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웰 비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엘 비키는 미국의 개혁 신학자, 목사, 작가, 편집자, 그리고 청교도 개혁 신학대학원의 총장이다. 1952년 미시간 주 캘러머주에서 태어나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성장했으며, 웨스턴 미시간 대학교와 토마스 에디슨 주립 칼리지를 졸업하고 네덜란드 개혁 신학 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 아이오와 주 수시티의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목회를 시작했으며, 이후 뉴저지 주 프랭클린 레이크스, 미시간 주 그랜드래피즈 등지에서 사역했다. 120권 이상의 책을 저술하고 편집했으며, 다양한 신학 저널과 출판물에 기고했다. 그는 청교도 개혁 신학대학원에서 설교학, 조직 신학 등을 가르치며, 전 세계 50개국에서 강연, 설교, 강연을 했다. 비키는 팟캐스트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미시간 주 그랜드래피즈에서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교도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청교도 - 존 폭스
    존 폭스는 잉글랜드의 종교 개혁 시기 작가로, 《순교자 열전》을 저술하여 개신교 순교자들의 삶을 기록했으며, 잉글랜드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21세기 개신교 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 21세기 개신교 신학자 - 팀 켈러
    팀 켈러는 미국의 목사이자 신학자, 기독교 변증가로서,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도시 중심 사역에 헌신했으며 복음 연합 공동 설립자로서 복음 중심 신앙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이유》, 《탕자의 하나님》 등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영향을 미쳤다.
  • 칼뱅주의 신학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 칼뱅주의 신학 - 기독교 강요
    장 칼뱅이 기독교 신학의 주요 교리를 체계적으로 해설한 "기독교 강요"는 1536년 초판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1559년 최종판이 완성되었으며, 프로테스탄트 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기독교 신학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조웰 비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엘 R. 비키
원어명Joel R. Beeke
출생일1952년 12월 9일
출생지미국 미시간주 칼라마주
국적미국
배우자메리 캄프 (1989년 결혼)
자녀3명
직업목사, 신학자, 교수, 신학교 총장
종교개혁교회
학력
학사웨스턴 미시간 대학교
석사토마스 에디슨 주립대학교
신학 석사네덜란드 개혁신학교
박사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경력
목회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
현직퓨리탄 리폼드 신학교 총장
신학적 관점
전통개혁주의
주요 관심사청교도
칼뱅주의
종교개혁 및 종교개혁 이후 신학
나데레 포르마티에
체험적 경건
조직신학
역사신학
설교학
구원 확신 (신학)
기독교적 삶
주요 저서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퓨리탄 리폼드 신학교 교수진 소개 (조엘 비키)

2. 초기 생애와 회심

조엘 로버트 비키는 1952년 12월 9일, 미국 미시간 주 캘러머주에서 존 비키와 요한나 비키 사이에서 태어났다.[3] 비키의 아버지 존 비키는 네덜란드 크라벤다이크에서 태어나 일곱 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4] 존과 요한나 비키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으며, 자녀들을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키웠다.[5] 존 비키는 목수로 일했으며, 캘러머주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장로로 40년 동안 봉사했다.[6]

고등학교 3학년 때 비키는 농구 장학금을 받으려는 야망을 버리고, 기독교 목회 준비에 전념하기로 결심했다.[24] 잠시 미국 육군 예비군에서 복무한 후,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웨스턴 미시간 대학교에서 종교와 역사를 공부했고, 이후 토마스 에디슨 주립 칼리지로 편입하여 종교학을 전공하여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25]

1974년 비키는 네덜란드 출신 목사인 J. C. 웨스트스트레이트의 지도를 받아 네덜란드 개혁 신학 학교의 신학 학생으로 입학했다.[26] 21세의 비키는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목회 학생으로 받아들여지기에는 이례적으로 젊었는데, 당시 교단에서 가장 젊은 목사의 나이가 그의 두 배가 넘었다.[27] 1974년부터 1978년까지 비키는 온타리오주 세인트 캐서린스에서 웨스트스트레이트의 지도를 받으며 목회학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학위를 받았다.[25] 1학년을 마친 후 설교를 시작했으며, 1975년 8월부터 1976년 1월까지 4개월 이상 자동차로 여행하며 미국과 캐나다 서부 지역의 모든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설교를 했다. 학생 시절 동안 그는 약 200편의 설교를 했다.[29]

