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내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족내혼은 특정 집단 내에서 이루어지는 결혼 형태로, 종교적, 문화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유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사회적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 족내혼은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에서 관찰되며, 역사적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도 나타났다. 족내혼은 계보 붕괴 및 근친 교배와 같은 유전학적 영향을 미치며, 건강 문제와 연관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스트 - 후커우 제도
후커우 제도는 중국의 가구 등록 제도로, 사회 질서 유지, 인구 이동 통제, 자원 배분 관리를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호구에 따른 사회적 혜택 차등으로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사회 통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개혁에도 불구하고 취약 계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혼인의 종류 - 단혼
단혼 또는 일부일처제는 한 번에 한 사람하고만 결혼하거나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중혼 또는 다처제와 대조되며, 사회적, 성적, 유전적 형태로 세분화될 수 있고, 현대 사회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시행되며, 여성 권리 운동의 옹호를 받는다. - 혼인의 종류 - 사실혼
사실혼은 혼인신고 없이 부부로서 생활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재산분할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지만, 법률혼과 비교하여 자녀의 친권, 상속, 세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 친족 - 혈통
혈통은 중세 영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단일 계통 상속을 특징으로 하는 친족 집단을 의미하며, 모계, 부계, 또는 양쪽 계통을 통해 조상을 추적한다. - 친족 - 근친교배
근친교배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 간의 교배를 의미하며, 유전 질환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등 생물학적 영향과 품종 개량 및 연구에 활용된다.
족내혼 | |
---|---|
정의 | |
족내혼 | 특정 사회 집단 내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는 결혼 형태 |
기타 명칭 | 동족 결혼 동류혼 |
유형 | |
민족적 족내혼 | 같은 민족 구성원끼리 결혼하는 형태 |
계층적 족내혼 | 같은 사회 계층 구성원끼리 결혼하는 형태 |
종교적 족내혼 | 같은 종교 신자끼리 결혼하는 형태 |
지리적 족내혼 | 특정 지역 거주민끼리 결혼하는 형태 |
사회적 영향 | |
집단 결속력 강화 | 족내혼은 집단 내 동질성을 유지하고 결속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함 |
유전적 다양성 감소 | 제한된 유전자 풀로 인해 유전 질환 발생 가능성 증가 |
사회 계층 고착화 | 계층 간 이동성을 저해하고 사회 불평등 심화 |
역사적 사례 | |
유대인 | 유대교 전통에 따라 유대인끼리 결혼하는 경향이 강함 |
인도 카스트 제도 | 카스트 내에서 결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음 |
한국의 동성동본 금혼 | 과거 같은 본관의 성씨끼리 결혼을 금지했음 |
현대 사회의 족내혼 | |
다문화 사회 | 이민자 사회에서 민족적 족내혼 경향이 나타남 |
소셜 미디어 |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동질 집단 간 결혼 증가 |
경제적 요인 | 비슷한 경제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끼리 결혼하는 경향 |
족외혼과의 비교 | |
족외혼 | 집단 외부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는 결혼 형태 |
장점 | 유전적 다양성 증가 사회 통합 촉진 |
단점 | 집단 정체성 약화 문화적 갈등 발생 가능성 |
2. 정의 및 특징
족내혼은 많은 문화와 인종 그룹에서 일반적이다. 몇몇 종교 및 민족 종교 단체는 전통적으로 좀 더 족내혼을 이루고 있지만, 때때로 그룹 외부와의 혼인이 발생하면 종교적 개종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는 개종자가 파트너의 종교를 받아들임으로써 족내혼 그룹 내에서 받아들여지는 외혼(exogamous marriage)을 허용한다. 혈연관계와는 달리 족내혼은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동체 내에서 소위 창시자 효과(founder effect)라는 유전 질환의 전염을 초래할 수 있다.[20]
일본인이나 유대인 등에서 족내혼이 자주 보이지만, 이들 민족 사이에서도 극도의 근친혼은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인 서양인에 비해 일본인과 유대인은 사촌 결혼에 대해 문화적으로 관대한 경향이 있다.
족내혼은 분파주의를 조장할 수 있으며, 자기 격리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공동체가 주변 인구와의 통합이나 완전한 합병을 거부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소수 민족은 다른 관습과 신념을 가진 사회 내에서 뚜렷한 공동체로 오랫동안 민족적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 족내혼을 사용할 수 있다.
