 군사력 보유와 교전권을 부정하며, 정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 평화를 추구한다.
일본국 헌법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문서 이름 | 일본국 헌법 |
원어 이름 | |
약칭 | 쇼와 헌법, 현행 헌법 |
제정 주체 | 민정헌법/일본 국민 |
효력 | 현행법 |
성립 | 1946년 ( 쇼와 21년) 10월 29일 (추밀원 가결, 쇼와 천황 재가) |
공포 | 1946년 (쇼와 21년) 11월 3일 |
시행 | 1947년 (쇼와 22년) 5월 3일 |
주요 내용 | 천황 전쟁의 포기 국민의 권리 및 의무 국회 내각 사법 재정 지방 자치 개정 최고 법규 |
원수 | 규정 없음 (여러 설이 있음) |
기안자 | GHQ 일본 정부 등 |
이전 헌법 | 대일본제국 헌법 |
관련 법령 | 황실전범 국회법 내각법 재판소법 인신보호법 국제법 국적법 일본국 헌법의 개정 절차에 관한 법률 공직선거법 정당 조성법 종교법인법 등 |
조문 링크 | e-Gov 법령 검색 |
서명자 | 요시다 시게루 (내각총리대신 겸 외무대신) 시데하라 기주로 (국무대신, 남작) 기무라 아쓰타로 (사법대신) 오무라 세이이치 (내무대신) 다나카 고타로 (문부대신) 와다 히로오 (농림대신) 사이토 다카오 (국무대신) 히토마쓰 사다키치 (체신대신) 호시지마 지로 (상공대신) 가와이 요시나리 (후생대신) 우에하라 에쓰지로 (국무대신) 히라쓰카 쓰네지로 (운수대신) 이시바시 탄잔 (대장대신) 가나모리 도쿠지로 (국무대신) 젠 게이스케 (국무대신) |
헌법 이름 | 일본국 헌법 |
구성 조장 | 상유 전문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제11장 |
시행 기간 | 1947년 5월 3일 - |
제정 시 내각 | 제1차 요시다 내각 |
![]() | |
정치 체제 | |
정치 체제 | 단일 의원내각제 입헌군주제 |
정부 형태 | 의원내각제 |
정부 형태 | 입헌군주제 |
국가원수 | 없음 |
국가원수 설명 | 헌법에는 국가원수 직책이 정의되어 있지 않음. 일본 천황은 "국가의 상징이자 국민 통합의 상징"이지만, 국가원수의 여러 기능을 수행함. |
입법부 | 양원제 (국회: 중의원, 참의원) |
행정부 | 내각, 총리가 이끔. |
사법부 | 최고재판소 |
연방제 | 단일 국가 |
최초 입법부 날짜 | 1947년 4월 20일 (HC) 1947년 4월 25일 (HR) |
최초 행정부 날짜 | 1947년 5월 24일 |
최초 사법부 날짜 | 1947년 8월 4일 |
개정 횟수 | 0 |
문서 보관 장소 | 일본 국립공문서관 |
작성자 | 마일로 로웰 코트니 휘트니 미국 주도 연합군 GHQ 소속 미국 군법 변호사 이후 제국 의회 의원들이 검토 및 수정 |
서명자 | 쇼와 천황 |
대체 헌법 | 메이지 헌법 |
관련 정보 | |
위키소스 | 일본국 헌법 |
2. 일본국 헌법의 제정
포츠담 선언 수락 후, 일본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점령 하에 놓였다. GHQ는 일본 정부에 헌법 개정을 요구했고, 일본 정부는 헌법문제조사위원회를 구성해 개정 논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GHQ는 일본 정부의 개정안(마쓰모토 안)을 거부하고, GHQ 초안(맥아더 초안)을 제시하였다. 이 초안은 일본 정부에 의해 수정되었고, 1946년 일본 제국의회에서 약간의 수정을 거쳐 통과되었다.
헌법 제정 과정에서 GHQ의 역할, 일본의 주권 문제, 그리고 헌법 제9조를 둘러싼 논쟁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아시다가 헌법 제9조 2항에 "전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라는 문구를 추가하면서 자위대의 합헌성 논란이 불거졌다.[49][78][79][80]
2. 1. 제정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점령 하에 놓였다. 포츠담 선언에 따라 일본의 주권은 GHQ에 의해 박탈되었다.[4] 1946년 2월 13일, GHQ는 개헌 지침과 함께 새로운 국가 명칭인 "'''일본국'''"(日本国)을 발표했다.포츠담 선언은 일본의 민주적 경향 부활 및 강화, 기본적 인권 존중을 요구했다.[10] 연합군은 일본 정치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했는데, 이는 "세계 역사상 가장 철저하게 계획된 대규모의 외부 주도 정치 변화 작전"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일본 정부는 포츠담 선언의 조건을 수용했고, 헌법 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10] 더글러스 맥아더는 일본에 새로운 정치 체제를 강요하기보다 일본 지도자들이 스스로 민주 개혁을 시작하도록 장려하고자 했다. 그러나 1946년 초, 맥아더 참모와 일본 관리들은 헌법 제정을 두고 의견이 충돌했다. 히로히토 천황, 시데하라 기주로 수상 등은 메이지 헌법을 자유로운 문서로 대체하는 것을 꺼렸다.[11]
GHQ는 일본 제국 헌법 개정을 요구했고, 일본 정부는 마쓰모토 조지를 위원장으로 하는 헌법문제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개정안을 마련했다. 마쓰모토 위원회는 헌법 개정의 네 가지 원칙[14]을 제시했다.
