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다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다 천황은 887년부터 897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제59대 천황이다. 그는 고코 천황의 아들로, 즉위 전에는 미나모토노 사다미로 불렸다. 우다 천황은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의 지원을 받아 황태자가 되었으며, 즉위 후 간표의 치세를 펼쳤다. 그는 후지와라 북가 세력을 견제하고,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중용하는 등 개혁 정치를 시도했다. 897년 아들인 다이고 천황에게 양위한 후 태상천황이 되었으며, 931년에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다 천황 - 닌나지
닌나지는 헤이안 시대에 창건되어 천황의 아들이 주지를 맡았으며, 오닌의 난 이후 재건되었고, 5층탑과 곤도 등 다양한 문화재를 소장하며, 오무로 벚꽃으로 유명한 사찰이다. - 우다 천황 - 일본삼대실록
일본삼대실록은 세이와 천황, 요제이 천황, 고코 천황 3대에 걸친 30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로, 후지와라노 토키히라,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등이 우다 천황의 명으로 편찬하여 901년에 완성된 일본 육국사의 마지막 기록이며, 천황의 칙령과 조간 지진 등의 재해 기록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931년 사망 - 교황 스테파노 7세
교황 스테파노 7세는 10세기 초 마로치아의 영향력 아래 교황으로 선출되어 수도원에 특권을 부여하고 성직자를 징계했으나, 마로치아에 의해 폐위 및 처형되어 흑암 시대 교황으로 평가받는 로마 출신 가브리엘리 가문 출신이다. - 931년 사망 - 안중회
안중회는 후당에서 이사원의 신임을 얻어 권력을 장악했으나, 국정 농단과 오만하고 폭력적인 성격으로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여 해임 후 살해당하고 사후에도 죄를 뒤집어쓴 비참한 최후를 맞은 인물이다. - 867년 출생 - 견훤
견훤은 신라 장군 출신으로 후백제를 건국하고 왕건과 대립하다가 아들 신검의 반란으로 고려에 투항하여 상부의 칭호를 받았으며, 후백제 멸망 후 사망했다. - 867년 출생 - 당 소종
당 소종은 당나라의 제19대 황제로, 혼란한 시기에 즉위하여 절도사와 환관 세력 속에서 허수아비 황제의 삶을 살다가 주전충에게 암살당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우다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신상 정보 | |
이름 | 우다 천황 (宇多天皇) |
휘 | 사다미 (定省) |
어린 시절 이름 | 알려지지 않음 |
별칭 | 간표 법황 데이지인 스자쿠인 태상천황 만토쿠 법주천 일본 금강각대왕 일본 금강장왕 일본 승본 공리 |
출생 | 867년 6월 10일 |
사망 | 931년 9월 3일 |
사망 장소 | 니나지 |
묻힌 곳 | 오우치야마 능 (大内山陵)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고코 천황 |
어머니 | 반시 여왕 |
배우자 | 후지와라노 온시 후지와라노 다네코 다치바나노 요시코 다치바나노 후사코 스가와라노 엔시 |
후궁 | 미나모토노 사다코 도쿠히메 여왕 |
자녀 | 다이고 천황 아쓰미 친왕 사이세이 친왕 그 외 (후비・황자녀 절 참조) |
정치 정보 | |
재위 기간 | 887년 9월 17일 ~ 897년 8월 4일 |
즉위 | 887년 12월 5일 |
선대 천황 | 고코 천황 |
계승 천황 | 다이고 천황 |
섭정 | 후지와라노 모토쓰네 (880년–890년) |
관백 | 후지와라노 모토쓰네 |
태정대신 | 후지와라노 모토쓰네 (881년-891년) |
시대 정보 | |
시대 | 헤이안 시대 |
연호 | 닌나, 간표 |
수도 | 헤이안궁 |
사후 정보 | |
추존호 | 우다인 (宇多院), 우다 천황 (宇多天皇) |
장례일 | 931년 9월 19일 |
2. 약력
884년 고코 천황은 비용 절감을 위해 아들들의 비용과 영향력을 백성 수준으로 줄였다. 그 결과 26명의 황자와 황녀가 신적강하되어 겐지가 되었는데, 미나모토노 사다미도 그 중 한 명이었다. 887년 고코 천황이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고 중태에 빠지자, 간파쿠 후지와라노 모토쓰네가 천황의 뜻이 사다미에게 있다고 하여 조정을 통합했다. 이에 따라 사다미는 8월 25일에 황족으로 복귀하여 친왕선하를 받고, 다음 날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사다미는 모토쓰네의 이복 여동생 후지와라노 요시코의 조카로서 후궁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으나, 모토쓰네는 사다미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 같은 날 고코 천황이 붕어하자 사다미가 즉위하여, 11월 17일에 즉위식을 거행했다.