족내혼의 고립주의적 관행은 집단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인구의 증가하는 비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전 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질병의 영향은 근친 교배의 정도가 높거나, 족내혼 인구의 규모가 매우 작아지지 않는 한 작을 것이다.[20]
중국에서는 위대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신분이 중시되면서, 그 결과 같은 신분의 사람들끼리의 족내혼이 추진되기도 했다.[20]
중화인민공화국의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몽골족이 한족과 통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족내혼을 채택하는 몽골족 커뮤니티 내부에서 자민족에 대한 민족 의식이 더욱 강해진다는 보고가 있다.[21] 이러한 이유로 결혼하는 사람들의 민족 의식과 족내혼 사이의 관련성이 인정되지 않아 통혼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민족 정체성에서 혼혈 정도의 문제로 갈등을 겪는 것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21]
일본인이나 유대인 등에서 자주 보이지만, 이들 민족 사이에서도 극도의 근친혼은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인 서양인에 비해 일본인과 유대인은 사촌 결혼에 대해 문화적으로 관대한 경향이 있다.
일본의 경우, 그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국과 같은 경제적 발전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씨족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천황 아래 통제된 사성 제도를 채택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씨족의 분산이 장려되었고, 더 소규모의 가(家) 제도가 확립되었다.[22] 그 때문에, 중국과 같은 동성불혼제가 성립되지 않았고, 옛날부터 행해져 온 혈족 결혼에 대한 씨족 개념에서의 억제가 작용하지 않아 족내혼이 행해져 온 것이 아니냐고 지적되고 있다.[22]
3. 역사
3. 1. 중국
중국에서는 위대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신분이 중시되면서, 같은 신분의 사람들끼리 족내혼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20]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몽골족이 한족과 통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족내혼을 하는 몽골족 집단 내부에서 자기 민족에 대한 민족 의식이 더욱 강해진다는 보고가 있다.[21] 통혼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민족 정체성에서 혼혈 정도의 문제로 갈등을 겪는 것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21]
3. 2. 일본
일본인이나 유대인 등에서 족내혼이 자주 보이지만, 이들 민족 사이에서도 극도의 근친혼은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인 서양인에 비해 일본인과 유대인은 사촌 결혼에 대해 문화적으로 관대한 경향이 있다.
일본의 경우,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국과 같은 경제적 발전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씨족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천황 아래 통제된 사성 제도를 채택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씨족의 분산이 장려되었다. 또한, 더 소규모의 가(家) 제도가 확립되었다[22]。 그 때문에, 중국과 같은 동성불혼제가 성립되지 않았고, 옛날부터 행해져 온 혈족 결혼에 대한 씨족 개념에서의 억제가 작용하지 않아 족내혼이 행해진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22]。
4. 족내혼 집단
족내혼은 여러 문화 및 민족 집단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몇몇 종교 및 민족 종교 단체들은 전통적으로 족내혼을 이루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다른 그룹과의 혼인을 위해 종교적 개종을 요구하기도 한다. 족내혼은 혈연 관계와는 다르지만, 폐쇄된 공동체 내에서 창시자 효과와 같은 유전 질환의 전염을 초래할 수 있다.[4]
족내혼을 관행으로 삼는 대표적인 민족 및 종교 집단은 다음과 같다.