헌법 개정의 네 가지 원칙 |
---|
마쓰모토 위원회는 이러한 원칙에 따라 헌법 개정 개요를 작성했다.
마쓰모토 위원회의 초안(마쓰모토 안)은 일본 제국 헌법과 큰 차이가 없어 GHQ에 의해 거부되었다. GHQ는 자체적인 초안(맥아더 초안)을 제시하였다.
2. 2. 제정 과정
1945년 9월 2일, 포츠담 선언 체결로 GHQ가 일본 제국을 점령하고 주권을 박탈했다. 더글러스 맥아더를 사령관으로 하는 GHQ는 일본 제국 헌법의 개정을 요구했고, 일본 정부는 마쓰모토 조지를 위원장으로 하는 헌법문제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헌법 개정을 논의했다. 마쓰모토 위원회 안은 제국헌법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GHQ에 의해 전면 거부되었고, GHQ는 1946년 2월 13일에 총사령부 초안, 이른바 '''맥아더 초안'''을 일본 정부에 제시하였다.[44][51][52]일본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일본안'''(3월 2일안)을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헌법개정초안요강'''(3월 6일안)을 국민에게 공표했다. 4월 10일에는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시행했고, 선거 후 4월 17일에 요강을 법제화한 '''헌법 개정 초안'''을 공표하였다. 4월 22일부터 추밀원의 헌법 개정안 심사가 시작되어 6월 8일에 통과되었고, 6월 20일에 정부는 일본 제국 헌법 제73조 개헌 절차에 따라 헌법 개정안을 중의원에 제출하였다. 중의원에서 약간의 수정을 거쳐 8월 24일에 통과된 개정안은, 귀족원에서도 약간의 수정을 거쳐 10월 6일에 통과되었고, 다음날인 10월 7일 중의원은 귀족원의 수정에 동의하여 일본 제국의회에서 수속을 완료했다. 개정안은 다시 추밀원 심의를 거쳐 히로히토 천황 재가를 얻었다. 11월 3일, 제국 헌법 개정안은 '''일본국 헌법'''으로 이름을 바꾸어 공포되었으며, 1947년 5월 3일에 시행되었다.

1946년 8월 하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헌법 개정 초안이 수정되었다. 당시 위원장이 아시다 히토시였기 때문에 이를 아시다 개정이라고 부른다. 특히 무장 세력 포기를 언급한 제9조가 논란이 되었다.
"전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라는 문구가 아시다 히토시에 의해 의회 심의 없이 2항에 추가되었다. 이 추가로 인해 전항의 목적 이외의 요인이 발생할 경우 병력 유지를 허용하는 것으로 헌법을 해석하게 되었다. 지금도 자위대와 같은 자위를 위한 병력이 헌법 위반인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제9조
> 1) 정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 평화를 진심으로 희망하는 일본 국민은 영원히 국가의 주권적 권리로서 전쟁과 국제 분쟁 해결 수단으로서의 무력의 위협 또는 사용을 포기한다.
>
> 2) '''전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지, 해상 및 공중의 무력과 기타 전쟁 잠재력은 영원히 유지하지 않는다. 국가의 교전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3. 기본 원리 및 이념
일본국 헌법은 민주주의, 국민주권, 기본적 인권 존중, 평화주의를 4대 기본 원리로 삼고 있다.[173]
일본 제국 헌법에서는 천황이 주권을 가졌지만, 일본국 헌법에서는 천황이 "국가 및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규정되어 국정에 관한 권한을 갖지 않는다.[10] 이는 국민주권 원리에 따른 것으로,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명확히 한 것이다.
3. 1. 민주주의
일본국 헌법의 기본 원리로는 일본 제국 헌법에서의 천황 주권론에서 이른바 상징 천황으로 일컬어지는 천황의 상징화와 함께 민주주의와 헌법 9조로 대표되는 평화주의가 대표적이다.[173] 일본국 헌법에서 민주주의는 국민주권, 권력 분립, 국민의 기본적 인권 존중 및 보장 등으로 나타난다.[173]

새로운 헌법은 일본 제국 헌법 제73조에 따라 메이지 헌법 개정 형태로 채택되었다. 1946년 6월 20일 황제의 칙령으로 제국 의회에 공식 제출되었으며, 보통선거와 여성 참정권이 보장된 의회에서 제국헌법 개정 법안으로 심의되었다.
법률 통과를 위해 의회 양원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했으며, 양원은 모두 수정안을 제출했다. 중의원은 맥아더의 간섭 없이 공무원 불법 행위에 대한 국가 상대 소송 권리(제17조), 부당 구금에 대한 국가 상대 소송 권리(제40조), 생명권 보장(제25조)을 추가하고,[27][28] 제9조를 수정했다. 귀족원은 10월 6일, 중의원은 다음 날 각각 문서를 승인했으며(반대 5명), 1946년 11월 3일 황실 재가를 거쳐 1947년 5월 3일 발효되었다.[30]

정부 기관 ''Kenpō Fukyū Kai''(헌법 보급 협회)는 국민들의 새 헌법 수용 증진을 위해 노력했다.[29]
제97조는 기본적 인권의 불가침성을, 제98조는 헌법에 위배되는 법률, 조례, 칙령 등의 무효화와 일본 체결 조약 및 국제법 준수를 규정한다. 제98조에 따라 국제법과 일본 비준 조약은 자동적으로 국내법 일부가 된다. 제99조는 천황과 공무원의 헌법 준수 의무를 명시한다.
