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넬슨 다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넬슨 다비는 1801년 런던에서 태어나 아일랜드 성공회 성직자로 활동했으며, 플리머스 형제단의 창립에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트리니티 칼리지 졸업 후 변호사가 되는 대신 성공회 사제가 되었고, 교직 제도에 의문을 품고 사임한 후 플리머스 형제단을 결성하여 교파를 초월한 신앙 공동체를 추구했다. 다비는 유럽과 북미를 순회하며 설교하고 성경을 번역했으며, 세대주의를 주창하며 종말론적 해석을 제시했다. 그의 사상은 20세기 초 작은 무리, 한국 장로교회 등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 영향을 미쳤으며, 찰스 스펄전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천년설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전천년설 - 에페소스 공의회
    에페소스 공의회는 431년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해 소집되어 예수의 인성과 신성의 관계, 성모 마리아의 위상에 대한 교리적 입장을 정립하고 니케아 신조를 재확인하며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로 칭하고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단죄한 기독교 공의회이다.
  • 영어 성경 번역자 -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4세기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성경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여 개신교 탄생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 영어 성경 번역자 - 유진 피터슨
    유진 피터슨은 《메시지》로 유명한 미국의 장로교 목사이자 신학자, 작가로, 그리스도 우리 왕 장로교회 설립 목사와 리젠트 칼리지 영성 신학 교수를 지냈으며, 목회신학, 기도, 영적 신학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말년에 동성애 관련 발언으로 논쟁이 있었다.
  • 기독교 근본주의자 -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은 세 번의 미국 대통령 후보, 네브래스카주 하원의원, 민주당 주요 인물로, 은의 자유 주조와 진보 정책 옹호, 반제국주의 운동, 금주법 및 진화론 반대 운동 참여, 그리고 스코프스 재판 등으로 유명한 미국의 정치가이자 변호사였다.
  • 기독교 근본주의자 - 제리 폴웰
    제리 폴웰은 미국의 기독교 근본주의 목사로, 토마스 로드 침례교회와 리버티 크리스천 아카데미, 리버티 대학교를 설립하고, 도덕적 다수를 이끌며 사회적, 정치적 논란을 일으켰다.
존 넬슨 다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40년의 다비
1840년의 다비
출생일1800년 11월 18일
출생지시티 오브 웨스트민스터, 런던, 잉글랜드
사망일1882년 4월 29일 (향년 81세)
사망지선드리지 하우스, 본머스, 잉글랜드
국적영국
직업작가, 번역가, 교육자, 성직자

2. 생애

존 넬슨 다비는 1819년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1822년 아일랜드 대학원 변호사가 되었다.[3] 같은 해 아일랜드 교회에서 안수를 받고 위클로 교회의 목사가 되었으나, 1827년 국교회 제도와 교직 제도에 의문을 품고 국가와 종교의 분리를 주장하며 목사직을 사임했다.[4]

1831년 조지 위그램, 벤자민 윌스 뉴턴 등과 함께 플리머스 형제단을 조직했다.[23] 이들은 교직 제도를 부정하고, 매주 일요일 성찬을 행하며, 교파에 얽매이지 않는 신앙을 추구했다. 그러나 이후 교리 차이로 인해 내부 분열이 발생했고, 다비를 중심으로 하는 파는 다비파, 또는 조지 뮬러 등의 오픈 형제단과 구별하여 익스클루시브(폐쇄적) 형제단이라고 불렸다. 다비 그룹은 축자 영감설을 믿고 시대 구분주의 성경 해석을 채택했으며, 칼뱅주의경건주의를 절충한 신학을 가지고 있었다.