비키는 아홉 살 때 기도가 응답되는 하나님의 강력한 위로를 느끼면서 처음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감지했다.[7] 이후 존 번연의 ''배드맨 씨의 삶과 죽음''을 비롯한 청교도들의 저술을 읽으며 신학과 영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나, 이 관심은 점차 시들해졌다.[8][9]

1967년, 14세의 비키는 밀우드 중학교에서 무신론자 교사에게 하나님의 존재를 옹호했지만, 정작 자신은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가 없다는 사실에 고민하게 되었다.[10] 그해 여름, 미국 서부로 여행을 떠났고,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자동차 열쇠를 잃어버린 사건을 겪었다. 비키는 텐트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간구하며 기도했고, 기도를 마치자 무릎 아래에서 열쇠를 발견했다.[12] 그는 이 경험을 통해 “처음으로 하나님과의 접촉—진정한 접촉을 느꼈”으며, 자신이 “하나님 앞에서 진정으로 잃어버린 죄인”임을 깨달았다고 회고한다.[13]

집으로 돌아온 후, 비키는 거의 매일 성경과 신학 서적을 읽으며 하나님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14] 15세 때 유기되었다고 생각해 절망하기도 했지만, 1969년 5월 칼라마주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 새로 부임한 아리에 엘샤우트(1923–1991) 목사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15] 엘샤우트 목사는 비키의 외조부에게 “반 스트리엔 씨, 당신에게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구원의 길이 있습니다!”라고 말했고,[19] 비키는 이 말이 “번개처럼” 자신의 마음을 찔렀다고 회고한다.[20] 비키는 엘샤우트 목사의 설교를 통해 “처음으로 복음을 믿고 받아들일 수 있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순종을 통해 자신이 의롭게 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고 고백한다.[21]

회심 이후, 비키는 수줍음을 극복하고 이웃을 전도하기 시작했다.[22] 1969년 여름, 설교하라는 부르심을 느꼈지만, 처음에는 주저했다. 그러나 찰스 스펄전의 자서전을 읽고 용기를 얻어 설교 사역을 시작하려 했으나, 아버지와 엘샤우트 목사의 권유로 기다리며 신학 서적을 탐독했다.[23]

2. 1. 어린 시절

조엘 로버트 비키는 1952년 12월 9일, 미국 미시간 주 캘러머주에서 존 비키와 요한나 비키 사이에서 태어났다.[3] 비키의 아버지 존 비키는 네덜란드 크라벤다이크에서 태어나 일곱 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4] 존과 요한나 비키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으며, 자녀들을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키웠다.[5] 존 비키는 목수로 일했으며, 캘러머주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장로로 40년 동안 봉사했다.[6]

2. 2. 교육 과정

고등학교 3학년 때 비키는 농구 장학금을 받으려는 야망을 버리고, 기독교 목회 준비에 전념하기로 결심했다.[24] 잠시 미국 육군 예비군에서 복무한 후,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웨스턴 미시간 대학교에서 종교와 역사를 공부했고, 이후 토마스 에디슨 주립 칼리지로 편입하여 종교학을 전공하여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25]

1974년 비키는 네덜란드 출신 목사인 J. C. 웨스트스트레이트의 지도를 받아 네덜란드 개혁 신학 학교의 신학 학생으로 입학했다.[26] 21세의 비키는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목회 학생으로 받아들여지기에는 이례적으로 젊었는데, 당시 교단에서 가장 젊은 목사의 나이가 그의 두 배가 넘었다.[27] 1974년부터 1978년까지 비키는 온타리오주 세인트 캐서린스에서 웨스트스트레이트의 지도를 받으며 목회학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학위를 받았다.[25] 1학년을 마친 후 설교를 시작했으며, 1975년 8월부터 1976년 1월까지 4개월 이상 자동차로 여행하며 미국과 캐나다 서부 지역의 모든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설교를 했다. 학생 시절 동안 그는 약 200편의 설교를 했다.[29]