제100조부터 제103조는 헌법 채택과 시행 사이 6개월의 과도기간을 설정했다. 1946년 1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까지 제1회 참의원 선거가 실시되었고(제100조), 선출 의원 절반은 3년 임기를 부여받았다(제102조). 총선거를 통해 전직 귀족원 의원 상당수가 중의원에 진출했으며(제101조), 제103조는 현직 공무원이 새 헌법 채택 또는 시행으로 직접 해임되지 않음을 규정했다.
3. 1. 1. 국민주권
일본국 헌법은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국민 주권을 명시하고 있다.[173] 일본 제국 헌법에서는 천황이 주권을 가졌지만, 일본국 헌법에서는 천황이 "국가 및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규정되어 국정에 관한 권한을 갖지 않는다.[10]국회는 국민이 선출한 대표들로 구성된 기관으로, 법을 만드는 입법권을 행사한다. 국회는 참의원과 중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2. 기본적 인권의 존중
일본국 헌법은 모든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고 있다. 헌법은 법 앞의 평등을 명시하고, "정치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관계" 또는 "인종, 신조, 성별, 사회적 지위 또는 가족 출신"을 이유로 한 일본 국민에 대한 차별을 금지한다(제14조).[39] 투표권은 "인종, 신조, 성별, 사회적 지위, 가족 출신, 교육, 재산 또는 소득"을 이유로 박탈될 수 없다(제44조). 성별 간의 평등은 결혼(제24조) 및 아동 교육(제26조)과 관련하여 명시적으로 보장된다.또한, 사상 및 양심의 자유(제19조), 표현의 자유(제19조), 집회의 자유, 결사의 자유, 언론의 자유, 통신의 비밀(제21조)이 보장되며, 검열은 금지된다.[39] 종교의 자유(제20조)도 보장되며, 국가는 종교에 특권이나 정치적 권한을 부여하거나 종교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금지된다.[39]
노동자의 권리와 관련하여, 제27조는 노동을 권리이자 의무로 선언하고, "임금, 근무 시간, 휴식 및 기타 근무 조건에 대한 기준은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며, 아동의 착취를 금지한다.[39] 노동자는 노동조합에 가입할 권리가 있다(제28조).[39] 재산권은 "공공복리"에 따라 보장되며, 국가는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는 경우 공공 목적으로 재산을 취득할 수 있다(제29조).[39] 국가는 또한 세금을 부과할 권리가 있다(제30조).[39]
생명, 자유 및 행복 추구권은 헌법 제13조에 명시된 포괄적인 기본권으로, 국민이 "개인으로서 존중받을 권리"를 가지며, "공공복리"에 따라 "생명, 자유 및 행복 추구권"을 가진다고 규정한다.[39] 이 조항은 헌법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은 헌법적 개인정보보호권, 자기결정권 및 개인 이미지 통제권을 확립하는 근거로 사용되어 왔다.[39]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권리들이 보장된다.
- 노예제 금지: 제18조에 보장되어 있다. 강제 노역은 범죄에 대한 처벌로만 허용된다.[39]
- 적법 절차 권리: 제31조는 법률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처벌받지 않는 한 아무도 처벌받을 수 없다고 규정한다. 범죄 적법 절차 권리를 인정하기 위해 원래 작성된 제32조("누구도 법원에 접근할 권리를 박탈당해서는 안 된다")는 현재 민사 및 행정 사건에 대한 적법 절차 권리의 근거로도 이해되고 있다.[40]
- 불법 구금으로부터의 보호: 제33조는 현행범으로 체포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체포 영장 없이 아무도 체포될 수 없다고 규정한다. 제34조는 인신 보호 영장,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그리고 기소 내용을 통지받을 권리를 보장한다. 제40조는 부당한 구금에 대해 국가를 상대로 소송할 권리를 명시한다.[39]
-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제37조는 변호인의 조력을 받고 증인을 강제로 출석시킬 수 있는 공정한 재판소에서 공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한다.[39]
- 자기 부인권으로부터의 보호: 제38조는 아무도 자신에게 불리한 증언을 강요받을 수 없으며, 강압에 의해 얻어진 자백은 인정되지 않고, 아무도 단지 자신의 자백만을 근거로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한다.[39]
- 기타 보장:
- 정부에 청원할 권리(제16조)[39]
- 국가를 고소할 권리(제17조)[39]
- 거주지를 변경하고, 직업을 선택하고, 해외로 이동하고, 국적을 포기할 권리(제22조)[39]
- 학문의 자유(제23조)[39]
- 강제 결혼 금지(제24조)[39]
- 의무 교육(제26조)[39]
- 주거 침입, 수색 및 압수로부터의 보호(제35조)[39]
- 고문 및 잔혹한 형벌 금지(제36조)[39]
- ''소급 입법'' 금지(제39조)[39]
- 일사부재리 금지(제39조)[39]
3. 1. 3. 권력 분립
일본국 헌법은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에 따라 권력 분립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173] 입법, 행정, 사법의 세 가지 권력은 각각 독립된 기관에 속하며, 이들 기관은 상호 견제와 균형을 통해 권력 남용을 방지한다.- 입법권: 국회는 일본의 유일한 입법 기관으로, 중의원과 참의원의 양원제로 구성된다. 양원 모두 국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며, 중의원은 내각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단독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법안, 예산, 조약에 대해 참의원보다 우선적인 권한을 갖는다.
