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애국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애국주의는 '동포'를 의미하는 라틴어 'patriota'에서 유래한 용어로, 국가에 대한 헌신과 자긍심을 의미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국가 방어를 위한 시민의 의무로 여겨졌으며, 중세 시대에는 봉건 제도의 변화와 함께 조국 개념이 부활했다.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는 국가에 대한 충성이 강조되었으며, 사무엘 존슨은 '애국심'의 잘못된 사용을 비판하기도 했다. 애국심은 철학적,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 존재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해 애국심을 측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가별, 시대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국주의 -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는 사회주의 이념과 애국심을 결합하여 특정 국가의 노동 계급과 발전에 초점을 맞추는 이데올로기이지만, 국가주의적 변질과 민주주의적 가치와의 충돌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 애국주의 - 징고이즘
    맹목적인 애국주의와 호전성을 뜻하는 징고이즘은 1870년대 후반 영국에서 유행한 노래에서 유래되었으며, 정치적으로 이용되거나 민족주의, 포퓰리즘과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애국주의
지도
정의
의미자신의 나라에 대한 사랑과 헌신, 자부심을 느끼는 감정 또는 그에 따른 행위
특징충성심
헌신
애착
책임감
관련 개념
관련 개념국수주의
민족주의
시민 의식
국가주의
긍정적 측면
긍정적 측면사회 통합
공동체 의식 강화
국가 발전 동기 부여
사회적 책임감 증진
부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외부 집단에 대한 적대감
지나친 국수주의
전쟁과 폭력의 원인
소외 및 차별
애국심과 민족주의
공통점국가에 대한 사랑과 충성을 강조
집단 정체성의 중요성 강조
차이점애국심: 국가에 대한 애정과 헌신을 강조
민족주의: 민족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때로는 공격적인 성향을 보임
애국심의 역사
역사고대 사회부터 존재
현대 국가 형성과 함께 발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비판적 관점
비판애국심이 맹목적인 충성으로 이어질 수 있음
국가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비판을 억압할 수 있음
불평등과 억압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애국심의 표현
표현국기 게양
국가 제창
군 복무
국가 유공자 예우
자원봉사
세금 납부
국가 행사 참여

2. 용어

'애국심(patriotism)'이라는 단어는 '동포'를 뜻하는 라틴어 'patriotala'에서 유래했으며, 18세기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32] 한국어 '애국'이라는 단어는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일본서기』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애국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의미이다.

3. 역사

시민적 미덕과 집단적 헌신이라는 개념은 역사 전반에 걸쳐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발견할 수 있다.[4]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미국 식량청이 발행한 애국심 고취 포스터(1917)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미국 육군 모병 포스터(1917)

3. 1. 고대와 중세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 도시 국가(폴리스)에서는 시민들이 폴리스 간의 전쟁에서 병사로서 국가를 방어하는 것이 의무였다. 역사학자 에른스트 칸토로비치에 따르면, 애국심의 기원은 호라티우스 등의 시에서 볼 수 있는 "조국을 위해 죽는 것(Pro Patria Mori)"이라는 정형 표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한다.[33]

봉건제 하에서 병사의 자기희생은 군주에게 바쳐지는 것으로 이해되었지만, 12세기 이후 봉건제가 흔들리고 공동체가 인적 결합에서 영역적 결합으로 변화하면서 고전 고대의 조국 개념이 부활했다.[33] 조국은 기독교성지에 비유되었고, 왕권은 그 영역을 시각화하는 상징이 되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세속 세력과 대항하는 과정에서, 원래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나타내는 "신비체"라는 단어를 공동체를 유사하게 의인화한 개념을 표상하는 단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신비체는 "도덕적 정치체"라는 방어해야 할 단일한 신성한 질서로서 관념화되었고, 암흑시대 이후 사라졌던 국가에 대한 윤리적 가치와 도덕적 감정의 회복에 기여했다.[33]