2. 3. 회심 경험

비키는 아홉 살 때 기도가 응답되는 하나님의 강력한 위로를 느끼면서 처음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감지했다.[7] 이후 존 번연의 ''배드맨 씨의 삶과 죽음''을 비롯한 청교도들의 저술을 읽으며 신학과 영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나, 이 관심은 점차 시들해졌다.[8][9]

1967년, 14세의 비키는 밀우드 중학교에서 무신론자 교사에게 하나님의 존재를 옹호했지만, 정작 자신은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가 없다는 사실에 고민하게 되었다.[10] 그해 여름, 미국 서부로 여행을 떠났고,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자동차 열쇠를 잃어버린 사건을 겪었다. 비키는 텐트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간구하며 기도했고, 기도를 마치자 무릎 아래에서 열쇠를 발견했다.[12] 그는 이 경험을 통해 “처음으로 하나님과의 접촉—진정한 접촉을 느꼈”으며, 자신이 “하나님 앞에서 진정으로 잃어버린 죄인”임을 깨달았다고 회고한다.[13]

집으로 돌아온 후, 비키는 거의 매일 성경과 신학 서적을 읽으며 하나님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14] 15세 때 유기되었다고 생각해 절망하기도 했지만, 1969년 5월 칼라마주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 새로 부임한 아리에 엘샤우트(1923–1991) 목사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15] 엘샤우트 목사는 비키의 외조부에게 “반 스트리엔 씨, 당신에게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구원의 길이 있습니다!”라고 말했고,[19] 비키는 이 말이 “번개처럼” 자신의 마음을 찔렀다고 회고한다.[20] 비키는 엘샤우트 목사의 설교를 통해 “처음으로 복음을 믿고 받아들일 수 있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순종을 통해 자신이 의롭게 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고 고백한다.[21]

회심 이후, 비키는 수줍음을 극복하고 이웃을 전도하기 시작했다.[22] 1969년 여름, 설교하라는 부르심을 느꼈지만, 처음에는 주저했다. 그러나 찰스 스펄전의 자서전을 읽고 용기를 얻어 설교 사역을 시작하려 했으나, 아버지와 엘샤우트 목사의 권유로 기다리며 신학 서적을 탐독했다.[23]

3. 목회 사역

3. 1.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의 사역

J. C. 웨스트스트레이트 밑에서 학업을 마친 후, 비키는 네덜란드 개혁 교회(Netherlands Reformed Congregations)의 목회에 들어섰다. 1977년 11월 목사직을 제안받을 자격을 얻었고,[30] 1978년 1월 아이오와주 수시티에 있는 네덜란드 개혁 교회 목사로 섬기라는 초빙을 받아들였다.[31] 그 교회는 약 700명의 교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32] 1978년 3월 29일, J. C. 웨스트스트레이트에 의해 임명되었으며,[33] 스가랴 4:6을 주제로 첫 설교를 했다.[33] 비키는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안수를 받은 최초의 네덜란드어 사용자가 아닌 목사였다.[34]

비키는 1981년까지 수시티에서 사역하면서 아이오와주 록 밸리에 네덜란드 개혁 기독교 학교를 설립하고 이사장을 역임했다.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아이오와주 록 밸리, 사우스다코타주 코르시카,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의 공석인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사회자를 역임했다.[32] 1980년부터 1992년까지 네덜란드 개혁 총회의 서기, 1980년부터 1993년까지는 네덜란드 개혁 도서 및 출판 위원회의 회장이었다.[25]

1981년 3월, 약 700명의 교인이 있는 뉴저지주 프랭클린 레이크스의 에벤에셀 네덜란드 개혁 교회 목사로 초빙을 받아들였다.[35] 누가복음 5:4를 읽은 후 프랭클린 레이크스로의 부르심을 확신하게 되었다.[36] 1981년 8월, "목회의 체험적 목표"라는 제목으로 마태복음 17:8을 주제로 취임 설교를 했다.[38] 에벤에셀 네덜란드 개혁 교회에서 목회하는 동안 클리프턴-프랭클린 레이크스의 네덜란드 개혁 학교의 이사회 의장이었다.[39]