2. 1. 초기 생애 (1801년 ~ 1825년)

존 넬슨 다비는 1801년 3월 3일 런던 웨스트민스터에서 태어나 세인트 마가렛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그는 존 다비와 앤 본의 여섯 아들 중 막내였다. 다비 가문은 아일랜드 킹스 카운티](현재의

2. 2. 중기 생애 (1826년 ~ 1848년)

존 넬슨 다비는 위클로 주 델게니의 아일랜드 교회 교구 목사로 사역하면서, 칼라리 지역의 로마 가톨릭 농민들을 아일랜드 교회로 개종시켜 명성을 얻었다.[4] 그러나 성공회 더블린 대주교 윌리엄 매기가 개종자들에게 조지 4세에 대한 충성 맹세를 요구하면서 개종은 중단되었다.

다비는 이에 항의하여 1827년 목사직을 사임했다. 같은 해 10월, 말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그는 회복 기간 동안 이사야서 등을 통해 기독교 교회와는 다른 "왕국"에 대한 믿음을 갖게 되었다고 회고했다.

이후 5년 동안 다비는 성직자 제도가 성령의 자유로운 역사를 제한한다고 믿으며, 성령에 대한 죄악이라는 확신을 갖는 등 자신만의 신학을 발전시켰다. 1827년부터 1828년까지 앤서니 노리스 그로브스, 에드워드 크로닌 등과 함께 더블린에서 초교파 모임을 갖고 빵을 떼는 의식을 행했다. 이 모임은 1832년경부터 점차 플리머스 형제단으로 발전하였다.

1831년경, 다비는 아일랜드 교회를 떠나[5] 파워스코트 부인의 후원으로 열린 1831-33 파워스코트 회의에 참여했다.[6] 이 회의에서 다비는 자신의 교회론과 환난 전 휴거설을 포함한 종말론을 공개적으로 발표했다.[7]

다비는 한때 자신이 섬겼던 교회 내에서 공격을 받게 된 칼뱅주의 교리를 옹호했다.[8] 그는 39개 신조 제17조에 표현된 성공회 교리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예정과 선택에 대한 믿음을 강조했다.[9][10]

2. 3. 후기 생애 (1849년 ~ 1882년)

다비는 1830년대와 1840년대에 유럽과 영국을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많은 형제단 집회를 열었다. 1840년 제네바에서 교회의 소망에 관해 11개의 중요한 강연을 했는데, 이 강연들은 그에게 성경 예언의 선구적인 해석가로서 명성을 얻게 했다.[11]

1848년, 다비는 여러 집회에서 규율의 기준을 유지하는 적절한 방법에 대한 복잡한 논쟁에 휘말려 개방형 형제단과 배타적 형제단 사이의 분열이 일어났다. 그 이후, 그는 "다비파" 형제단으로 알려지게 된 배타적 형제단 내에서 지배적인 인물로 인정받았다. 1862년과 1877년 사이에 그는 최소 5번의 선교 여행을 북미로 갔다. 그는 주로 뉴잉글랜드, 온타리오, 오대호 지역에서 활동했지만, 토론토에서 샌프란시스코, 하와이, 뉴질랜드를 거쳐 시드니까지 장기간 여행을 했다.[11]

그는 히브리어와 헬라어 원전에서 여러 언어로 성경을 번역하기 위해 그의 고전적 기술을 사용했다. 영어로 그는 성경 개요와 많은 다른 학술 종교 기사를 썼다. 그는 찬송가와 시를 썼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슬픔의 사람"이다.[12] 그는 또한 성경 주석가였다. 그의 저술은 생전에 수집되어 1866년 1월부터 "J. N. Darby의 수집된 저작"으로 출판되었으며, 총 32권이 출판되었다.[13] 그는 여러 나라의 다양한 형제들의 도움을 받아 독일어, 프랑스어 및 영어로 성경을 번역했다.[14] 그러나 그는 킹 제임스 성경의 개정판 편찬에는 기여하지 않았다.[15]

그는 1882년 본머스의 선드리지 하우스에서 사망했으며, 잉글랜드 도싯의 본머스 윈본 로드 묘지에 안장되었다.[16]

존 넬슨 다비의 묘비, 잉글랜드 본머스의 윈본 로드 묘지.