3. 2. 계몽주의 시대

18세기 유럽의 계몽 사상가들은 가톨릭교회에 대한 충성보다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중시했다. 성직자들은 그들의 patrie|파트리프랑스어(사랑하는 나라)가 천국이기 때문에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들은 학생들에게 조국애를 불러일으킬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애국심 개념의 가장 영향력 있는 옹호자 중 한 명은 장-자크 루소였다.[1]

계몽 사상가들은 또한 그들이 보기에 과도한 애국심을 비판했다. 1774년, 새뮤얼 존슨은 거짓된 애국심이라고 생각한 것을 비판하는 ''The Patriot''을 출판했다. 1775년 4월 7일 저녁, 그는 "애국심은 악당의 마지막 피난처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5] 제임스 보스웰은 이 발언을 그의 ''존슨 전기''에서 보고했는데, 이 인용구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지 않았다. 존슨은 그가 "진정한" 애국심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다른 곳에서 옹호했다.[6]

3. 3. 미국

청교도들은 영국을 '새로운 이스라엘'로 여기는 개혁주의언약신학과 칼빈주의의 예정론을 결합한 독특한 애국관을 가졌다. 이들은 신대륙에서 신앙의 자유를 누릴 것을 기대하며, 미국을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나라라고 굳게 믿었다. 이러한 '선민사상'은 그들의 애국심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들은 국가보다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사랑과 순종을 우선시했다.[1]

미국 독립전쟁 몇 년 전부터 독립을 지향하는 애국주의자(패트리어트)와 영국에 충성하는 왕당파 간의 대립이 발생했다. 애국주의자들은 'Americans', 'Whigs(휘그 당원)', 'Congress-Men(대륙회의파)', 'Rebels(반역자)' 등으로 불렸다. 이들은 이민 150년이 지나면서 자주 독립 의식이 높아졌고, 영국 정부의 압력에 맞서 애국주의 집단을 형성했다.[2]

특히, 이들은 하나님의 섭리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것이라는 믿음과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가졌다. 존 윈스럽의 '언덕 위의 도시' 설교는 이러한 사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이들은 미국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는 생각을 품었다.[3]

4. 애국심의 철학적 문제

애국심은 국가종교와 연결되어 강화될 수 있지만, 이는 정교분리를 주장하는 계몽주의 사상과는 대립된다. 마이클 빌리그와 진 베스케 엘스타인은 애국심과 신앙의 구분이 모호하며, 주로 개인의 태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했다.[8]

크리스토퍼 히스 웰먼은 애국심을 동포에 대한 강한 의무와 외국인에 대한 최소한의 사마리아인 책임으로 정의했다. 그는 문화 집단이 아닌 영토적, 정치적 단위의 구성원을 구분하기 위해 이 입장을 "국가주의자"가 아닌 "애국자"라고 불렀다.[9]

조지 오웰은 그의 에세이 ''국가주의에 대한 단상''에서 애국심을 민족주의와 구분했다. 그는 애국심을 특정 장소와 삶의 방식에 대한 헌신으로, 자신이 세계 최고라고 믿지만 다른 사람에게 강요할 의향은 없는, 방어적이고 문화적인 개념으로 보았다. 반면 민족주의는 권력욕과 연결된다고 보았다.[10]

5. 애국심에 대한 비판

볼테르는 "훌륭한 애국자가 되려면 인류의 나머지 구성원들의 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슬픈 일이다."라고 말했다.[11]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가장 저렴한 자존심은 국가적 자존심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자신의 국가를 자랑스러워한다면, 그것은 그 사람에게 자랑스러워할 만한 자신의 자질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썼다.[12]