1981년부터 1986년까지 뉴저지주 클리프턴, 온타리오주 세인트 캐서린스, 온타리오주 유니언빌의 공석인 네덜란드 개혁 교회 사회자를 역임했다.[32] 1984년부터 1993년까지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선교 저널인 ''폴''의 편집자, 1985년부터 1993년까지는 ''진리의 깃발''의 편집자였다.[40]

1982년, 웨스트민스터 신학 대학원의 철학 박사 프로그램에 등록하여 예정론 교리를 연구했지만, 교단의 필요를 숙고하여 확신의 교리로 연구 초점을 변경했다.[42] 1984년부터 1986년까지 필라델피아 도시 신학 연구 센터에서 조직 신학을, 1985년과 1986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신학 대학원에서 조직 신학을 강의했다.

1986년 6월 논문 외 모든 과정 완료 자격을 얻었다.[43] 1986년 10월,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있는 제일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목사로 초빙을 받아 1986년 12월에 임명되었으며, 고린도후서 4:5를 주제로 취임 설교를 했다.[44]

1986년부터 1992년까지 네덜란드 개혁 신학 학교에서 조직 신학, 기독교 윤리, 교회사, 기독교 전례, 선교학에 대한 신학적 지도를 제공했다.[45] 또한 인헤리턴스 출판사 사장이 되었다.[42] 1986년에서 1994년 사이에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코벨 애비뉴 네덜란드 개혁 교회), 미시간주 칼라마주, 일리노이주 사우스 홀랜드, 온타리오주 우드스톡, 온타리오주 세인트 캐서린스의 공석인 네덜란드 개혁 교회 사회자를 역임했다.[45] 1988년 5월, 종교개혁 및 종교개혁 이후 역사 신학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46] 그의 논문은 "믿음의 개인적인 확신: 웨스트민스터에서 알렉산더 컴리에 이르기까지의 영국 청교도주의와 네덜란드 '나데레 레포르마티'(1640-1760)"라는 제목이었다.

3. 2. 헤리티지 개혁 교회에서의 사역

1993년, 네덜란드 개혁교회 총회는 그랜드래피즈의 제1 네덜란드 개혁교회 당회(Session (Presbyterianism))를 파면했다. 이는 비키가 1988년에 첫 번째 아내와 이혼하고 1년 후 재혼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47] 네덜란드 자매 교회인 게레포르메르드 게멘텐은 총회에 서한을 보내 J.R. 비키 목사에 대한 신뢰를 묻는 투표를 제안하기도 했다.[48] 그러나 교회 신도 1,000명 중 780명이 목사, 장로, 집사의 파면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결국 당회는 헤리티지 네덜란드 개혁교회(2003년에 헤리티지 개혁교회로 개칭)라는 새로운 기독교 종파를 결성했다.[49] 비키는 계속해서 교회에서 목회를 이어갔으며, 곧 다른 8개의 교회가 합류하여 새로운 교단이 형성되었고, 교단 회원 수는 약 2,000명으로 늘어났다.[50]

분열 이후, 비키는 "주권적 은혜 진리의 깃발"이라는 새로운 교단 정기 간행물 창간을 도왔으며, 헤리티지 개혁교회에서 설교를 제공했다. 1994년부터 개혁 유산 도서의 편집 이사, 네덜란드 개혁 번역 협회의 부회장으로 활동했다.[51]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부교수,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캘리포니아에서 설교학 강사로 활동했다. 또한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아이오와주 헐에 있는 헤리티지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공석에 대한 사회자 역할을 했다. 1994년부터 2005년까지 ''크리스천 옵서버''의 편집자로 활동했다.[52]

1995년, 헤리티지 네덜란드 개혁교회 총회는 청교도 개혁 신학대학원을 교단의 목회자 양성 기관으로 위임했다. 비키는 초기 운영 기간 동안 신학교에서 가르치는 최초이자 유일한 교수였다. 1998년, 북미 자유 개혁 교회 총회는 청교도 개혁 신학대학원을 교단의 목회자 학생들을 위한 훈련 기관으로 선정했다.[53] 1995년부터 청교도 개혁 신학대학원에서 설교학, 조직 신학, 실천 신학을 가르치는 신학 강사로 활동해 왔다.