- 행정권: 내각은 행정권을 담당하며, 총리를 수반으로 한다. 총리는 국회의원 중에서 국회의 지명을 받아 천황이 임명하며, 내각은 국회에 대해 연대 책임을 진다.
- 사법권: 최고재판소와 하급 법원들은 사법권을 행사한다. 최고재판소장은 내각의 지명으로 천황이 임명하고, 다른 재판관은 내각이 임명하며 천황이 재가한다. 법원은 사법심사를 통해 법률과 정부 행위의 위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삼권 분립 체제는 일본국 헌법이 보장하는 민주주의와 국민 주권의 핵심 요소이며, 각 기관은 서로 견제하고 균형을 이루며 권력의 남용을 방지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 2. 평화주의
일본국 헌법은 일본의 최고법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주로 미국의 민간 관리들이 작성하여 1946년 11월 3일에 공포되었고 1947년 5월 3일부터 시행되었다.[4] 이 헌법은 전문과 11개 장으로 나뉜 103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민 주권의 원칙, 평화주의와 전쟁 포기 등을 기반으로 한다.일본 특유의 평화주의를 대표하는 헌법 조항은 일본국 헌법 제2장 9조에 기술되어 있다.
# 일본국민은 정의와 질서를 기조로 하는 국제 평화를 성실히 희구하고, 국권의 발동에 의거한 전쟁 및 무력에 의한 위협 또는 무력의 행사는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는 영구히 이를 포기한다.
# 전항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육해공군 및 그 이외의 어떠한 전력도 보유하지 않는다. 국가의 교전권 역시 인정치 않는다.
일본국 헌법 제9조는 '평화 헌법'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일본 헌법의 가장 특징적인 조항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조항은 일본 자위대 설치와 관련하여 끊임없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3. 2. 1. 헌법 제9조 논쟁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일본 국민은 영원히 전쟁을 국민의 주권적 권리로서 포기하고, 국제분쟁 해결 수단으로서의 무력의 위협 또는 사용을 포기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10] 이를 위해 "육상, 해상 및 항공 자위대와 기타 전쟁 잠재력은 결코 유지되지 않을 것"이라고 명시한다.[10] 1954년 일본 자위대(JSDF) 설립 이후, 제9조의 필요성과 실질적인 범위에 대한 논의가 일본 내에서 지속되었다.[10] 일본 자위대는 1954년 7월 1일 이후 사실상 전후 일본의 군사력으로서 전쟁 전 군사력을 대체하고 있다.[10] 일부 하급 법원은 자위대가 위헌이라고 판결했지만, 최고재판소는 이 문제에 대해 판결한 적이 없다.[10]일본 주둔 미군과 미일 안보조약의 존재가 헌법 제9조에 위배된다는 문제 제기도 있었다.[32] 그러나 일본 최고재판소는 미군 주둔이 일본의 지휘하에 있는 군대가 아니므로 제9조를 위반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32] 또한, 미일 안보조약을 매우 민감한 정치적 문제로 판단하여 정치적 문제 이론에 따라 합법성에 대한 판결을 거부했다.[32]
여러 정치 단체들은 집단적 자위권 허용과 일본 군사력 강화를 위해 제9조 개정 또는 폐지를 요구해 왔다.[33] 2014년 7월 1일, 일본 내각은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허용하기 위해 제9조를 재해석하는 것을 승인했다.[34]
미국은 1948년 초부터 일본에 제9조 개정과 재무장을 압박해왔다.[35][36][37] 일본은 점차 군사력을 확장하면서 "헌법적 제약을 우회"해 왔다.[38]
아시다 히토시는 의회 심의 없이 제9조 2항에 "전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라는 문구를 추가했다.[49]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이 추가로 인해 전항의 목적 이외의 요인이 발생할 경우 병력 유지를 허용하는 것으로 헌법을 해석하게 되었다.[49] 오늘날에도 자위대와 같은 자위를 위한 병력이 헌법에 위반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49]
> 제9조
>
> 1) 정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 평화를 진심으로 희망하는 일본 국민은 영원히 국가의 주권적 권리로서 전쟁과 국제 분쟁 해결 수단으로서의 무력의 위협 또는 사용을 포기한다.