19세기 말/20세기 초 일본 무정부주의자 고토쿠 슈스이는 널리 읽힌 그의 저서 ''20세기의 괴물, 제국주의''의 상당 부분을 애국주의 비판에 할애했다.[13] 그는 애국주의가 우리가 본능적으로 공감할 다른 사람들을 비인간화하는 데 사용되며, 군국주의자들이 전쟁을 추진하는 데 이용하는 감정이라고 주장한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애국주의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취해왔다. 칼 마르크스는 "노동자에게는 조국이 없다"[14]라고 말했고, 트로츠키주의자인 앨런 우즈는 "모든 국경을 허물고 사회주의 세계 공동체를 만드는 것"을 지지한다.[15] 반면, 마르크스-레닌주의자와 마오이스트들은 일반적으로 한 국가 내 사회주의 이론에 기반한 사회주의적 애국주의를 지지한다.[16]

무정부주의자들은 애국주의에 반대한다.[18] 엠마 골드만은 자만심, 오만함, 이기심이 애국주의의 본질이라고 비판했다.[19]

6. 애국심의 왜곡

애국심은 때때로 왜곡되어 자신의 민족이나 국가만이 옳다는 배타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의 초기 정착민들이 인디언을 차별하고, 흑인 노예제를 정당화한 사례가 대표적이다.[1] One Nation Under God영어 (마크 놀, 9쪽)

7. 애국심 교육

=== 일본 ===

메이지 6년(1873년),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조선 왕조의 횡포에 분개하여 정한론을 주장하다가 "메이지 6년의 정변"으로 하야한 뒤, 이듬해(1874년) 1월 12일 "애국공당"을 조직하고 1월 17일 정부에 『민선의원설립건백서』를 제출했다.[36] 이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애국"이라는 이름을 내건 단체이자 정치결사였다.[36] 도야마 만의 현양사(현양사의 전신인 향양사)도 이 계통을 이어 자유민권운동의 결사로서 결성되었다.[36]

메이지 헌법은 유럽의 헌법을 참고하여 만들어졌지만, 기초자 중 한 명인 이노우에 쓰요시는 당시 일본에는 서양과 같은 애국관념이나 기독교에 해당하는 교화의 토대가 없었다고 말했다. 당시 계몽사상가들도 같은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메이지 헌법은 근대적인 국민 국가를 만들기 위해, 만세일계의 천황이라는 이데올로기를 국민 교육의 준거로 삼고, 국민에게 무사적 규범을 부여함으로써 신민으로서의 준법 정신과 충성심을 길러 국민의 협력 동심을 도모하는 "충군애국"이라는 모델을 구축했다.

헤이세이 18년(2006년) 12월 22일, 제1차 아베 내각(자민당·공명당 연립정권) 하에서 "교육기본법"이 개정되어, 그 안의 제2조 "교육의 목표" 중 하나로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고, 그것들을 길러 온 우리나라와 고향을 사랑하는 동시에, 다른 나라를 존중하고, 국제 사회의 평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라는 조항이 도입되었다.[37]

=== 중국 ===

중국에서 애국심은 조국과 고향을 사랑하는 자연스러운 감정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과 그 지배 체제를 사랑하는 마음[38]으로, 중국 공산당의 교육을 통해 길러진 감정이다. 따라서 중국에서 사용되는 애국 또는 애국심은 본래 의미의 애국심이 아니다.

문화대혁명 시절 중국에서는 직장이나 학교에서 모택동 사상의 일상적인 학습이 요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방홍, 사회주의는 좋다, 내가 좋아하는 천안문과 같이 모택동과 중국 공산당, 사회주의 사상 아래 건설된 "신중국"을 찬양하는 노래도 널리 불렸다. 1994년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가 "애국주의 교육 시행 요강"을 작성하여 애국심 교육이 제도화되었다.[39]

7. 1. 일본

메이지 6년(1873년),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조선 왕조의 횡포에 분개하여 정한론을 주장하다가 "메이지 6년의 정변"으로 하야한 뒤, 이듬해(1874년) 1월 12일 "애국공당"을 조직하고 1월 17일 정부에 『민선의원설립건백서』를 제출했다.[36] 이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애국"이라는 이름을 내건 단체이자 정치결사였다.[36] 도야마 만의 현양사(현양사의 전신인 향양사)도 이 계통을 이어 자유민권운동의 결사로서 결성되었다.[36]