고코 천황의 사망으로 즉위한 우다 천황은 후지와라 가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황실 권력을 되찾고자 노력했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등 비후지와라계 관료를 중용하고, 율령 정신에 따른 궁정 정치 회복과 유교 문화 부흥을 꾀했다. 896년에는 죄수를 검토하고 부당하게 기소된 자들에게 사면을 시행했으며, 농민의 토지 권리 강화와 지방 세금 징수 감사에 대한 칙령을 발표했다. 또한 견당사를 중단했다.[14]
897년 다이고 천황에게 양위한 후에도 정치적 자유 확보와 황통의 정통성을 위해 노력했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후원하고 후지와라노 도키히라의 독주를 견제했으나, 901년 미치자네가 다자이후로 좌천되면서 좌절을 겪었다. 909년 도키히라 사후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실권을 잡으면서 조정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했다. 913년에는 테이시인 가합을 개최하여 국풍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930년 다이고 천황 사후 스자쿠 천황의 후견인이 되었고, 931년 65세로 붕어했다.
2. 1. 즉위 전
고코 천황은 즉위 후 비용을 줄이기 위해 백성들의 수준으로 그의 아들들의 비용과 영향력을 줄였다. 884년 6월에 26명의 황자와 황녀를 신적강하시켜 겐지로 삼았는데, 미나모토노 사다미도 그 중 한 명이었다. 이때 그의 나이는 32살이었다.[25] 또한 아버지에게 헌상받은 검은 고양이를 사육했다.[26]887년 고코 천황이 후계를 지명하지 않은 채 중태에 빠지자, 당시 조정의 실력자였던 간파쿠(關伯) 후지와라노 모토쓰네(藤原基經)는 천황의 뜻이 사다미에게 있다며 조정의 의론을 하나로 모았다. 이에 사다미는 8월 25일에 황족으로 복귀하여 친왕선하를 받고 다음 날인 26일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사다미는 모토쓰네의 이복여동생인 상시(尙侍) 후지와라노 요시코(藤原淑子)의 조카로서 후궁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다미의 후계 책봉을 열렬히 지원했던 요시코와는 달리 모토쓰네 자신은 딱히 사다미를 마음에 들어 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27] 같은 날 고코 천황이 붕어하였다.
황위에 오르기 전, 그의 개인적인 이름(''이름'')[4]은 定省일본어[5] 또는 ''초지인테이''였다.[6]
우다 천황은 고코 천황의 셋째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간무 천황의 손자인 나카노 친왕의 딸인 황태후 반자 여왕이었다.[7]
2. 2. 즉위 후 (간표의 치)
고코 천황은 국가 재정 지출을 줄이고 정치적 영향력을 축소하기 위해 아들들의 황족 지위를 강등시켰는데, 이에 따라 사다미는 미나모토 씨 성을 받고 미나모토노 사다미로 불렸다. 이후 887년, 고코 천황이 후계자를 지명해야 했을 때, 사다미는 간파쿠 후지와라노 모토츠네의 지지를 받아 다시 황태자 지위로 승진했다. 이는 사다미가 모토츠네의 이복 여동생에게 입양되었기 때문이다. 그해 11월 아버지의 죽음 이후, 사다미 신노는 즉위했다.- '''887년 9월 17일''' (''닌나 3년, 8월 26일''): 고코 천황이 사망했고, 그의 셋째 아들이 즉위(센소)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우다 천황은 정식으로 즉위했다(소쿠이).[10]
- '''887년 12월 5일''' (''닌나 3년, 11월 17일''): 모토츠네는 우다에게 그의 직무에서 은퇴할 수 있도록 허락을 요청했다. 그러나 천황은 "나의 젊음이 통치 능력을 제한합니다. 만약 당신이 저에게 좋은 조언을 제공하는 것을 멈춘다면, 저는 물러나 수도원에 은퇴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모토츠네는 새로운 천황의 간파쿠로 계속 봉사했다.[11]
thumb
- '''888년''' (''닌나 4년, 8월''): 새로 창건된 불교 사찰인 닌나지의 건설이 완료되었으며, 고보 대사의 전 제자가 새로운 주지로 임명되었다.[11]