민족/종교 집단 | 설명 |
---|---|
아리족[4] | |
알라위파[5] | |
북미의 아미시[6] | |
다양한 아랍 부족[7] | |
아시리아인 | 윗메소포타미아의 토착 기독교인[8] |
아르메니아인 | 강력한 기독교 국가이면서 이슬람교를 믿는 이웃 국가에 거의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 족내혼의 역사를 가짐[9] |
베케 | |
콥트 기독교인[10] | |
다일람인 | 고대 및 중세 페르시아의 카스피해 남쪽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 |
드루즈[11] | |
유럽 왕족 | |
히타노 | 일반적으로 그들의 라자 또는 부계 집단 내에서 족내혼[12] |
키프로스 그리스인 | 일반적으로 키프로스 섬에서 다수 민족 집단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족내혼 |
이란 투르크멘족 | |
렙차족 | 인도, 네팔, 부탄의 민족 집단 |
유대교 | 전통적으로 종교적 족내혼을 의무화하여 결혼 파트너가 모두 유대인이어야 하며, 개종자와의 결혼을 허용. 정통 유대교는 유대교의 족내혼에 대한 전통적인 요구 사항을 유지[13][14] |
크나나야 | 인도 성 토마스 기독교인 공동체 내 족내혼 집단. 4세기에 인도에 도착했다고 주장하며, 족내혼 관행으로 역사적으로 유명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회원 | 몰몬교와 관련된 다른 종교 및/또는 문화 집단 |
사이드 | |
인도 케랄라의 시리아 기독교인 | 결혼 개종은 허용 |
파르시[15] | |
라지푸트[16] | |
스페인의 바케이로스 데 알자다[17] | |
야지디[18][19] | |
만다인 | |
힌두교의 대부분의 자티 | 인도 아대륙 |
많은 족내혼 바라다리 | 남아시아 무슬림 사이 |
구자라트의 수르티와 카아남(바루치) | 나르마다강 남쪽에 있는 사람들은 수르티, 북쪽은 카아남. 역사적으로 족내혼, 최근 50년 동안 중단. |
4. 1. 종교 집단
종교 및 민족 종교 단체는 전통적으로 족내혼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과의 결혼을 허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결혼을 위해 상대방의 종교로 개종해야 한다.[4] 이러한 개종을 통해 족내혼 집단 내에서 결혼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족내혼은 혈연관계와는 다르지만, 폐쇄된 공동체 내에서 창시자 효과로 인해 유전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족내혼을 관행적으로 행해 온 민족 및 종교 집단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민족/종교 집단 | 설명 |
---|---|
아리족[4] | |
알라위파[5] | |
북미의 아미시[6] | |
다양한 아랍 부족[7] | |
아시리아인 | 윗메소포타미아의 토착 기독교인[8] |
아르메니아인 | 강력한 기독교 국가이면서 이슬람교를 믿는 이웃 국가에 거의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 족내혼의 역사를 가짐[9] |
베케 | |
콥트 기독교인[10] | |
다일람인 | 고대 및 중세 페르시아의 카스피해 남쪽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 |
드루즈[11] | |
유럽 왕족 | |
히타노 | 일반적으로 그들의 라자 또는 부계 집단 내에서 족내혼[12] |
키프로스 그리스인 | 일반적으로 키프로스 섬에서 다수 민족 집단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족내혼 |
이란 투르크멘족 | |
렙차족 | 인도, 네팔, 부탄의 민족 집단 |
유대교 | 전통적으로 종교적 족내혼을 의무화하여 결혼 파트너가 모두 유대인이어야 하며, 개종자와의 결혼을 허용. 정통 유대교는 유대교의 족내혼에 대한 전통적인 요구 사항을 유지[13][14] |
크나나야 | 인도 성 토마스 기독교인 공동체 내 족내혼 집단. 4세기에 인도에 도착했다고 주장하며, 족내혼 관행으로 역사적으로 유명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회원 | 몰몬교와 관련된 다른 종교 및/또는 문화 집단 |
사이드 | |
인도 케랄라의 시리아 기독교인 | 결혼 개종은 허용 |
파르시[15] | |
라지푸트[16] | |
스페인의 바케이로스 데 알자다[17] | |
야지디[18][19] | |
만다인 | |
힌두교의 대부분의 자티 | 인도 아대륙 |
많은 족내혼 바라다리 | 남아시아 무슬림 사이 |
구자라트의 수르티와 카아남(바루치) | 나르마다강 남쪽에 있는 사람들은 수르티, 북쪽은 카아남. 역사적으로 족내혼, 최근 50년 동안 중단. |
4. 2. 민족/문화 집단
족내혼은 많은 문화 및 민족 집단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특정 종교 및 민족 종교 단체들은 전통적으로 족내혼을 유지하는 경향이 강하며, 때로는 다른 집단과의 혼인을 종교적 개종을 통해 허용하기도 한다. 족내혼은 비교적 폐쇄된 공동체 내에서 창시자 효과와 같은 유전 질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1]파푸아뉴기니의 우라프민족은 엄격한 족내혼을 시행하며, '타눔 미이트'라는 친족 계급 체계를 통해 족내혼 관계가 상속되기도 한다.[1] 남대서양 트리스탄다쿠냐 섬의 고립된 공동체는 족내혼으로 인해 녹내장, 천식 등의 건강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2]
족내혼을 관행으로 삼는 대표적인 민족 및 종교 집단은 다음과 같다.
