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헤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헤이는 931년 1월 22일부터 938년 6월 22일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931년 5월 16일에 개원하여, 938년 6월 22일에 덴교로 개원되었다. 이 시기에는 우다 천황의 사망, 역병 유행, 해적 출몰, 주요 관직자들의 사망, 히에이 산의 대본중앙당 화재, 다이라노 마사카도와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활동 등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안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헤이안 시대 - 헤이지의 난
헤이지의 난은 1160년 일본에서 발생한 내란으로, 후지와라 노 미치노리의 독단적인 정치와 미나모토 씨의 불만, 니조 친정파와 고시라카와 상황의 대립을 배경으로 후지와라 노 노부요리와 미나모토 노 요시토모의 반란으로 시작되었으나 다이라 노 키요모리의 반격으로 헤이케가 권력을 장악하며 겐페이 전쟁과 가마쿠라 시대의 도래에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조헤이 | |
---|---|
개요 | |
시대 | 일본 헤이안 시대 |
시기 | 931년 ~ 938년 |
천황 | 스자쿠 천황 |
이전 시대 | 엔초 |
다음 시대 | 텐교 |
2. 연혁
엔초 9년 4월 26일(율리우스력 931년 5월 16일)에 개원하여,[3] 조헤이 8년 5월 22일(율리우스력 938년 6월 22일) 덴교로 개원되었다. 조헤이 연간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조헤이 원년(931년)'''
- * 7월 19일: 우다 법황이 65세로 사망하였다.[4]
- * 12월: 떼강도가 횡행하여 야마시로 국에 요도, 야마자키 등 다섯 길을 경비하게 했다.
- '''조헤이 2년(932년)'''
- * 4월: 역병이 유행했다. 추보 해적사의 일을 정했다.
- * 8월 4일: 스자쿠 천황의 외척이었던 우대신 후지와라노 사다카타가 65세로 사망하여 종1위(従一位일본어)를 추증받았다.[5]
- '''조헤이 3년(933년)'''
- * 정월: 교토에 떼강도가 횡행했다.
- *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작은형인 후지와라노 나카히라가 후지와라노 사다카타의 후임으로 우대신에 취임하였다. 이때 동생 다다히라가 기쁨을 표현한 노래를 불렀다는 일화가 오카가미(大鏡)에 남아있다.[6]
- * 12월: 제국의 주요 고관 10명이 오와리국에서 함께 매사냥을 갔다. 그들은 각각 훌륭한 정식 사냥복을 입고 있었다.[5]
- '''조헤이 5년(935년)'''
- *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게닌(家人, 고관대작의 가신이나 종자)이자 간무 천황의 현손인 다이라노 마사카도(平将門일본어)가 죽은 아버지 다이라노 요시마사의 유산을 둘러싸고 친척들과 다투던 끝에 다이라노 구니카를 살해했다.
- * 히에이 산의 대본중앙당(根本中堂, 콩폰추도)이 불탔다.[7]
- '''조헤이 6년(936년)'''
- * 8월 19일: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올랐다. 태정대신직 및 태정관의 설치는 아버지 후지와라노 모토쓰네 대 이래 45년만의 일이었다.[5] 같은 시기에 후지와라노 나카히라가 사다이진(좌대신)으로, 후지와라노 쓰네스케가 우대신으로 임명되었다.[5]
- '''조헤이 7년(937년)'''
- * 8월 19일: 게비이시초에서 신문을 받던 다이라노 마사카도가 스자쿠 천황의 겐푸쿠(元服)에 의해 사면되어 죄를 벗어났다. 하지만 일족과의 다툼은 940년(덴교 3년)에 전사할때까지 계속되었다.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친척이기도 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도 해적이 되어 세토 내해 주변의 해역을 어지럽히기 시작했다. (조헤이·덴교의 난)
- * 12월: 전 요제이 천황이 70세 생일을 맞이하였다.[5]
2. 1. 개원
엔초 9년 4월 26일(율리우스력 931년 5월 16일)에 개원하여,[3] 조헤이 8년 5월 22일(율리우스력 938년 6월 22일) 덴교로 개원되었다.2. 2. 주요 사건
- '''조헤이 원년(931년)'''
- * 7월 19일: 우다 법황이 65세로 사망하였다.[4]
- * 12월: 떼강도가 횡행하여 야마시로 국에 요도, 야마자키 등 다섯 길을 경비하게 했다.
- '''조헤이 2년(932년)'''
- * 4월: 역병이 유행했다. 추보 해적사의 일을 정했다.
- * 8월 4일: 스자쿠 천황의 외척이었던 우대신 후지와라노 사다카타가 65세로 사망하여 종1위(従一位일본어)를 추증받았다.[5]
- '''조헤이 3년(933년)'''
- * 정월: 교토에 떼강도가 횡행했다.
- *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작은형인 후지와라노 나카히라가 후지와라노 사다카타의 후임으로 우대신에 취임하였다. 이때 동생 다다히라가 기쁨을 표현한 노래를 불렀다는 일화가 오카가미(大鏡)에 남아있다.[6]
- * 12월: 제국의 주요 고관 10명이 오와리국에서 함께 매사냥을 갔다. 그들은 각각 훌륭한 정식 사냥복을 입고 있었다.[5]
- '''조헤이 5년(935년)'''
- *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게닌(家人, 고관대작의 가신이나 종자)이자 간무 천황의 현손인 다이라노 마사카도(平将門일본어)가 죽은 아버지 다이라노 요시마사의 유산을 둘러싸고 친척들과 다투던 끝에 다이라노 구니카를 살해했다.