2023년, 비키는 신학교 총장에서 총장으로 전환했다. 총장으로서 비키는 전 세계의 컨퍼런스에서 글을 쓰고, 가르치고, 설교하고, 연설함으로써 신학교의 비전을 계속해서 홍보하고 있다.[54]

3. 3. 청교도 개혁 신학대학원 사역

4. 저술 및 출판 활동

비키는 120권이 넘는 책을 저술하고 공동 저술했으며, 120권의 책을 편집했고, 출판물, 저널 및 정기간행물에 2천 개가 넘는 논문을 기고했다. 2만 편의 설교, 강연, 연설을 했고, 4천 시간 이상 강의했으며, 전 세계 1천 번의 컨퍼런스에서 2천 번이 넘는 연설을 했다.[55]

비키의 책은 알바니아어, 아랍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현대 히브리어, 헝가리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한국어, 몰타어, 페르시아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펀자브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슬로바키아어, 스페인어, 우르두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56]

비키는 ''The'' ''Banner of Truth'', ''The Banner of Sovereign Grace Truth'', ''Christian Observer'', ''Outlook'', ''Reformation and Revival'', ''Tabletalk''과 같은 정기간행물에 정기적으로 기고했다. 그의 논문은 ''Calvin'' ''Theological Journal'', ''Master’s Seminary Journal'', ''Puritan Reformed Journal'', ''Southern Baptist Journal of Theology'', ''Unio Cum Christo'',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과 같은 신학 저널에 게재되었다. 비키는 또한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과 같은 출판물에서 종교 개혁 및 종교 개혁 이후의 역사 신학 연구에 기여했다.

비키는 아루바,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캄보디아, 캐나다, 콜롬비아, 도미니카 공화국, 이집트, 잉글랜드, 에티오피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요르단, 케냐, 라트비아, 멕시코, 모잠비크, 네덜란드, 뉴질랜드, 필리핀, 포르투갈, 러시아, 스코틀랜드, 싱가포르, 슬로바키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스페인, 스위스, 태국, 튀르키예, 아랍 에미리트, 웨일스, 잠비아를 포함하여 미국 전역과 전 세계 50개국에서 연설, 설교, 강연을 했다.[57]

4. 1. 주요 저서

조엘 비키는 120권이 넘는 책을 저술 및 공동 저술하고 편집했으며, 출판물, 저널, 정기간행물에 2천 개가 넘는 논문을 기고했다.[55] 그의 저서는 알바니아어, 아랍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56]

주요 저서로는 ''믿음의 확신: 칼빈, 영국의 청교도주의, 그리고 네덜란드 제2차 종교개혁''(1991), ''완전한 확신을 향한 탐구''(1999), ''청교도들을 만나다''(2006), ''청교도 개혁 영성''(2006),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기''(2008), ''청교도 신학: 삶을 위한 교리''(2012), ''개혁 조직 신학'' 시리즈(2019-2024), ''청교도 개혁 신학: 삶 전체를 위한 역사적, 경험적, 실제적 연구''(2020) 등이 있다.

비키는 ''The'' ''Banner of Truth'', ''The Banner of Sovereign Grace Truth'' 등 정기간행물에 정기적으로 기고했으며, ''Calvin'' ''Theological Journal'',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 등 신학 저널에도 논문을 게재했다. 또한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과 같은 출판물에서 종교 개혁 및 종교 개혁 이후의 역사 신학 연구에 기여했다.