- '''889년''' (''간표 1년, 10월''): 전 천황 요제이가 정신 이상 증세를 보였다. 요제이는 궁궐에 들어가 만나는 신하들에게 극도로 무례하게 대했다. 그는 악기 줄로 여자들을 목 졸라 죽이고 시신을 호수에 던졌으며,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사람 위로 달리도록 지시했다. 때로는 산으로 사라져 멧돼지와 붉은 사슴을 쫓아다녔다.[12]
우다 천황 치세 초기에 모토츠네는 간파쿠(또는 섭정) 직을 맡았다. 우다 천황의 치세는 891년 모토츠네의 죽음으로 시작되어, 후지와라 가문의 영향력 증가로부터 황실의 권력을 되찾기 위한 오랜 투쟁으로 특징지어진다. 기록에 따르면, 얼마 지나지 않아 우다 천황은 모토츠네의 지지자였던 학자 스케요와 키요유키를 각각 무쓰와 히고의 외딴 지역으로 파견했다.[13] 한편, 주로 미나모토 가문 출신의 비후지와라 관료들이 중요한 직책으로 승진했으며, 그의 신뢰를 받는 고문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5년 만에 재판에서 3위까지 급상승했고, 태자 가문의 감독을 맡았다.[13] 한편, 모토츠네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후지와라노 토키히라는 지위가 상승했지만, 공개적인 권력 투쟁을 막을 정도였다.
우다 천황은 율령 규약에서 구상된 원래의 정신으로 궁정 정치를 되돌리려 노력하는 동시에 유교 교리와 문화에 대한 지적 관심을 되살리려 했다. 896년 7월, 우다 천황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파견하여 수도의 죄수들을 검토하고 중국 관행에 따라 부당하게 기소된 자들에게 일반 사면을 제공했다. 우다 천황은 또한 수도의 유력 가문이나 수도원의 침해로부터 농민의 토지 권리를 강화하고 지방의 세금 징수를 감사하는 칙령을 발표했다.[13]
우다 천황은 견당사를 중단했다.[14]
가모 신사의 특별 축제가 우다 천황 치세 동안 처음으로 열렸다.[15]
우다는 경험이 부족하여 천황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4대에 걸쳐 집정의 임무를 수행해 온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의 협력이 불가피했다. 우다는 11월 17일자 모토쓰네에게 보낸 편지에서 "만약 모토쓰네가 집정을 사퇴한다면, 자신은 정치를 할 수 없으니 군주의 호칭을 버리고 산림으로 도망가 숨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다는 즉위식 직후인 11월 21일에 모토쓰네에게 계속해서 집정의 임무를 맡아달라는 조서를 발했다. 이 조서에는 '관백'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후일의 관직으로서의 관백의 어원이 되었다. 그러나 모토쓰네가 의례적으로 사퇴한 후에 작성된 조서에 있는 "마땅히 아항(阿衡)의 임무로 경의 임무를 삼으라"는 문구에 모토쓰네가 격노하여 정무를 거부하고 자택에 틀어박혀 버렸다. 이 조서는 우다가 "짐의 박사는 대학자이다"라고 신임했던 참의 사대변다치바나노 히로미가 기안한 것이었지만, 다른 조정 학자들 대부분은 히로미의 문구에 문제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듬해 닌나 4년 (888년) 6월, 우다는 "아항"의 조서를 취소했다. 그러나 이 일은 반대로 히로미가 칙서를 잘못 작성했다는 것을 우다가 인정한 것이 되어, 오히려 히로미는 궁지에 몰렸다. 모토쓰네 역시 "아항"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참내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우다는 모토쓰네가 고코 천황으로부터 우다의 앞날을 부탁받았고, 우다 역시 모토쓰네를 의지했는데 그것이 배신당했다며 "(모토쓰네가) 반드시 할 수 있는 한 섬기겠습니다"라고 말하지 않았느냐며 일기에 불만을 적었다.
우다는 모토쓰네의 딸 후지와라노 온시를 입내시키는 등 화해에 힘썼고, 10월이 되어서야 겨우 사태를 진정시켰다. 간페이 3년 (891년) 1월 모토쓰네가 사망하면서 우다는 친정을 시작할 수 있었다. 한편 우다가 칙원사로서 닌나지를 건립한 것은 이 아항 사건이 진행 중이던 닌나 4년의 일이다.