> 2) '''전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지, 해상 및 공중의 무력과 기타 전쟁 잠재력은 영원히 유지하지 않는다. 국가의 교전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4. 구성
일본국 헌법은 전문과 11개 장, 103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4] 국민 주권, 천황의 상징화, 평화주의와 전쟁 포기, 개인의 권리 존중을 기본 원리로 한다. 각 조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5. 헌법 개정 논의
일본국 헌법은 제정 이후 한 번도 개정되지 않았지만, 헌법 개정, 특히 제9조 개정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헌법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10]
여러 정치 단체들은 집단적 자위권을 허용하고 일본의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9조의 제한을 개정 또는 폐지할 것을 요구해 왔다.[33] 1948년 초부터 미국은 일본에 제9조를 개정하고 재무장할 것을 압력을 가해왔다.[35][36][37] 2014년 7월 1일, 일본 내각은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허용하기 위해 제9조를 재해석하는 것을 승인했다.[34] 일본은 점차 군사력을 확장하면서 "헌법적 제약을 우회"해 왔다.[38]
5. 1. 헌법 개정 절차
일본국 헌법 제96조는 헌법 개정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헌법 개정은 국회 양원 각각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발의되며, 국민투표에서 과반수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10] 헌법은 1947년 시행 이후 개정된 적이 없지만,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여러 개정 운동이 있었다.6. 관련 항목
- 일본국 헌법 제97조
- 일본국 헌법 제98조
- 일본국 헌법 제99조
- 일본국 헌법 제100조
- 일본국 헌법 제102조
- 일본국 헌법 제103조
- 1947년 일본 참의원 선거
- 1947년 일본 총선거
6. 1. 주요 인물
- '''더글러스 맥아더''': GHQ의 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서 일본 제국 헌법 개정을 요구했고, 1946년 2월 13일에 총사령부 초안(일명 '''맥아더 초안''')을 일본 정부에 제시하여 일본국 헌법 제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44][51][52]
- '''요시다 시게루''': 내각총리대신으로서 1946년 10월 7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일본국 헌법 제정에 대한 연설을 하였다.[49]
- '''아시다 히토시''': 중의원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헌법 제9조에 '전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라는 문구를 추가하는 수정안(아시다 수정)을 제시하였다.[49][78][79][80]
6. 2. 관련 사건
- '''스나가와 사건'''은 미군 기지 확장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미군 기지에 들어간 사건으로, 미일 안보 조약과 일본국 헌법 제9조의 관계가 쟁점이 되었다.[32] 일본 최고재판소는 미군 주둔이 일본의 지휘하에 있는 군대가 아니기 때문에 제9조를 위반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32] 재판소는 미일 안보 조약을 매우 민감한 정치적 문제로 판단하고, 정치적 문제 이론에 따라 합법성에 대한 판결을 거부했다.[32]
6. 3. 기타
- 일본국 헌법 제9조
- 일본의 정치
- 자위대
- 미일 안보조약
참조
[1]
뉴스
Japan's State Symbols: Now You See Them ...
https://www.nytimes.[...]
1995-11-12
[2]
웹사이트
http://www.jicl.jp/o[...]
2013-09-23
[3]
뉴스
The Anomalous Life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https://www.nippon.c[...]
2017-08-15
[4]
웹사이트
May 3, 1947, New Japanese Constitution goes into effect
https://www.history.[...]
History.com Editors
[5]
저널
The Divinity of the Japanese Emperor
[6]
웹사이트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1945-1952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7]
뉴스
The Anomalous Life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https://www.nippon.c[...]
2017-08-15
[8]
뉴스
Constitution again faces calls for revision to meet reality
http://www.japantime[...]
2012-05-01
[9]
웹사이트
The Meiji Constitution
https://www.britanni[...]
The Editors of Encyclopedia Britannica History
[10]
서적
Japanese Law
http://www.oxfordsch[...]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Embracing Defeat
[12]
서적
Nihonkokukenpo no Tanjo (日本国憲法の誕生)
Iwanami Bunko(岩波文庫)
[13]
서적
Nihonkokukenpo no Tanjo (日本国憲法の誕生)
Iwanami Bunko(岩波文庫)
[14]
서적
Kempo Kaisei Yon Gensoku
[15]
웹사이트
Documents with Commentaries Part 2 Creation of Various Proposals to Reform the Constitution/2-16 Constitution Investigation Association, "Outline of Constitution Draft," December 26, 1945
https://www.ndl.go.j[...]
2020-08-10
[16]
서적
Kempo Oshitsukeron no "Maboroshi"
Kodansha Gendai Shinsho
[17]
서적
The World Transformed:1945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18]
뉴스
Biden's remark on Japan Constitution raises eyebrows
https://apnews.com/a[...]
2019-08-10
[19]
서적
Embracing defeat: Japan in the wake of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New Press.
[20]
뉴스
Beate Gordon, a drafter of Japan's Constitution, dies at 89
http://mainichi.jp/e[...]
2013-01-01
[21]
서적
Nihonkoku Kempo Seitei no Katei: Rengokoku Soushireibu gawa no Kirokuni Yoru I
Yuikaku
[22]
서적
MacArthur's Japanese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23]
학술지
Democracy in the ambiguities of two languages and cultures: the birth of a Japanese constitution
https://www.degruyte[...]
1987-01-01
[24]
뉴스
Looking back in Yearning
https://archive.org/[...]
1958-03-08
[25]
서적
Embracing Defeat
[26]
서적
[27]
서적
Japanese Constitutional Law. 2nd ed. (憲法 第2版)
Yuhikaku Publishing(有斐閣)
[28]
웹사이트
衆憲資第90号「日本国憲法の制定過程」に関する資料
http://www.shugiin.g[...]