- * 히에이 산의 대본중앙당(根本中堂, 콩폰추도)이 불탔다.[7]
- '''조헤이 6년(936년)'''
- * 8월 19일: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올랐다. 태정대신직 및 태정관의 설치는 아버지 후지와라노 모토쓰네 대 이래 45년만의 일이었다.[5] 같은 시기에 후지와라노 나카히라가 사다이진(좌대신)으로, 후지와라노 쓰네스케가 우대신으로 임명되었다.[5]
- '''조헤이 7년(937년)'''
- * 8월 19일: 게비이시초에서 신문을 받던 다이라노 마사카도가 스자쿠 천황의 겐푸쿠(元服)에 의해 사면되어 죄를 벗어났다. 하지만 일족과의 다툼은 940년(덴교 3년)에 전사할때까지 계속되었다.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친척이기도 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도 해적이 되어 세토 내해 주변의 해역을 어지럽히기 시작했다. (조헤이·덴교의 난)
- * 12월: 전 요제이 천황이 70세 생일을 맞이하였다.[5]
3. 정치
조헤이 연간에는 지방 통치가 어려워져 떼강도가 횡행하고 역병이 유행했다. 조헤이 2년(932년)에는 해적을 추적하고 체포하는 일을 정했다.
조헤이 5년(935년) 다이라노 마사카도가 백부 다이라노 구니카를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조헤이 7년(937년) 마사카도는 검비위사청에서 신문을 받던 중 스자쿠 천황의 원복에 따른 대사로 죄를 사면받았지만, 일족과의 다툼은 덴교 3년까지 계속되었다. 후지와라노 스미토모도 해적이 되어 세토 내해 주변 해역을 휩쓸었다. 이 사건들은 조헤이·텐교의 난으로 이어진다.[7]
3. 1. 중앙 정치
- '''931년'''(조헤이 원년) 7월 19일: 우다 천황이 6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
- '''932년'''(조헤이 2년) 8월 4일: 우다이진(우대신) 후지와라노 사다카타가 6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5]
- '''933년'''(조헤이 3년):
- 세쇼(섭정)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동생인 다이나곤(대납언) 후지와라노 나카히라가 우다이진으로 임명되었다.[6]
- 12월: 제국의 주요 고관 10명이 오와리국에서 함께 매사냥을 갔다. 그들은 각각 훌륭한 정식 사냥복을 입고 있었다.[5]
- '''935년'''(조헤이 5년): 히에이 산의 대본중앙당(根本中堂, 곤폰추도)이 불탔다.[7]
- '''936년'''(조헤이 6년) 9월 7일: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다이죠다이진(태정대신)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시기에 후지와라노 나카히라가 사다이진(좌대신)으로, 후지와라노 쓰네스케가 우다이진으로 임명되었다.[5]
- '''937년'''(조헤이 7년) 12월: 전 요제이 천황이 70세 생일을 맞이하였다.[5]
3. 2. 지방 통치
조헤이 연간에는 지방 통치가 어려워져 떼강도가 횡행하고 역병이 유행했다. 조헤이 2년(932년)에는 추보 해적사의 일을 정했다.조헤이 5년(935년)에는 간무 천황의 현손인 타이라노 마사카도가 백부 타이라노 구니카를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마사카도는 조헤이 7년(937년) 검비위사청에서 신문을 받던 중 스자쿠 천황의 원복에 따른 대사로 죄를 사면받았지만, 일족과의 다툼은 덴교 3년까지 계속되었다. 후지와라노 스미토모도 해적이 되어 세토 내해 주변 해역을 휩쓸었다. 이 사건들은 조헤이·텐교의 난으로 이어진다.
4. 서력과의 대조
※는 작은 달을 나타낸다.
조헤이 원년(신묘)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윤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율리우스력 | 931/1/22 | 2/20 | 3/22 | 4/21 | 5/20 | 6/19 | 7/18 | 8/16 | 9/15 | 10/14 | 11/13 | 12/12 | 932/1/11 |
조헤이 2년(임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율리우스력 | 932/2/9 | 3/10 | 4/9 | 5/9 | 6/7 | 7/7 | 8/5 | 9/3 | 10/3 | 11/1 | 12/1 | 12/30 | |
조헤이 3년(계사)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율리우스력 | 933/1/29 | 2/27 | 3/29 | 4/28 | 5/27 | 6/26 | 7/25 | 8/24 | 9/22 | 10/22 | 11/20 | 12/20 | |
조헤이 4년(갑오) | 1월 | 윤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율리우스력 | 934/1/18 | 2/17 | 3/18 | 4/17 | 5/16 | 6/15 | 7/15 | 8/13 | 9/12 | 10/11 | 11/10 | 12/9 | 935/1/8 |
조헤이 5년(을미)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율리우스력 | 935/2/6 | 3/8 | 4/6 | 5/6 | 6/4 | 7/4 | 8/2 | 9/1 | 10/1 | 10/30 | 11/29 | 12/28 | |
조헤이 6년(병신)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윤11월※ | 12월※ |
율리우스력 | 936/1/27 | 2/25 | 3/26 | 4/24 | 5/23 | 6/22 | 7/21 | 8/20 | 9/19 | 10/18 | 11/17 | 12/17 | 937/1/15 |
조헤이 7년(정유)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율리우스력 | 937/2/13 | 3/15 | 4/14 | 5/13 | 6/11 | 7/11 | 8/9 | 9/8 | 10/7 | 11/6 | 12/6 | 938/1/4 | |
조헤이 8년(무술)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율리우스력 | 938/2/2 | 3/4 | 4/3 | 5/3 | 6/1 | 6/30 | 7/30 | 8/28 | 9/27 | 10/26 | 11/25 | 12/25 |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3]
서적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서적
https://books.google[...]
[6]
서적
https://books.google[...]
[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