민족/종교 집단 | 설명 |
---|---|
아리족[4] | |
알라위파[5] | |
북미의 아미시[6] | |
다양한 아랍 부족[7] | |
아시리아인 | 윗메소포타미아의 토착 기독교인[8] |
아르메니아인 | 이슬람교 국가에 둘러싸인 기독교 국가로서 족내혼 역사[9] |
베케 | |
콥트 기독교인[10] | |
다일람인 | 고대 및 중세 페르시아 카스피해 남쪽 거주 민족 |
드루즈[11] | |
유럽 왕족 | |
히타노 | 일반적으로 라자 또는 부계 집단 내 족내혼[12] |
키프로스 그리스인 | 키프로스 섬 다수 민족 집단 지위 유지 목적 |
이란 투르크멘족 | |
렙차족 | 인도, 네팔, 부탄의 민족 집단 |
유대교 | 전통적으로 종교적 족내혼 의무화, 개종자와의 결혼 허용. 정통 유대교는 족내혼을 종교적 신념과 전통의 구속력 있는 부분으로 유지[13][14] |
크나나야 | 인도 성 토마스 기독교인 공동체 내 족내혼 집단, 4세기 인도 도착, 족내혼 관행으로 유명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회원 | 몰몬교와 관련된 종교 및/또는 문화 집단 |
사이드 | |
인도 케랄라의 시리아 기독교인 | 결혼 개종은 허용 |
파르시[15] | |
라지푸트[16] | |
스페인의 바케이로스 데 알자다[17] | |
야지디[18][19] | |
만다인 | |
힌두교의 대부분의 자티 | 인도 아대륙 |
많은 족내혼 바라다리 | 남아시아 무슬림 사이 |
구자라트의 수르티와 카아남(바루치) | 역사적으로 족내혼, 최근 50년간 중단 |
중국에서는 위나라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신분을 중시하여 같은 신분끼리의 족내혼이 이루어지기도 했다.[20]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몽골족은 한족과의 통혼 시 족내혼을 통해 민족 의식을 강화하기도 한다.[21]
일본인과 유대인은 사촌 결혼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문화를 가지고 있어 족내혼이 자주 나타나지만, 극도의 근친혼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일본은 천황 중심의 사성 제도로 인해 씨족 분산이 장려되었고, 소규모 가(家) 제도가 확립되면서 동성불혼제가 성립되지 않아 족내혼이 행해져 온 것으로 보인다.[22]
5. 사회적 영향
족내혼은 많은 문화 및 종교 집단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종교적, 민족적 집단은 전통적으로 족내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외부인과의 결혼이 발생할 경우 종교 개종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는 개종을 통해 족내혼 집단 내에서 외부인과의 결혼(외혼)을 허용하는 방식이다.[1] 족내혼은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동체 내에서 창시자 효과(founder effect)와 같은 유전 질환의 확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족내혼은 분파주의를 강화하고 자기 격리 형태를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공동체가 주변 사회와의 통합을 거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소수 민족은 다른 관습과 신념을 가진 사회 내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 족내혼을 활용하기도 한다.
족내혼의 고립주의적 성격은 집단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인구 내 유전 질환 발생 빈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질병의 영향은 근친 교배 정도가 심하거나 족내혼 인구 규모가 매우 작지 않으면 크지 않을 수 있다.
파푸아뉴기니의 우라프민 부족은 엄격한 족내혼을 시행한다. 이들은 '타눔 미이트'라는 친족 계급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계급은 친족 관계를 통해 상속된다. 대부분의 우라프민은 주요 계급에 모두 속하기 때문에 개인 간 구별이 어렵고 유동성이 크다.[1]
남대서양의 트리스탄다쿠냐 섬은 지리적 고립으로 인해 거의 족내혼 사회이다. 토론토 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섬에서는 족내혼으로 인한 녹내장, 천식 등의 건강 문제가 발생했다.[2]
중국에서는 위나라 때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신분을 중시하여 같은 신분끼리의 족내혼이 장려되기도 했다.[20]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몽골족은 한족과의 통혼 시 족내혼을 하는 몽골족 공동체 내에서 민족 의식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21] 통혼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민족 정체성 문제로 갈등을 겪는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21]
일본인이나 유대인에게서 족내혼이 자주 나타나지만, 이들 민족 사이에서도 극도의 근친혼은 기피된다. 일본인과 유대인은 서양인에 비해 사촌 결혼에 대해 문화적으로 관대한 편이다.
