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레이튼 스튜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1876년 중국 항저우에서 미국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나 중국에서 성장했다. 그는 옌칭 대학 총장으로 재직하며 중국 고등 교육 발전에 기여했고, 중일 전쟁 시기에는 일본에 저항하며 중국 민족주의를 지지했다. 1946년 주중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 국공 내전 중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마오쩌둥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그는 중국에서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으며, 2008년 유해가 고향 항저우에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월터 P. 매카너기
월터 P. 매카너기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직책을 거쳐 버마, 대한민국, 파키스탄, 중화민국 주재 대사를 지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미국의 대중국 정책 결정과 4·19 혁명 당시 미국의 입장을 조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동아시아 외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선교사 - 케네스 배
한국계 미국인 선교사 케네스 배는 2012년 북한에 억류되어 15년 노동 교화형을 선고받았으나, 2014년 석방되었고, 이후 억류 경험을 담은 책을 출판하고 북한 난민을 돕는 NGO를 설립했다. - 미국의 선교사 - 조지 톰슨 브라운
조지 톰슨 브라운은 중국 출생의 미국 장로교 선교사이자 신학자로, 호남신학대학교를 설립하고 총장을 역임했으며, 국제 선교 담당 이사 및 컬럼비아 신학대학원 교수로 활동하며 의료 및 공중 보건 서비스 지원에도 기여했다. - 중국에 거주한 미국인 - 리카이푸
리카이푸는 음성 인식 기술 개발자이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주요 기업을 거쳐 시노베이션 벤처스와 01.AI를 설립한 벤처 투자가이며, 인공지능 분야 저술 및 강연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 중국에 거주한 미국인 - 펄 S. 벅
펄 S. 벅은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중국과 동양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여 퓰리처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작가이며, 펄벅재단을 설립하여 여성 인권, 인종 간 입양, 혼혈아 문제 등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활동했고 한국과의 인연도 깊다.
존 레이튼 스튜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John Leighton Stuart |
출생일 | 1876년 6월 24일 |
출생지 | 청나라 저장성 항저우 |
사망일 | 1962년 9월 19일 |
사망지 | 미국 워싱턴 D.C. |
국적 | 미국 |
직업 | 선교사 교육자 외교관 |
학력 | 햄프든-시드니 대학교 유니언 신학 대학 |
종교 | 개신교 |
묻힌 곳 | 안셴위안 묘지, 항저우, 저장, 중국 |
수상 | 프린스턴 대학교 인문학 박사 (1933년) 항저우 명예 시민 (1946년) |
경칭 | 신부 인문학 박사 |
관직 | |
직책 | 미국의 주 중화민국 대사 |
임명자 | 해리 S. 트루먼 |
전임자 | 패트릭 J. 헐리 |
후임자 | 칼 L. 랭킨 |
임기 시작 | 1946년 7월 10일 |
임기 종료 | 1952년 11월 28일 |
직책 | 옌칭 대학교 초대 총장 |
임기 시작 | 1919년 1월 |
임기 종료 | 1945년 |
후임자 | 우 레이추안(대행) |
기타 | |
로마자 표기 | Sītú Léidēng |
2. 초기 생애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항저우에서 장로교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나, 11세에 미국으로 건너가 교육을 받았다. 1904년 부인과 함께 중국으로 돌아가, 1908년부터 1919년까지 난징의 신학교에서 신약성경을 가르쳤다.[15] 그리스어 신약성경을 중국어로 번역하고 신약성경의 그리스어-중국어 사전을 편집하기도 했다.