4. 2. 학술 기고

조엘 비키는 120권이 넘는 책을 저술 및 공동 저술, 편집했으며, 출판물, 저널, 정기간행물에 2천 개가 넘는 논문을 기고했다.[55] 그의 저서는 알바니아어, 아랍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현대 히브리어, 헝가리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한국어, 몰타어, 페르시아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펀자브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슬로바키아어, 스페인어, 우르두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56]

''The'' ''Banner of Truth'', ''The Banner of Sovereign Grace Truth'', ''Christian Observer'', ''Outlook'', ''Reformation and Revival'', ''Tabletalk''과 같은 정기간행물에 정기적으로 기고했다.[57] 그의 논문은 ''Calvin'' ''Theological Journal'', ''Master’s Seminary Journal'', ''Puritan Reformed Journal'', ''Southern Baptist Journal of Theology'', ''Unio Cum Christo'',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과 같은 신학 저널에 게재되었다.[57]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과 같은 출판물에서 종교 개혁 및 종교 개혁 이후의 역사 신학 연구에 기여했다.[57]

4. 3. 번역 및 편집

조엘 비키는 120권이 넘는 책을 저술, 공동 저술, 편집했으며, 출판물, 저널 및 정기간행물에 2천 개가 넘는 논문을 기고했다.[55] 그의 저서들은 알바니아어, 아랍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현대 히브리어, 헝가리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한국어, 몰타어, 페르시아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펀자브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슬로바키아어, 스페인어, 우르두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56]

비키는 ''The'' ''Banner of Truth'', ''The Banner of Sovereign Grace Truth'', ''Christian Observer'', ''Outlook'', ''Reformation and Revival'', ''Tabletalk''과 같은 정기간행물에 정기적으로 기고했다. 그의 논문은 ''Calvin'' ''Theological Journal'', ''Master’s Seminary Journal'', ''Puritan Reformed Journal'', ''Southern Baptist Journal of Theology'', ''Unio Cum Christo'',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과 같은 신학 저널에 게재되었다. 또한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과 같은 출판물에서 종교 개혁 및 종교 개혁 이후의 역사 신학 연구에 기여했다.

5. 신학적 입장과 영향

5. 1. 신학적 입장

5. 2. 영향

6. 개인적인 삶

조엘 비키는 "닥터 조엘 비키와 함께하는 삶을 위한 교리"라는 팟캐스트와 "삶을 위한 교리: 체험적 삶을 위한 성경적 진리"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58]

비키는 1986년에 별거했고, 1988년에 첫 번째 아내와 이혼했다.[59] 1989년, 비키는 간호사이자 교사인 메리 캄프와 결혼했다.[32] 비키는 메리를 애정 어린 마음으로 "여왕"이라고 부른다.[42] 조엘과 메리 비키는 함께 ''우리는 어떻게 경건한 결혼을 세울 수 있는가?''를 공동 집필했다. 그들은 세 자녀를 두고 있다. 손주는 열 명이다. 비키는 메리와 함께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서 거주한다.

6. 1. 가족 관계

조엘 비키는 1986년에 별거했고, 1988년에 첫 번째 아내와 이혼했다.[59] 1989년, 간호사이자 교사인 메리 캄프와 재혼했다.[32] 비키는 메리를 "여왕"이라고 부른다.[42] 조엘과 메리 비키는 함께 ''우리는 어떻게 경건한 결혼을 세울 수 있는가?''를 공동 집필했다. 슬하에 세 자녀와 열 명의 손주를 두고있다.[58] 비키는 메리와 함께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서 거주한다.

6. 2. 팟캐스트 및 블로그

조엘 비키는 "닥터 조엘 비키와 함께하는 삶을 위한 교리"라는 팟캐스트와 "삶을 위한 교리: 체험적 삶을 위한 성경적 진리"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58]

6. 3. 기타

비키는 "닥터 조엘 비키와 함께하는 삶을 위한 교리"라는 팟캐스트와 "삶을 위한 교리: 체험적 삶을 위한 성경적 진리"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58]

비키는 1986년에 별거했고, 1988년에 첫 번째 아내와 이혼했다.[59] 1989년, 비키는 간호사이자 교사인 메리 캄프와 결혼했다.[32] 비키는 메리를 애정 어린 마음으로 "여왕"이라고 부른다.[42] 조엘과 메리 비키는 함께 ''우리는 어떻게 경건한 결혼을 세울 수 있는가?''를 공동 집필했다. 그들은 세 자녀를 두고 있다. 손주는 열 명이다. 비키는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서 메리와 함께 거주한다.

