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32년은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주요 사건으로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1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공작으로 즉위하고, 교황 요한 11세가 즉위했다. 알렉산드리아가 이집트에 정복되었으며, 부와이흐 왕조가 성립되었다. 또한, 아바스 왕조의 알 무크타디르 칼리프가 사망하고, 알베리크 2세가 로마의 통치자가 되었다. 주요 탄생 인물로는 리처드 1세, 알 무이즈 등이 있으며, 주요 사망 인물로는 최응, 전류, 알 무크타디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932년 | |
---|---|
연도 정보 | |
기원후 | 932년 |
간지 | 임신년(壬申年) |
세기 | 10세기 |
10년대 | 930년대 |
달력별 년도 | |
불기 | 1476년 |
단기 | 4265년 |
간지 | 임신(壬申) |
히브리력 | 4692~4693년 |
이슬람력 | 320~321년 |
2. 연호
- 간지 - 임진년
- 중국
- 후당 - 장흥 3년
- 요 - 천현 7년
- 동단국 - 감로 7년
- 양오 - 대화 4년
- 남한 - 대유 5년
- 오월 - 장흥 3년 (후당의 연호 사용)
- 민 - 장흥 3년 (후당의 연호 사용)
- 초 - 장흥 3년 (후당의 연호 사용)
- 형남 - 장흥 3년 (후당의 연호 사용)
- 남조 - 대명 2년
- 우전 - 동경 21년
- 한국
- 고려 - 천수 15년
- 후백제 - 정개 33년
- 신라 - 경순왕 6년 (연호 없음)
- 단기 - 3265년
- 일본
- 조헤이 承平일본어 2년
- 황기 - 1592년
3. 주요 사건
-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1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공작으로 즉위했다.
- 교황 요한 11세가 교황으로 즉위했다.
- 알렉산드리아가 이집트에 정복되었다.
- 정복자 바르샤가 사산 왕조의 마지막 지역을 점령했다.
3. 1. 중국
- '''오대'''
- * 후당: 장흥 3년
- '''십국'''
- * 오: 대화 4년
- * 오월: 장흥 3년 (후당의 연호 사용)
- * 민: 장흥 3년 (후당의 연호 사용)
- * 남한: 대유 5년
- * 초: 장흥 3년 (후당의 연호 사용)
- * 형남: 장흥 3년 (후당의 연호 사용)
- '''기타'''
- * 요: 천현 7년
- ** 동단국: 감로 7년
- * 남조: 대명 2년
- * 우전: 동경 21년
3. 2. 유럽
- 여름 – 알베리크 2세가 어머니 마로치아와 프로방스의 휴 왕의 결혼식에서 모욕을 당한 것을 계기로 로마에서 봉기를 일으켰다. 휴 왕은 알베리크 2세의 의붓아버지이자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었다. 알베리크는 라테라노 궁전을 점령했고, 휴 왕은 소수의 호위병과 함께 로마를 탈출했다. 알베리크는 어머니 마로치아를 체포하여 감옥에 가두고 로마의 통치자(princepsla)를 자처하며 도시를 장악했다.
- 여름 – 교황 요한 11세는 이복 형제인 알베리크 2세에게 로마의 실권을 넘겨줄 수밖에 없었다. 알베리크 2세는 '모든 로마인의 공작이자 원로원 의원'으로 선포되었고, 교황 요한 11세는 가톨릭 교회의 영적 지도자 역할에만 머물게 되었다.
- 베네치아에서는 도제 오르소 2세 파르테치파치오가 자발적으로 수도원으로 은퇴하면서 파르테치파치오 가문의 도제 지배가 끝났다. 그의 뒤를 이어 이전 도제 피에트로 1세의 아들인 피에트로 2세 칸디아노가 새로운 도제가 되었다.
- 피에트로 2세는 카포디스트리아와 황제의 허가 없이 무역 협정을 맺었다. 이에 반발한 빈트카르 후작은 베네치아에 대한 모든 부채 상환을 금지했다. 피에트로 2세는 이스트라 도시들에 대한 경제 봉쇄를 단행하며 대응했다.[1]
3. 3. 기타
- 마르다비지 이븐 지야르는 타바리스탄을 침공하여 고르간 도시를 점령했다. 다일람의 군사 지도자 마칸 이븐 카키는 자신의 영토를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만 왕조에 의탁하여 통치자 나스르 2세의 신하가 되었다. 나스르 2세는 그를 키르만 (현대 이란)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 10월 31일 - 아바스 왕조의 알 무크타디르 칼리프가 장군 무니스 알 무자파르의 군대와 싸우다 사망했다. 그의 동생 알 카히르가 후임 칼리프로 선출되었다.

'''연호'''
지역/국가 | 연호 | 비고 |
---|---|---|
간지 | 임진 | |
일본 | 쇼헤이 2년 | 황기 1592년 |
중국 - 후당 (오대) | 장흥 3년 | |
중국 - 오 (십국) | 대화 4년 | |
중국 - 오월 (십국) | 장흥 3년 | 후당 연호 사용 |
중국 - 민 (십국) | 장흥 3년 | 후당 연호 사용 |
중국 - 남한 (십국) | 대유 5년 | |
중국 - 초 (십국) | 장흥 3년 | 후당 연호 사용 |
중국 - 형남 (십국) | 장흥 3년 | 후당 연호 사용 |
중국 - 요 | 천현 7년 | |
중국 - 동단국 | 감로 7년 | |
중국 - 남조 | 대명 2년 | |
중국 - 우전 | 동경 21년 | |
한반도 - 신라 | 경순왕 6년 | |
한반도 - 후백제 | 정개 33년 | |
한반도 - 고려 | 천수 15년 | 단기 3265년 |
4. 탄생
5. 사망
- 5월 6일 - 전류, 오월의 건국자 (* 852년)
- 5월 18일 - 마소홍, 후당의 장군
- 6월 1일 - 티에트마르, 작센의 공작
- 6월 10일 - 동장, 중국의 장군
- 8월 15일 - 마희성, 초의 제2대 군주 (* 899년)
- 9월 11일 - 후지와라노 사다카타, 헤이안 시대의 공경, 가인 (* 873년)
- 10월 31일 - 알 무크타디르, 아바스 칼리프 (* 895년)

- 최응 - 고려의 문신
- 이삭 유다에우스 - 아랍계 유대인 의사 (추정)
- 오르소 2세 파르테치파치오 - 베네치아의 도제
- 레기나르 2세 - 프랑크 귀족 (* 890년)
- 롤로 - 노르망디 공작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