3. 신학

다비는 성경의 축자 영감설을 믿었으며, 세대주의적 성경 해석을 발전시켰다. 플리머스 형제단은 축자 영감설을 믿고 세대주의 성경 해석을 채택했으며, 칼뱅주의경건주의의 절충 신학을 가지고 있었다.[23] 다비는 존 웨슬리의 『기독교인의 완전』을 비판했다.

3. 1. 비판

찰스 해돈 스펄전은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의 목사이자 다비의 동시대인이었으며, 다비와 플리머스 형제단에 대한 비판을 발표했다.[20] 그의 주요 비판은 다비와 플리머스 형제단이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순종의 목적과 칭의를 거부했다는 것이었다. 그는 이것이 복음에서 매우 중요하고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여겼다.[21]

제임스 그랜트는 "플리머스 형제단이 복음의 가장 중요한 교리 중 일부와 관련하여 품고 가르치는 치명적인 이단에 대해 이미 충분히 언급했듯이, 저는 다비주의자들이 받아들이고 열정적으로 전파하려는 다른 견해들이 아무리 비성경적이고 해롭다 하더라도 독자들이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라고 썼다.[22]

다비는 세대주의의 주창자이며, 존 웨슬리의 『기독교인의 완전』을 비판했다.

4. 저술

5.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존 넬슨 다비의 세대주의 신학은 일제강점기에 한국 장로교회에 들어와, 특히 보수적인 신학교와 교단을 중심으로 널리 퍼졌다.[23] 다비의 전천년설환난 전 휴거설은 한국 교회의 종말론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중요한 신학적 흐름으로 남아있다. 하지만, 일부 진보적인 신학자들과 교회들은 다비의 세대주의 신학이 성경 해석을 왜곡하고, 사회 참여와 역사 의식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Bridgepoint Books 1993-11
[2] 문서 The Scofield Bible: Its History and Impact on the Evangelical Church
[3] 서적 Dublin University Calendar https://books.google[...] Curry, Jun. and co.
[4] 웹사이트 How the Lost Sheep was Saved http://www.stempubli[...]
[5] 문서
[6] 문서
[7] 서적 Dictionary of Premillennial Theology Kregel Publications
[8] 서적 Fundamentalism and American Culture: The Shaping of Twentieth Century Evangelicalism, 1870-192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9] 서적 The Contribution of John Nelson Darby to Soteriology, Ecclesiology, and Eschatology https://books.google[...] Dallas Theological Seminary 1948
[10] 웹사이트 The Doctrine of the Church of England at the Time of the Reformation http://www.stempubli[...]
[11] 웹사이트 "Thy Precepts (magazine), Jan/Feb 1996, Vol. 11, # 1" http://www.presenttr[...]
[12] 웹사이트 The Man of Sorrows https://www.plymouth[...]
[13] 문서 Dates of J.N.Darby's Collected Writings Bible and Gospel Trust
[14] 문서 Dates of J. N. Darby's Collected Writings Bible and Gospel Trust
[15] 웹사이트 John Nelson Darby : Biography http://www.museumstu[...]
[16] 웹사이트 John Nelson Darby: His Contributions to Contemporary Theological Higher Education (Dissertation Prepared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https://digital.libr[...] University of North Texas 2007-05
[17] 웹사이트 The Assembly of God; or, The All-sufficiency of the Name of Jesus http://www.stempubli[...]
[18] 웹사이트 The Ten Greatest Revivals Ever: from Pentecost to the Present http://digitalcommon[...] Liberty University 2000-01-01
[19] 성경 Romans 11:23
[20] 웹사이트 Mr. Grant on "The Darby Brethren" http://www.spurgeon.[...] 1869-06
[21] 서적 Darbysm and its new Bible https://en.wikisourc[...] Macintosh
[22] 서적 The Plymouth Brethren: Their History and Heresies https://archive.org/[...] William Macintosh
[23]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4] 웹인용 존 넬슨 다비 시리즈 http://brethrenhouse[...] 2017-06-29
[25] 서적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26] 문서 The Scofield Bible: Its History and Impact on the Evangelical Chu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