일본은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국과 같은 경제 발전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씨족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천황 아래 통제된 사성 제도를 채택했다. 이로 인해 국가적으로 씨족 분산이 장려되었고, 소규모 가(家) 제도가 확립되었다.[22] 그 결과, 중국과 같은 동성불혼제가 성립되지 않았고, 혈족 결혼에 대한 씨족 개념의 억제가 작용하지 않아 족내혼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22]
6. 유전학적 영향
족내혼은 많은 문화와 인종 그룹에서 일반적이다. 몇몇 종교 및 민족 종교 단체는 전통적으로 족내혼을 이루는 경향이 있지만, 그룹 외부 사람과 결혼할 경우 종교를 바꾸도록 요구하기도 한다. 이는 개종자가 파트너의 종교를 받아들임으로써 족내혼 그룹 내에서 외혼 결혼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혈연관계와는 달리, 족내혼은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동체 내에서 창시자 효과라고 불리는 유전 질환의 전염을 초래할 수 있다.[3]
6. 1. 계보 붕괴와 근친 교배
족내혼은 분파주의를 조장하고, 자기 격리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공동체가 주변 인구와의 통합이나 완전한 합병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 소수 민족은 다른 관습과 신념을 가진 사회 내에서 뚜렷한 공동체로 오랫동안 민족적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 족내혼을 사용할 수 있다.족내혼의 고립주의적 관행은 집단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인구의 증가하는 비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전 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질병의 영향은 근친 교배의 정도가 높거나, 족내혼 인구의 규모가 매우 작아지지 않는 한 작을 것이다. 족내혼 패턴은 인구 집단 내에서 다양한 수준의 친족 결혼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사촌 결혼으로 태어난 자녀의 출생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만약 어떤 사람의 알려진 조상 계보에서 역사적인 시점에 사촌 결혼이 발생했다면, 이를 계보 붕괴라고 부른다. 이는 어떤 사람의 상염색체 DNA 일치 항목 간에 여러 경로를 따라 관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가장 가까운 경로에서 예상되는 것보다 DNA 일치 항목 간에 더 강한 DNA 일치를 만들어낸다.[3]
사촌 결혼은 계보 붕괴를 일으키지 않는 이중 사촌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수준의 형제 결혼과 사촌 결혼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친상간이라고 한다.
어떤 지역에서 장기간 족내혼 패턴이 나타나면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인 사촌 결혼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를 근친 교배라고 한다. 이는 상염색체 DNA 데이터에 추가적인 노이즈를 유발하여 해당 지역에 뿌리를 둔 DNA 일치 항목이 실제보다 더 가깝게 관련되어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6. 2. 건강 문제
족내혼은 많은 문화와 인종 그룹에서 일반적이다. 몇몇 종교 및 민족 종교 단체는 전통적으로 족내혼을 이루고 있지만, 때때로 그룹 외부 사람과 결혼할 경우 종교를 바꾸도록 요구하기도 한다. 이는 개종자가 파트너의 종교를 받아들임으로써 족내혼 그룹 내에서 외혼 결혼을 허용하는 것이다. 혈연관계와는 달리 족내혼은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동체 내에서 소위 창시자 효과라고 불리는 유전 질환의 전염을 초래할 수 있다.[1]족내혼의 고립주의적 관행은 집단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인구의 일정 비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전 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질병의 영향은 근친 교배의 정도가 높거나, 족내혼 인구의 규모가 매우 작아지지 않는 한 작을 것이다.
남대서양 트리스탄다쿠냐 섬의 작은 공동체는 지리적 고립으로 인해 거의 족내혼 사회이다. 토론토 대학교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녹내장 및 천식을 포함하여 섬에서 족내혼으로 인한 건강 문제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2]
7. 현대 사회의 족내혼
중국에서는 위대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신분이 중시되면서, 같은 신분의 사람들끼리 족내혼을 하기도 했다.[20]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몽골족은 한족과 통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족내혼을 하는 몽골족 사회 내부에서 자기 민족에 대한 민족 의식이 더 강해진다는 보고가 있다.[21] 이러한 이유로 결혼하는 사람들의 민족 의식과 족내혼 사이의 관련성이 인정되지 않아, 통혼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민족 정체성에서 혼혈 정도의 문제로 갈등을 겪는 것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21]
일본인이나 유대인 등에서 족내혼이 자주 보이지만, 이들 민족 사이에서도 극도의 근친혼은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인 서양인에 비해 일본인과 유대인은 사촌 결혼에 대해 문화적으로 관대한 경향이 있다.