우다 천황은 모토쓰네의 적자 후지와라노 토키히라를 참의로 임명하는 한편, 미나모토노 요시유키 등 미나모토 씨나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후지와라노 야스노리와 같은 후지와라 북가 적류에서 벗어난 인물도 발탁했다.
2. 3. 퇴위 후
897년(간페이 9년) 7월 3일, 우다 천황은 황태자 아쓰히토 친왕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이 되었다. 갑작스러운 양위는 불도에 전념하기 위해서라는 견해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후지와라 씨로부터 정치적 자유를 확보하거나, 자신의 황통의 정통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2] 양위 즈음에 쓰여진 『간페이 어유계』에는 우대신 미나모토노 요시유키의 죽음에 대한 강한 충격이 언급되어 있어, 이를 양위와 연결짓는 시각도 있다.새로 즉위한 다이고 천황에게는 자신의 동모 여동생 타메코 내친왕을 정비로 세워, 후지와라 북가 적류가 외척이 되는 것을 막으려 했다. 또한 양위 직전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권대납언에 임명하고, 도키히라와 미치자네에게 내람을 명하여 조정 정치를 이끌도록 했다. 그러나 이 인사는 공가들의 불만을 사, 공경들이 직무를 거부하는 사건으로 발전했다. 미치자네는 우다 천황에게 부탁하여 공경들에게 출사를 명하게 함으로써 겨우 새 정치가 시작되었다.
우다는 양위 후에도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후원자가 되어 후지와라노 도키히라의 독주를 막으려 했지만, 쇼타이 2년(899년) 출가하여 법황이 된 후에는 고야산, 히에이산, 구마노 산잔 등에 참배하며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충분히 원조할 수 없게 되었다.
901년(쇼타이 4년) 정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다자이후로 좌천되었다. 이 소식을 접한 우다는 급히 내리로 향했지만, 궁문은 굳게 닫혀 있었다. 일본사학자 고치 쇼스케는 우다가 자신의 황통 안정을 위해 다이고 천황의 후계자 결정을 서두르고, 후지와라노 온시의 입내에 반대했기 때문에, 다이고가 도키히라와 모의하여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실각시켰다는 설을 제시하고 있다.
909년(엔기 9년)에 후지와라노 도키히라가 사망하고, 우다에 가까운 동생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실권을 잡으면서 우다는 조정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하게 된다. 915년(엔기 15년)에는 다다히라의 적자 후지와라노 사네요리가 원복을 할 때 다이고 천황에게 사네요리에 대한 서작을 지시했다.
913년(엔기 13년) 3월 13일에는 고인의 테이시인에서 대규모의 노래 시합인 테이시인 가합을 열었다. 이는 국풍문화의 성행 흐름을 뒷받침하는 계기가 되었다. 911년(엔기 11년) 6월 15일에는 테이시인에서 술고래를 골라 술을 하사하고 술량을 겨루게 하는 테이시인 술 시합을 열었다.[31]
다이고 천황의 건강이 악화되자, 우다가 정무를 대행하기도 했다. 930년(겐초 8년)에 다이고 천황이 붕어하자, 스자쿠 천황의 섭정이 된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요청을 받아 후견인이 되었다.
931년(조헤이 원년) 7월 19일에 붕어하였다. 향년 65세.