2. 1. 출생과 가족 배경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1876년 6월 24일 중국 항저우에서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15] 아버지는 버지니아와 켄터키 출신 명문가의 3대째 장로교 목사였으며, 1868년 미국에서 중국으로 파견된 최초의 세 명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이자 항저우에서 설교한 최초의 기독교 목사였다.[15]어머니 메리 호튼은 중국 최초의 기관 중 하나인 항저우 여자학교를 설립했다.[15] 보스턴 출신인 그녀의 가족은 미국 혁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여성 교육을 중시하고 장려했다.[15]
스튜어트는 미국 국적자로 남부 억양의 영어를 구사했지만, 자신을 미국인보다 중국인으로 여겼으며, 항저우 방언을 사용했다.[15]
2. 2. 미국 유학과 귀환
1876년 6월 24일 중국 항저우에서 미국 출신 장로교 선교사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버지니아와 켄터키 출신 명문가의 3대째 장로교 목사였으며, 1868년 미국에서 중국으로 파견된 최초의 세 명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이자 항저우에서 설교한 최초의 기독교 목사였다. 스튜어트의 어머니 메리 호튼(항저우에서는 "스튜어트 어머니"로 불림)은 중국 최초의 기관 중 하나인 항저우 여자학교를 설립했다. 그의 어머니 가족은 보스턴에서 미국 독립 혁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그녀의 양키식 칼뱅주의는 여성 교육을 중시하고 장려했다. 스튜어트에게는 데이비드 토드(1878년생), 워렌 호튼(1880년생), 로버트 커클랜드(1883년생) 세 명의 남동생이 있었다.[15]스튜어트는 미국 국적자로 남부 억양의 영어를 구사했지만, 자신을 미국인보다 중국인으로 여겼다. 그는 항저우 방언을 사용했다. 11세 때 중국을 떠나 어머니의 친척이 있는 앨라배마주 모빌에서 몇 년 동안 생활했다.[15] 16세에는 버지니아주의 예비학교에 보내졌는데, 중국 선교사 가정에서 물려받은 구식 옷차림과 19세기 중반의 어투 때문에 급우들의 놀림감이 되었다. 그는 햄프덴-시드니 대학교를 졸업하고 나중에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 있는 유니온 신학교에서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의 영향을 받아 선교 교육자가 되고자 했다.[15]
3. 선교 및 교육 활동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항저우에서 장로교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1세에 미국에서 교육받고, 1904년 장로교 선교회에 안수되어 부인과 함께 중국으로 돌아와 2세대 선교사가 되었다. 항저우 장로교 대학(현 저장대학교) 설립을 도왔으며, 아들 잭은 장로교 목사가 되었다. 그는 미국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워싱턴 D.C. 교회 후원을 받았고, 백악관에서 윌슨 대통령을 만나기도 했다. 스튜어트 가족은 버지니아 주 스톤턴에 있는 윌슨 가족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5]
1919년 옌칭 대학 초대 총장이 된 그는 28년간 재직하며 12개 기독교 대학들의 연합을 통해 옌칭 대학을 중국 최고의 사립 대학으로 발전시켰다. 하버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등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베이징 외곽에 새 캠퍼스를 위한 미국 기부자들의 지원을 받았다.
1920년대 학생들의 반기독교 운동이 일어나는 동안, 스튜어트는 대학을 베이징으로 옮기는 것을 거부했다. 그는 학생들의 애국주의와 중국의 사회적 변화 필요성을 지지하면서도, 혁명적 정치에는 반대했다. 그는 기독교 고등 교육을 우선시하며, 중국 시민 투쟁의 모든 편과 우호 관계를 발전시키려 노력했다. 1948년에도 대학 운영에 희망을 두고 공산당 정부에 협조를 주장했다.
3. 1. 난징 신학교 교수 시절
1908년부터 1919년까지 난징 연합 신학교(Nanjing 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약 문헌 및 주해학 교수로 재직하였다.[5] 재직 중 '중국어로 된 신약 그리스어의 본질'(Essentials of New Testament Greek in Chinese)과 '신약의 그리스어-중국어-영어 사전'(Greek-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1918)을 출판했다.[5]3. 2. 옌칭 대학 총장 시절
1919년 1월, 스튜어트는 옌칭 대학의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역사학자 존 폼프렛에 따르면, 그는 28년간의 재임 기간 동안 옌칭 대학을 "중국 최고의 대학"으로 만들었다.[5] 그는 대학의 재정, 교육 및 물리적 기반을 구축하여 옌칭 대학을 중국 최고의 대학이자 최고의 기독교 대학으로 빠르게 성장시켰다.스튜어트는 많은 중국 교수들이 서구식 디자인을 선호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통 건축 양식을 반영하여 옌칭 대학 캠퍼스(현재는 베이징대학교가 자리 잡고 있다)를 개발했다. 이는 중국이 언젠가는 이 대학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문화 제국주의의 강요로 보지 않기를 바라는 그의 희망 때문이었다.