2020-08-23
[29]
웹사이트
Publication and Work of the Constitution Popularization Society
http://www.ndl.go.jp[...]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2013-05-24
[30]
웹사이트
Text of the Constitution and Other Important Documents
http://www.ndl.go.jp[...]
2015-06-08
[31]
웹사이트
日本国憲法
http://www.digital.a[...]
National Archives of Japan
2015-06-08
[32]
논문
Can the Japanese Supreme Court Overcome the Political Question Hurdle?
https://digitalcommo[...]
2017
[33]
뉴스
Japan's LDP Chief Calls for Revision of Article 9 Pacifist Rule
https://www.reuters.[...]
Reuters Staff
2016-07-10
[34]
웹사이트
A Primer on Japan's Constitutional Reinterpretation and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https://www.lawfarem[...]
2024-03-08
[35]
웹사이트
Article 9 and the U.S.-Japan Security Treaty Asia for Educators Columbia University
http://afe.easia.col[...]
2021-05-24
[36]
뉴스
Japan takes historic step from post-war pacifism, OKs fighting for allies
https://www.reuters.[...]
2014-07-01
[37]
웹사이트
Japan: Interpretations of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https://www.loc.gov/[...]
2021-05-24
[38]
웹사이트
Japan's quiet rearmament
https://www.prospect[...]
2021-05-24
[39]
논문
Essential Commodities and Racial Justice: Using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Japan's Indigenous Ainu People to Inform Understanding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2001
[40]
논문
Civil Justice and the Constitution: Limits on Instrumental Judicial Administration in Japan
2010-08-05
[41]
웹사이트
詳細タブ
https://laws.e-gov.g[...]
[42]
웹사이트
荻野 雄 (Takeshi Ogino) - マイポータル - researchmap
https://researchmap.[...]
2022-09-25
[43]
웹사이트
Constitution Rankings
https://comparativec[...]
2022-09-08
[44]
서적
日本国憲法無効論
草思社
2002-11-01
[45]
서적
マッカーサーと吉田茂を斬る
憲法史研究会
1972-01-01
[46]
서적
日本国憲法無効宣言―改憲・護憲派の諸君!この事実を直視せよ
ビジネス社
2007-04-19
[47]
웹사이트
第38回 占領と国内改革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3-10-09
[48]
서적
GHQ検閲官
葦書房
1995-08-01
[49]
웹사이트
第4章 帝国議会における審議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1-17
[50]
서적
正統憲法復元改正への道標
国書刊行会
2000-06-01
[51]
웹사이트
第3章 GHQ草案と日本政府の対応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1-17
[52]
웹사이트
押し付けられた日本国憲法 GHQの社会主義者が9日間で作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4-01-17
[53]
웹사이트
「日本国憲法の制定過程」に関する資料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01-17
[54]
서적
憲法無効論とは何か: 占領憲法からの脱却
展転社
2006-02-01
[55]
웹사이트
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と日本の領土
https://www.cas.go.j[...]
内閣官房
2024-03-15
[56]
웹사이트
日本国との平和条約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3-07
[57]
웹사이트
日本国憲法制定過程の問題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01-17
[58]
웹사이트
押し付けられた日本国憲法 GHQの社会主義者が9日間で作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4-01-17
[59]
뉴스
日本は主権国家か
2023-12-13
[60]
웹사이트
陸戦ノ法規慣例ニ関スル条約
https://www1.doshish[...]
2024-05-03
[61]
웹사이트
憲法改正に関する条項
http://repo.komazawa[...]
2024-01-17
[62]
웹사이트
2008 年 7 月 23 日のフランス共和国憲法改正
https://dl.ndl.go.jp[...]
2024-01-17
[63]
논문
日本国憲法の改正―憲法の変遷と憲法の柔軟性―
[64]
뉴스
占領管理基本法としての『日本国憲法』
2007-07
[65]
웹사이트
ドイツ連邦共和国憲法
https://theaterangel[...]
2024-02-02
[66]
웹사이트
ドイツ連邦共和国とドイツ民主共和国との間のドイツ統一の樹立に関する条約
https://www.toshindo[...]
2024-02-02
[67]
웹사이트
欧州各国憲法及び国民投票制度 調査議員団 報告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02-02
[68]
서적
日本国憲法失効論 新装版
国書刊行会
2002-10-01
[69]
서적
日本国憲法失効論 新装版
国書刊行会
2002-10-01
[70]
서적
憲法正統論
展転社
1996-10-01
[71]
서적
現憲法無効論
日本教文社
[72]
서적
自衛戦力と交戦権を肯定せよ
自由社
2017-10-09
[73]
서적
公職追放
東京大学出版会
[74]
서적
閉された言語空間 占領軍の検閲と戦後日本
文藝春秋〈文春文庫〉
1994-01-00
[75]
웹사이트
1 国民主権と天皇制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1-17
[76]
웹사이트
「衆議院小委員会修正3」 1946年7月27日~29日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3-17
[77]
웹사이트
特集1/「芦田小委」再現−−GHQ対策 繊細に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4-01-17
[78]
웹사이트
第4章 帝国議会における審議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1-17
[79]
웹사이트
2 戦争放棄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1-17
[80]
웹사이트
用語解説(50音順)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2-19
[81]
웹사이트
9月28日の貴族院帝国憲法改正案特別委員小委員会の審議
https://www.townnews[...]