일본의 경우,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국과 같은 경제적 발전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씨족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천황 아래 통제된 사성 제도를 채택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씨족의 분산이 장려되었고, 더 소규모의 가(家) 제도가 확립되었다.[22] 그 때문에, 중국과 같은 동성불혼제가 성립되지 않았고, 옛날부터 행해져 온 혈족 결혼에 대한 씨족 개념에서의 억제가 작용하지 않아 족내혼이 행해져 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22]
8. 비판적 시각
족내혼은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동체 내에서 이른바 창시자 효과라고 불리는 유전 질환의 확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20]
중국에서는 위나라 때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신분을 중시하면서 같은 신분끼리의 족내혼이 이루어지기도 했다.[20]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몽골족이 한족과 결혼하는 경우, 족내혼을 하는 몽골족 공동체 내에서 자기 민족에 대한 민족 의식이 더 강해진다는 보고가 있다.[21] 이 때문에 결혼하는 사람들의 민족 의식과 족내혼 사이에 관련성이 없으면, 결혼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민족 정체성에서 혼혈 정도의 문제로 갈등을 겪는 것이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21]
일본인이나 유대인 등에서 자주 보이지만, 이들 민족 사이에서도 극단적인 근친혼은 피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인 서양인에 비해 일본인과 유대인은 사촌 결혼에 대해 문화적으로 좀 더 허용적인 경향이 있다.
일본의 경우,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국과 같은 경제적 발전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씨족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천황 아래 통제된 사성 제도를 채택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씨족의 분산이 장려되었고, 더 소규모의 가(家) 제도가 확립되었다.[22] 그 때문에 중국과 같은 동성불혼제가 성립되지 않았고, 옛날부터 행해져 온 혈족 결혼에 대한 씨족 개념에서의 억제가 작용하지 않아 족내혼이 행해져 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22]
참조
[1]
서적
Becoming Sinners: Christianity and Moral Torment in a Papua New Guinea Socie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뉴스
Worldwide search for asthma clue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2-09
[3]
웹사이트
Endogamy Part 1: Exploring Shared DNA | Legacy Tree Genealogists
https://www.legacytr[...]
2016-10-13
[4]
서적
Who We Are and How We Got Here: Ancient DNA and the New Science of the Human Past
[5]
웹사이트
Syria's Ruling Alawite Sect
https://thelede.blog[...]
2011-06-14
[6]
웹사이트
Genomics in Amish Country
http://www.genomenew[...]
Genome News Network
2004-07-23
[7]
간행물
The Structure of Endogamous Unilineal Descent Groups
https://www.jstor.or[...]
[8]
서적
Pre-marital Counsell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https://books.google[...]
Lulu.com
2014-09-14
[9]
서적
Armenia in Pictures
Learner Publishing Group
[10]
간행물
The Coptic Christians of Egypt: Dhimmitude and Discrimination
https://scholarship.[...]
2014
[11]
서적
Displacement and Dispossession in the Modern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3-15
[12]
웹사이트
Gitano Evangelism: the Emergence of a Politico-Religious Diaspora
http://www.transcomm[...]
2020-02-03
[13]
문서
Kiddushin
[14]
웹사이트
Endogamy is a mitzvah
https://jewishstanda[...]
2020-10-29
[15]
간행물
Y-Chromosomal DNA Variation in Pakistan
2002-05
[16]
서적
If Rain Doesn't Come
https://openjournals[...]
Manohar Publishers and Distributors
[17]
문서
Los vaqueiros de alzada de Asturias: un estudio histórico-antropológico
KRK Ediciones
[18]
서적
The Yezidis: The History of a Community, Culture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4-12-23
[19]
간행물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Yazidis
https://time.com/309[...]
2016-02-07
[20]
간행물
シナに於ける貞節觀念の變遷
https://hdl.handle.n[...]
京都大學文學部
1967-03
[21]
간행물
多民族混住地域における婚姻と民族意識の関連 : 内モンゴル赤峰市地域のモンゴル族と漢族の族際婚姻を中心に
https://ushimane.rep[...]
島根県立大学北東アジア地域研究センター
2006-01
[22]
간행물
日中伝統家業の相続に関する歴史的考察:北京同仁堂楽家と三井家との比較において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人文学会
20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