그는 옌칭 대학과 하버드 대학교 간의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1928년 문화 교류에 중요한 유산인 하버드-옌칭 연구소 설립을 도왔다. 또한 프린스턴 대학교, 웰즐리 대학교, 미주리 대학교와도 파트너십을 맺었다.
스튜어트는 학생과 교수 및 그들의 상호 작용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결혼식을 주례하고 캠퍼스에서 학생 지식인들을 위한 살롱을 개최한 것으로 옌칭 대학 동문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프린스턴 대학교는 1933년 그에게 명예 인문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1936년 옌칭 대학은 그의 60세 생일 축하연을 열었는데, 주방 및 청소부들은 "그의 친절함에는 계급의 경계가 없다"라고 적힌 명판을 선물했다.[15]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옌칭 대학은 해체되었다. 1952년 베이징대학교는 옌칭 대학 캠퍼스로 이전하여 대부분의 학과를 흡수했고, 칭화대학교는 다른 학과들을 흡수했다. 베이징대학교 공식 역사 박물관에는 스튜어트나 이 기관의 서구와의 관계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캠퍼스는 그의 기념물로 남아 있다.[6]
3. 3. 중일전쟁 시기
1937년 일본군이 옌칭 대학을 점령한 후에도,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대학에 남아 학생들을 보호하였다. 진주만 공격 이후 일본군에 의해 구금되었으나, 다른 사람들이 배상금을 부인한 이유로 그 제공을 거부하였다. 1945년 8월 석방되어 옌칭 대학 총장으로 복귀하였다.[5]4. 정치 활동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1920년대 중국 시민 투쟁의 모든 편들과 우호 관계를 발전시키려 노력했다. 1948년에는 옌칭 대학 운영의 희망을 이어가기 위해 중국 공산당 정부에 협조를 주장하기도 했다.[7]
1937년 일본군이 대학을 점령한 후에도 스튜어트는 대학에 남아있었고, 진주만 공격 이후에는 일본에 의해 구금되었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배상금을 부인한 이유를 들어 배상금 제공을 거부했다. 1945년 8월 석방되어 대학 총장으로 복귀하였다.
1946년 조지 마셜 장군의 추천으로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 중국 평화 유지 활동을 보조했다. 국공 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하면서 미국으로 귀국하였다.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스튜어트는 중국 정치, 교육, 문화에 대한 깊은 관여로 중국 지식인과 학생들 사이에서 존경을 받았다.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이 종종 칭찬했던 학자 원이둬(聞一多)는 마지막 연설에서 스튜어트에 대한 존경과 찬사를 표명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원이둬의 마지막 연설이 중국 본토의 교과서에 포함되었을 때, 스튜어트를 칭찬하는 단락은 삭제되었다.[9][10]
4. 1. 중국 민족주의 지지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중국 민족주의를 지지했다.[7] 그는 5·4 운동과 5·30 운동에 참여한 옌칭 대학 학생들과 교수들에게 공감했다. 그는 베이징의 군벌 세력에 대한 북벌을 지지했다. 그는 일본의 만주 침략에 항의하는 옌칭 대학 학생들과 함께 시위를 이끌었다.[8]4. 2. 중일전쟁 시기 저항
1937년 일본군이 옌칭 대학을 점령했을 때, 스튜어트는 대학에 남아있었다. 일본군은 스튜어트에게 옌칭 대학 캠퍼스에 괴뢰 정권의 깃발을 게양하고 기관의 "해방"에 대한 개인적인 "감사"를 표명할 것을 명령했다. 그러나 스튜어트는 이를 즉시 거부하며 "우리는 이러한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합니다."라는 간결한 메모를 일본 사령관에게 보냈다.[8] 그는 캠퍼스에서의 설교와 연설, 그리고 전국을 순회하는 강연을 통해 일본의 중국 침략에 저항했다.5. 주중 미국 대사 임명과 활동
1946년 조지 마셜 장군의 추천으로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 중국의 평화 유지 활동을 보조했다. 국공 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하면서 미국으로 귀국하였다.
스튜어트는 진주만 공격 이후 일본군에 의해 구금되었으나, 배상금 제공을 거부하고 1945년 8월 석방되어 옌칭 대학 총장으로 복귀했다.