2024-02-19
[82]
뉴스
「文民条項」審議に漂う無力感
1996-01-22
[83]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17
https://www.weblio.j[...]
ティービーエス・ブリタニカ
1991
[84]
웹사이트
憲法の平和主義及び憲法前文の趣旨等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答弁本文:参議院
https://www.sangiin.[...]
2022-09-17
[85]
서적
注釈日本国憲法上巻
青林書院
1984
[86]
서적
憲法(上)新版
有斐閣
1983
[87]
서적
日本憲法論(増補第2刷)
嵯峨野書院
1974
[88]
서적
憲法(1) 第4版
有斐閣
2006
[89]
회의록
衆議院予算委員会
1954-12-21
[90]
회의록
参議院予算委員会
1957-04-24
[91]
회의록
参議院予算委員会、吉國一郎内閣法制局長官答弁
1972-11-13
[92]
회의록
参議院予算委員会、大森政輔内閣法制局長官答弁
1999-09-13
[93]
회의록
参議院外交防衛委員会、秋山收内閣法制局第一部長答弁
1999-03-15
[94]
회의록
参議院予算委員会、大森内閣法制局長官答弁
1999-09-13
[95]
웹사이트
憲法と自衛権
https://www.mod.go.j[...]
防衛省・自衛隊
2021-01-31
[96]
뉴스
日本国憲法原本など公開=施行70年で特別展-東京:時事ドットコム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7-04-30
[97]
웹사이트
「新しい人権等」に関する資料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04-07
[98]
웹사이트
人身保護規則(原文は縦書き) 裁判所
https://www.courts.g[...]
2024-04-07
[99]
간행물
憲法の制定経過に関する小委員会報告書
https://www.digital.[...]
憲法調査会事務局
1961
[100]
웹사이트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101]
웹사이트
日本国憲法の誕生 資料と解説・第1章 戦争終結と憲法改正の始動 1-6 ポツダム宣言受諾に関する交渉記録
https://www.ndl.go.j[...]
[102]
웹사이트
内閣情報局世論調査課「憲法改正に関する世論調査報告」
https://www.ndl.go.j[...]
1945-12-19
[103]
간행물
松本烝治に聞く
憲法調査会事務局
1960
[104]
웹사이트
近衛国務相・マッカーサー元帥会談録 1945年10月4日
https://www.ndl.go.j[...]
1945-10-04
[105]
웹사이트
昭和20年10月11日付「幣原首相ニ対シ表明セル「マクアーサー」意見」
https://www.ndl.go.j[...]
1945-10-11
[106]
기타
マッカーサーから要求された「五大改革要求」
[107]
기타
1945-10-13
[108]
웹사이트
近衛文麿の憲法改正要綱
https://www.ndl.go.j[...]
[109]
웹사이트
佐々木惣一「帝国憲法改正ノ必要」
https://www.ndl.go.j[...]
1945-11-24
[110]
PDF
憲法制定の経過に関する小委員会報告書の概要
https://www.shugiin.[...]
衆議院憲法調査会
2000-04
[111]
웹사이트
松本国務相「憲法改正私案」
https://www.ndl.go.j[...]
[112]
웹사이트
松本国務相「憲法改正四原則」
https://www.ndl.go.j[...]
1945-12-08
[113]
웹사이트
松本委員会「憲法改正要綱」と「憲法改正案」
https://www.ndl.go.j[...]
[114]
웹사이트
憲法研究会「憲法草案要綱」
https://www.ndl.go.j[...]
1945-12-26
[115]
웹사이트
高野岩三郎の憲法改正案
https://www.ndl.go.j[...]
[116]
웹사이트
各政党の憲法改正諸案
https://www.ndl.go.j[...]
[117]
웹사이트
稲田正次と憲法懇談会の憲法改正案
https://www.ndl.go.j[...]
[118]
서적
憲法「押しつけ」論の幻
講談社
2020-05
[119]
웹사이트
1946年2月1日付「憲法改正権限に関するホイットニー・メモ」
https://www.ndl.go.j[...]
1946-02-01
[120]
웹사이트
毎日新聞記事「憲法問題調査委員会試案」
https://www.ndl.go.j[...]
1946-02-01
[121]
기타
[122]
웹사이트
1946年2月2日付「毎日新聞記事「憲法問題調査委員会試案」に関するホイットニー・メモ
https://www.ndl.go.j[...]
[123]
웹사이트
マッカーサー3原則(「マッカーサーノート」) 1946年2月3日
https://www.ndl.go.j[...]
[124]
서적
過程 I
[125]
웹사이트
Summary Report on Meeting of the Government Section, 4 February 1946, Alfred Hussey Papers; Constitution File No. 1, Doc. No. 4
https://www.ndl.go.j[...]
[126]
PDF
The Origins of Japan's Democratic Constitution
https://law.wisc.edu[...]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27]
서적
Winners in Peace: MacArthur, Yoshida, and Postwar Japan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128]
웹사이트
GHQ草案 1946年2月13日
https://www.ndl.go.j[...]
[129]
웹사이트
Record of Events on 13 February 1946 when Proposed New Constitution for Japan was Submitted to the Prime Minister, Mr. Yoshida, in Behalf of the Supreme Commander
https://www.ndl.go.j[...]
[130]
학술지
The American Role in Revising Japan's Imperial Constitution
https://www.jstor.or[...]