참조

[1] 간행물 Joel R. Beeke https://prts.edu/wp-[...] Puritan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2024-01-23
[2] 서적 Puritan Piety: Writings in Honor of Joel R. Beeke Christian Focus 2018
[3] 뉴스 Church News: John Beeke [Obituary] 1993-04
[4] 서적 Puritan Piety
[5]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https://www.sermonau[...] 2013-05-05
[6] 뉴스 Church News: John Beeke [Obituary] 1993-04
[7]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8]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9]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10]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11]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12]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13]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14]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15] 뉴스 Church News: Calls Extended 1969-05
[16] 뉴스 Inauguration of the Rev. A. Elshout to the Kalamazoo Congregation 1969-09
[17]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18]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19]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20]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21]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22]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23]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24]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25] 서적 Puritan Piety
[26] 뉴스 Church News: The Inaugural Sermon of Rev. Joel Beeke 1978-05
[27]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28] 뉴스 The Banner of Truth (US) 1974-10-01
[29] 웹사이트 Testimony of Dr. Joel Beeke
[30] 뉴스 Church News: Joel Beeke: Candidate for the Ministry 1977-11
[31] 뉴스 Church News: Calls Extended 1978-01
[32] 간행물 Joel R. Beeke
[33] 뉴스 Church News: Candidate Joel Beeke Passes Final Examination 1978-03
[34] 뉴스 Ordination of Candidate J. Beeke as Minister of the Netherlands Reformed Congregation at Sioux Center Iowa U.S.A.: March 29, 1978 1978-05
[35] 뉴스 Church News: Calls Accepted 1981-03
[36] 뉴스 Church News: Rev. Beeke Installed at Franklin Lakes Banner of Truth 1981-10
[37] 뉴스 Church News: Rev. J. R. Beeke Banner of Truth 1981-04
[38] 뉴스 Church News: Rev. Beeke Installed at Franklin Lakes Banner of Truth 1981-10
[39] 뉴스 School News: Clifton-Franklin Lakes Banner of Truth 1982-06
[40] 서적 Puritan Piety
[41] 뉴스 Church News: Teacher Needs Banner of Truth 1978-03
[42] 서적 Puritan Piety
[43] 뉴스 Church Announcements: PhD Candidate Banner of Truth 1986-06
[44] 뉴스 Church Announcements: Synopsis of Classis East Minutes Banner of Truth 1987-06
[45] 문서 Joel R. Beeke
[46] 뉴스 Church Announcements: Doctoral Degree Conferred Banner of Truth 1988-06
[47] 웹사이트 Decker, Troubles among the Netherland Reformed Congregations https://sb.rfpa.org/[...]
[48] 웹사이트 The Banner of Truth (US) 7/1/1993, p. 5 ff. https://www.digibron[...]
[49] 뉴스 Church News: Announcement Banner of Sovereign Grace Truth 2003-12
[50] 문서 Testimony of Dr. Joel Beeke
[51] 서적 Puritan Piety
[52] 문서 Joel R. Beeke
[53] 서적 Puritan Piety
[54] 뉴스 Puritan Reformed’s New Leadership: New Chancellor Puritan Reformed Update 2023-09
[55] 문서 Joel R. Beeke
[56] 문서 Joel R. Beeke
[57] 서적 Puritan Piety
[58] 웹사이트 https://joelbeeke.or[...]
[59] 웹사이트 Decker, Troubles among the Netherland Reformed Congregations, The Standard Bearer Vol. 69 No. 19 August 1993, p. 440 https://sb.rfpa.org/[...]
[60] 인용 Joel Beeke https://prts.edu/aca[...] 2016-02-24
[61] 인용 Speaker http://www.rpinterna[...] 2012-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