그는 중국에 대한 미국의 공식 정책에 대한 대안으로 건설적인 관여를 제안했다. "스튜어트는 조지 F. 케넌이 구상하고 예일대학교 교수 존 개디스가 1980년 미국 국제관계사 학회의 베르나스상 강연에서 설명한 공산주의에 대한 비대칭적 냉전 대응을 옹호하게 되었다."[12] 그러나 당시 워싱턴은 공산 중국과의 대화를 열 의향이 없었다.
1949년 미국으로 소환되었고, 1952년 대사직에서 공식 사임했다. 그는 30년 후 양국 간 외교 관계 재개 이전에 주중 미국 대사직을 맡았던 마지막 인물이었다. 스튜어트는 뇌졸중으로 인해 남은 생애 동안 활동을 할 수 없게 된 후, 1962년 워싱턴 D. C.에서 사망했다. 뉴욕 타임즈의 부고 기사는 "선교사이자 교육자로서의 그의 수년 동안, 온화하고 인도적인 스튜어트 박사는 중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미국인 중 한 명이었다"고 보도했다.[14]
스튜어트의 회고록 ''중국에서의 50년''은 그가 뇌졸중으로 활동을 할 수 없게 된 후 완성되지 못했다. 이 책의 마지막 세 장은 미국 국무부의 스탠리 혼벡이 완성했고, 초기 장들도 수정했다.[15]
5. 1. 대사 임명
1946년 7월 4일, 스튜어트는 주중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 조지 마셜과 함께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의 중재 활동을 전개했다.[11] 그는 장제스를 비롯한 국민당 지도자들과 주은래와 같은 공산당 지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는데, 이들은 모두 스튜어트와 같은 절강 방언을 사용했다. 그는 옌칭 대학에서 지하 공산당원들을 가르치고 보호했는데, 그중 일부는 나중에 당 지도자가 되었다.[11] 마셜과 스튜어트의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의 중재 노력은 난징에 있는 주은래·등영초 기념관에 기념되고 있다.1947년 1월 마셜이 중국을 떠난 후, 스튜어트는 국민당 정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에서 연립 정부 중재, 공산당과의 이해 조정으로 이어지는 중재 노력을 이끌었다. 1949년 4월 국민당 정부가 난징을 떠나고 공산당군이 난징에 진입했을 때, 스튜어트는 난징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유지했다. 그는 중국 내 미국 존재감과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공산당과의 타협을 모색했고, 옌칭 대학 출신으로 난징 군사위원회 위원이 된 황화를 통해 접촉했다.
마오쩌둥은 미국 국무부의 ''중국에 관한 백서''에 대한 반응으로, 풍자적인 수필 ''작별, 레이튼 스튜어트!''[13]를 발표했는데, 이 글은 오랫동안 중국 학교에서 혁명의 건국 문서 중 하나로 가르쳐졌다.
스튜어트는 1949년 8월 2일에 미국으로 소환되었고, 1952년 11월 28일에 공식적으로 대사직에서 사임했다.
5. 2. 국공 내전 중재 노력
1947년 1월 조지 마셜이 중국을 떠난 후, 스튜어트는 국민당 정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에서 벗어나 연립 정부 중재, 중국 공산당과의 이해 조정 등 중재 노력을 이끌었다.[11] 장제스를 비롯한 국민당 지도자들과 저우언라이 등 공산당 지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는데, 이들은 모두 스튜어트와 같은 절강 방언을 사용했다.[11] 그는 옌칭 대학에서 지하 공산당원들을 가르치고 보호했으며, 그들 중 일부는 훗날 당 지도자가 되었다.[11]1949년 4월 국민당 정부가 난징을 떠나고 공산당군이 난징에 진입했을 때, 스튜어트는 난징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유지했다. 그는 중국 내 미국의 존재감과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공산당과의 타협을 모색했고, 옌칭 대학교 출신으로 난징 군사위원회 위원이 된 황화를 통해 접촉했다.[12]
5. 3. 마오쩌둥의 비판과 미국 귀환
딘 애치슨의 '중국에 관한 백서'에 대한 반응으로, 중국 공산당 위원장 마오쩌둥은 풍자적인 수필 ''작별, 레이튼 스튜어트!''를 발표했다.[13] 이 글은 오랫동안 중국 학교에서 혁명의 건국 문서 중 하나로 가르쳐졌다. 마오쩌둥은 스튜어트를 미국 문화 침략의 대리인으로 묘사하며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1876년 중국에서 태어난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항상 중국에서 미국의 문화적 침략에 충실한 대리인이었다. 그는 1905년에 중국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고, 1919년에는 미국이 베이징에 설립한 연경대학교의 총장이 되었다. 그는 상당히 폭넓은 사회적 관계를 갖고 있었고, 수년 동안 중국에서 선교 학교를 운영했으며, 항일전쟁 중에는 일본 감옥에 수감되기도 했다. 1946년 7월 11일 그는 주중 미국 대사로 임명되었다. 1949년 8월 2일, 미국 제국주의가 중국 인민 혁명의 승리를 방해하려는 모든 노력이 완전히 실패했기 때문에, 레이튼 스튜어트는 조용히 중국을 떠나야 했다.