1989
[131]
논문
Japan’s Constitution and U.N. Obligations in the Persian Gulf War: A Case for Non-Military Participation in U.N. Enforcement Actions
https://scholarship.[...]
[132]
웹사이트
GHQ草案手交時の記録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133]
웹사이트
松本国務相「憲法改正案説明補充」 1946年2月18日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134]
웹사이트
3-18 松本国務相「憲法改正案説明補充」 1946年2月18日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2-26
[135]
웹사이트
3-19 松本・ホイットニー会談 1946年2月22日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2-26
[136]
웹사이트
3-20 日本国憲法「3月2日案」の起草と提出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2-26
[137]
웹사이트
日本国憲法「3月2日案」の起草と提出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138]
서적
戦後日本の高等教育改革政策: 「教養教育」の構築
https://books.google[...]
玉川大学出版部
[139]
웹사이트
GHQとの交渉と「3月5日案」の作成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140]
웹사이트
「憲法改正草案要綱」の発表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141]
웹사이트
미국 국무성 및 그 산하 기관인 총사령부 정치고문부는 "3월 6일 안"의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 국무성은 초안을 비판적으로 검토했고, 초안 작성에 참여한 알프레드 해시 중좌가 반론하고 있다("헌법 개정 초안 요강"에 대한 국무성의 반응).
[142]
웹사이트
3월 20일, 극동위원회는 맥아더에게 헌법 초안에 대한 극동위원회의 최종 심사권 유보와 국민에게 생각할 시간을 주기 위해 총선을 연기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3월 29일, 맥아더는 극동위원회의 총선 연기 요구를 거부하는 회신을 보냈다. 5월 13일, 극동위원회는 3가지로 구성된 "새 헌법 채택의 여러 원칙"을 결정했다. 그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심의를 위한 충분한 시간과 기회가 주어지는 것 (2) 대일본제국헌법과의 법적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 (3) 국민의 자유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새 헌법을 채택하는 것
[143]
웹사이트
구어체 헌법 초안 발표
https://www.ndl.go.j[...]
국립국회도서관
[144]
웹사이트
구어체 헌법 초안의 발표
https://www.ndl.go.j[...]
국립국회도서관
2024-02-26
[145]
웹사이트
헌법 제정 경과에 관한 소위원회 보고서 개요
https://www.shugiin.[...]
중의원
2024-02-26
[146]
웹사이트
제국헌법 개정안
https://www.ndl.go.j[...]
2022-10-03
[147]
웹사이트
대일본제국헌법
https://www.ndl.go.j[...]
국립국회도서관
2024-02-26
[148]
웹사이트
소위원회 쇼와 21년 7월 26일 (제2회)
https://www.shugiin.[...]
중의원 헌법심사회
2024-02-26
[149]
웹사이트
일본국헌법 제정 당시 회의록 (중의원)
https://www.shugiin.[...]
중의원 헌법심사회
2024-02-26
[150]
웹사이트
제90회 제국의회 중의원 본회의 제35호 쇼와 21년 8월 24일
https://teikokugikai[...]
국립국회도서관
2024-02-26
[151]
웹사이트
憲法の効力と解釈に関する一耕作―占領・独立・憲法事実―
https://www.jstage.j[...]
2024-02-26
[152]
웹사이트
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と日本の領土
https://www.cas.go.j[...]
内閣官房
2024-03-15
[153]
웹사이트
日本国との平和条約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3-07
[154]
서적
憲法 I
有斐閣
2006
[155]
서적
華族
中公新書
[156]
웹사이트
極東委員会と文民条項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3-01-30
[157]
웹사이트
概説[GHQ草案(マッカーサー草案)作成スタッフ一覧]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2022-09-18
[158]
웹사이트
近衛文麿の憲法改正要綱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2022-09-18
[159]
웹사이트
佐々木惣一「帝国憲法改正ノ必要」 1945年11月24日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2022-09-18
[160]
웹사이트
宮沢甲案・乙案 1946年1月4日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2022-09-18
[161]
웹사이트
松本国務相「憲法改正私案」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2022-09-18
[162]
웹사이트
憲法の有権解釈
https://www.sangiin.[...]
2022-09-17
[163]
웹사이트
GHQ草案 1946年2月13日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2022-09-20
[164]
웹사이트
日本國憲法(テキスト)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2022-08-16
[165]
웹사이트
ラウエル「日本の憲法についての準備的研究と提案のレポート」 1945年12月6日
https://www.ndl.go.j[...]
[166]
서적
憲法講義
有斐閣
2004
[167]
간행물
衆議院建設委員会、大村襄治内閣官房副長官答弁
1973-12-19
[168]
간행물
衆議院予算委員会、吉国一郎内閣法制局長官答弁
1973-12-06
[169]
서적
濫造・濫発の時代
日本郵趣出版
[170]
서적
日本記念絵葉書総図鑑
日本郵趣出版
[171]
웹사이트
日本国憲法 美術
https://www.tac-kenp[...]
2022-08-17
[172]
웹사이트
「憲法が根ざした戦後の表現を感じて」 アート作品と条文のコラボ本、国際デザイン賞グランプリに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1-04-30
[173]
text
[174]
서적
헌법(憲法)
사가노쇼인(嵯峨野書院)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