3. 가계도
관계 | 이름 |
---|---|
황후 | 후지와라노 모토쓰네(藤原 基経)의 딸 후지와라노 요시코(藤原温子, 872~907) |
제1황녀 | 히라코 내친왕(均子内親王, 890~910) |
황후 | 후지와라노 다카후지(藤原 高藤)의 딸 후지와라노 다네코(藤原胤子, ?~896) |
제1황자 | 아쓰히토 친왕(敦仁親王, 885~930) |
제4황자 | 아쓰요시 친왕(敦慶親王, 888~930) |
제5황자 | 아쓰카타 친왕(敦固親王, ?~927) |
제2황녀 | 야스코 내친왕(柔子内親王, ?~959) |
제7황자 | 아쓰자네 친왕(敦実親王, 893~967) |
뇨고(女御) | 다치바나노 히로미(橘広相)의 딸 다치바나노 노리코(橘 義子) |
제2황자 | 도키나카 친왕(斉中親王, 885~891) |
제3황자 | 도키요 친왕(斉世親王, 886~927) |
제6황자 | 도키쿠니 친왕(斉邦親王) |
제4황녀 | 기미코 내친왕(君子内親王, ?~902) |
뇨고(女御) | 다치바나노 후사코(橘房子, ?~893) |
뇨고(女御)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菅原道真)의 딸 스가와라노 히로코(菅原衍子) |
황녀 | 미나모토노 가타무코(源傾子) |
코이(更衣) | 미나모토노 노보루(源昇)의 딸 미나모토노 사다코(源貞子) |
제7황녀 | 요리코 내친왕(依子 内親王, 895~936) |
코이(更衣) | 후지와라노 아리자네(藤原有実)의 딸 후지와라노 야스코(藤原 保子) |
황녀 | 노리코 내친왕(誨子 内親王, ?~953) |
황녀 | 스에코 내친왕(季子 内親王, ?~979) |
코이(更衣) | 도요왕(十世王)의 딸 노리히메 여왕(徳姫 女王) |
황녀 | 사네코 내친왕(孚子内親王, ?~958) |
코이(更衣) | 미나모토노 히사코(源久子) |
코이(更衣) | 후지와라노 시즈코(藤原静子) |
상시(尚侍) | 후지와라노 도키히라(藤原時平)의 딸 후지와라노 요시코(藤原褒子) |
제9황자 | 마사아키라 친왕(雅明親王, 920~929) |
제10황자 | 노리아키라 친왕(載明親王) |
제11황자 | 유키아키라 친왕(行明親王, 926~948) |
궁인(宮人) | 후지와라노 쓰구카게(藤原継蔭)의 딸, 여성가인 후지와라 씨(藤原氏, 872?~938?) |
생모미상 | |
제8황자 | 유키나카 친왕(行中親王, 897~909) |
제5황녀 | 시게코 내친왕(成子内親王, ?~979) |
황녀 | 미나모토노 노부코(源順子, 875~925) |
황녀 | 미나모토노 오미코(源臣子) |
4. 평가 및 영향
우다 천황은 후지와라 북가 출신이 아닌 인물들을 등용하고, 견당사를 중지하는 등 여러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후지와라 씨와의 권력 다툼 속에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잃는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29]
후지와라노 도키히라가 사망한 후, 우다 천황은 동생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협력을 통해 조정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했다. 테이시인 가합을 개최하여 국풍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술 시합을 여는 등 문화적 활동을 장려했다.[31]
다이고 천황 사후에는 스자쿠 천황의 후견인으로서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30]
요제이 천황과의 관계는 미묘했는데, 우다 천황은 즉위 전 요제이 천황을 섬겼으나, 이후 요제이 천황의 복위 시도에 대한 소문으로 어려움을 겪었다.[32]
우다 천황은 닌나지를 중심으로 불교 활동에 힘썼으며, 진언종 발전에 기여했다. 사후에는 '''만덕법주천'''이라는 신으로 추앙받기도 했다.
5. 연호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Household Agency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3]
서적
Gukanshō
[4]
서적
Jinnō Shōtōki
[5]
Google books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6]
서적
Gukanshō
[7]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8]
서적
Gukanshō
[9]
서적
Jinnō Shōtōki
[10]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1]
서적
Jinnō Shōtōki
[12]
서적
Gukanshō
[13]
서적
The Tale of the Heike
[14]
서적
Gukanshō
[15]
서적
Jinnō Shōtōki
[16]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7]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
서적
Sugawara no Michizane and the Early Heian Court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
서적
The Tale of the Heike
[20]
서적
Gukanshō
[21]
문서
Compare Precepts of Tokugawa Ieyasu
[22]
서적
Gukanshō
[23]
서적
Jinnō Shōtōki
[24]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25]
서적
Kyoto: A Contemplative Guide
[26]
웹사이트
Kugyō of Uda''-tennō.'
http://www.furugosho[...]
[27]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28]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8-02-03
[29]
간행물
特別展「室町時代の肖像画」
奈良県立美術館
2000-09
[30]
문서
『大鏡』 第一巻 五十九代 宇多天皇 十三段
[31]
서적
光源氏が愛した王朝ブランド品
角川書店
[32]
서적
尚侍藤原淑子
[33]
논문
古代日本における公卿上表と皇位
思文閣出版
[34]
서적
宇多法皇考
岩田書院
[35]
문서
『北山抄』巻三・拾遺雑抄上、内宴事
[36]
문서
亭子院賜飲記
[37]
문서
『大鏡』 第一巻 五十九代 宇多天皇 十四段
[38]
서적
平安時代の后と王権
吉川弘文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