스튜어트는 1949년 8월 2일에 미국으로 소환되었고, 1952년 11월 28일에 공식적으로 대사직에서 사임했다.[14]
6. 유산과 평가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항저우 출신의 장로교 선교사 아들로, 1919년 옌칭 대학 초대 총장이 되어 28년간 재직하며 대학을 중국 최고의 사립 대학 중 하나로 성장시켰다. 1946년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 국공 내전 중재에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마오쩌둥은 그를 미국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비판했으나,[18] 2016년 시진핑은 G20 정상회의에서 스튜어트를 긍정적으로 언급하며 그의 업적을 인정했다.[18]
1937년 일본군에 의해 대학이 점령된 후에도 대학에 남아있었고, 진주만 공격 이후에는 구금되었으나 배상금 제안을 거부하였다.[17] 1945년 8월 석방되어 대학 총장으로 복직했다.
6. 1. 유언과 사망
1962년 워싱턴 D. C.에서 사망했다. 그는 유언을 통해 1926년 사망한 아내가 묻힌 옌칭 대학 캠퍼스에 매장되기를 희망했다.[16] 2008년 11월, 그의 유해는 워싱턴에서 항저우로 옮겨져 아버지, 어머니, 형제가 묻힌 그의 출생지 항저우에 안치되었다.[17]6. 2. 공식적인 인정
2016년 9월 4일, 중국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은 항저우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외국 대표단의 수장들을 환영하는 만찬에서 스튜어트를 언급했다. 그는 "140년 전인 1876년 6월, 전 미국 중국 대사였던 존 레이튼 스튜어트가 이 항저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50년 이상 중국에서 살았고, 항저우에 묻혔습니다."라고 말했다. 중국 역사학자들은 마오쩌둥의 유명한 논문 이후 최고위급 중국 관리가 공개적으로 스튜어트를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는 현대 중국에서 스튜어트의 공식적인 평판 회복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18]스튜어트가 중국을 떠난 지 50년 후, 항저우 당국은 스튜어트 가문의 중국에 대한 공헌을 기념하기 위해 항저우에 있는 스튜어트 가옥을 복원했다.
중국 드라마 '외교 상황'에서는 스튜어트가 주요 긍정적 인물 중 하나로 등장하여, 중국에서 그의 시각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19]
6. 3. 종합 평가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교육자, 선교사, 외교관으로서 다양한 평가를 받는다.옌칭 대학 초대 총장으로서 스튜어트는 대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19년부터 28년간 총장직을 수행하면서 옌칭 대학을 중국 최고의 사립 대학 중 하나로 성장시켰으며, 다른 기독교 대학들의 모범이 되었다.[16] 하버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등과의 협력을 통해 대학 발전을 위한 재정 지원을 확보했다.
1920년대 반기독교 운동이 일어나는 동안, 스튜어트는 학생들의 애국주의를 존중하면서도 기독교 교육의 가치를 지키고자 노력했다. 1937년 일본군에 의해 대학이 점령된 후에도 대학에 남아있었고, 진주만 공격 이후에는 구금되기도 했다.[17]
1946년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 국공 내전 중재에 노력했으나, 결국 내전은 중국 공산당의 승리로 끝났다.
마오쩌둥은 스튜어트를 미국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비판했지만,[18] 2016년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G20 정상회의에서 스튜어트를 언급하며 그의 업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8] 이는 중국 내에서 스튜어트에 대한 평가가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6. 3. 1. 긍정적 측면
옌칭 대학 초대 총장으로 28년간 재임하며 옌칭 대학을 중국 최고의 사립 대학으로 발전시켰으며, 다른 12개 기독교 대학의 기준을 세웠다.[16] 하버드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와의 교류를 통해, 미국 기부자들로부터 베이징 외곽의 새 캠퍼스 건설을 위한 재정 지원을 받았다.1920년대 학생들의 반기독교 운동 당시, 학생들의 애국주의와 사회 변화 요구를 지지하면서도 혁명적 정치에는 반대하며 기독교 고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국 내 여러 갈등 세력과 우호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했다.
1937년 일본군의 대학 점령과 진주만 공격 이후 구금되었으나, 배상금 제안을 거부했다.[17] 1945년 8월 석방 후 대학 총장으로 복직했다. 중국 공산당 정부 수립 이후에도 대학 운영을 위해 노력했다.
2008년 11월 그의 유해가 워싱턴 D. C.에서 항저우로 옮겨져 안치되었다.
2016년 9월 4일, 중국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은 항저우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서 스튜어트를 언급하며, 그가 중국에서 50년 이상 살았고 항저우에 묻혔다고 말했다. 중국 역사학자들은 이것이 현대 중국에서 스튜어트의 공식적인 평판 회복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18]
스튜어트가 중국을 떠난 지 50년 후, 항저우 당국은 스튜어트 가문의 중국에 대한 공헌을 기념하기 위해 항저우에 있는 스튜어트 가옥을 복원했다.
중국 드라마 '외교 상황'에서 스튜어트는 주요 긍정적 인물 중 하나로 등장한다.[19]
6. 3. 2. 부정적 측면
마오쩌둥은 스튜어트를 미국 제국주의의 앞잡이라고 맹렬히 비판했다.[18] 국공 내전 중재 노력은 결국 실패로 끝났다. 냉전 시기 미국의 대중국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했다.참조
[1]
뉴스
The Indiana Gazette
https://www.newspape[...]
The Indiana Gazette
1962-09-20
[2]
간행물
Ashes of the American Raj in China: John Leighton Stuart, Pearl S. Buck, and Edgar Snow
The Asia-Pacific Journal
2008-12-01
[3]
뉴스
Education: Stuart of Yenching
TIME
1945-10-01
[4]
간행물
How U.S. Ambassadors Influence China
The Diplomat
2014-02-27
[5]
서적
The Beautiful Country and the Middle Kingdom
Henry Holt
2016
[6]
웹사이트
沙光 丨 别不了,司徒雷登:以“滴水”之情相报“涌泉”之恩
https://mp.weixin.qq[...]
[7]
서적
The Beautiful Country and the Middle Kingdom
Henry Holt
2016
[8]
뉴스
J. Leighton Stuart Dead at 86; Ambassador to China 1946-1949
The New York Times
1962-09-20
[9]
웹사이트
Why Mr. Wen's Speech was bowdlerized. (In Chinese)
http://news.sohu.com[...]
[10]
웹사이트
教科书:删得掉的文字 删不掉的“秘密”
http://nf.nfdaily.cn[...]
[11]
서적
The Beautiful Country and the Middle Kingdom
2016
[12]
서적
The Forgotten Ambassador: The Reports of John Leighton Stuart, 1946-1949
Westview Press
1981
[13]
논문
Selected Works of Mao Tse-tung
https://www.marxists[...]
Foreign Languages Press
1969
[14]
뉴스
J. Leighton Stuart, Dead at 86
New York Times
1962-09-20
[15]
서적 #추정
Stuart
1954
[16]
웹사이트
U.S. diplomats' ashes go home to China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8-11-19
[17]
뉴스
John Leighton Stuart, China Expert, Is Buried There at Last
The New York Times
2008-11-19
[18]
뉴스
China-born US diplomat recognized decades after Chairman Mao
Global Times
2018-09-09
[19]
비디오
外交风云 (Diplomatic Situation)
https://www.youtube.[...]
2019
[20]
웹인용
The Indiana Gazette from Indiana, Pennsylvania • 31
https://www.newspape[...]
The Indiana Gazette # 추정
2024-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