메이지 헌법의 기초는 유럽의 헌법을 참고하여 이루어졌지만, 기초자 중 한 명인 이노우에 쓰요시는 당시 일본에는 서양과 같은 애국관념이나 기독교에 해당하는 교화의 토대가 없었다고 말했다. 당시 계몽사상가들도 같은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메이지 헌법은 근대적인 국민 국가를 만들기 위해, 만세일계의 천황이라는 이데올로기를 국민 교육의 준거로 삼고, 국민에게 무사적 규범을 부여함으로써 신민으로서의 준법 정신과 충성심을 길러 국민의 협력 동심을 도모하는 "충군애국"이라는 모델을 구축했다.

헤이세이 18년(2006년) 12월 22일, 제1차 아베 내각(자민당·공명당 연립정권) 하에서 "교육기본법"이 개정되어, 그 안의 제2조 "교육의 목표" 중 하나로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고, 그것들을 길러 온 우리나라와 고향을 사랑하는 동시에, 다른 나라를 존중하고, 국제 사회의 평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라는 조항이 도입되었다.[37]

7. 2. 중국

중국에서 애국심은 조국과 고향을 사랑하는 자연스러운 감정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과 그 지배 체제를 사랑하는 마음[38]으로, 중국 공산당의 교육을 통해 길러진 감정이다. 따라서 중국에서 사용되는 애국 또는 애국심은 본래 의미의 애국심이 아니다.

문화대혁명 시절 중국에서는 직장이나 학교에서 모택동 사상의 일상적인 학습이 요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방홍, 사회주의는 좋다, 내가 좋아하는 천안문과 같이 모택동과 중국 공산당, 사회주의 사상 아래 건설된 "신중국"을 찬양하는 노래도 널리 불렸다. 1994년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가 "애국주의 교육 시행 요강"을 작성하여 애국심 교육이 제도화되었다.[39]

8. 현대 사회의 애국심

여러 설문 조사에서 애국심을 측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국가별, 시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전쟁의 상관관계 프로젝트는 전쟁 성향과 애국심 사이에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의 애국심은 최고 수준이거나 거의 최고 수준이었다.[23] 2009년 아이덴티티 재단의 연구에 따르면, 독일 국민의 60%가 자신의 국가에 자부심을 느꼈다고 한다.[21]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그 수치는 83%에 달했다.[22] 2020년 퓨리서치센터 설문 조사에서는 독일 응답자의 53%가 자신의 국가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답했는데, 이는 프랑스(45%), 영국(41%), 미국(39%) 등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치였다.[23]

세계가치관조사는 1981년부터 국가적 가치관과 신념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국적]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1: 자랑스럽지 않음 ~ 4: 매우 자랑스러움)의 평균값을 통해 국가 간, 소득 수준 간 비교를 제공한다.[24]

2022년 갤럽(Gallup, Inc.)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 중 자신이 미국인임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한 비율이 최저치를 기록했다.[25]

유럽 연합(EU)에서는 주르겐 하버마스와 같은 사상가들이 "유럽 애국주의"를 주장하기도 했지만, 유럽에서 애국심은 여전히 국가(nation-state)를 향하는 경향이 강하며, "유럽 회의론"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20]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Enlightenment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2013-11-03
[2] 웹사이트 Patriotism https://plato.stanfo[...] 2013-11-03
[3] 학술지 The idea of patriotism during the first years of the French Revolution
[4] 웹사이트 Patriotism – 401 Words https://www.studymod[...] 2023-02-06
[5] 서적 The Life of Samuel Johnson https://archive.org/[...] The Modern Library
[6] 서적 Patriotism and Poetry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학술지 Cultural Nationalism in Herd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3-07-04
[8] 서적 Banal Nationalism Sage Publishers
[9] 서적 Liber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Essays on Citizenship and Sovereign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Essays https://archive.org/[...] Penguin
[11] 서적 A Philosophical Dictionary John & H.L. Hunt
[12] 서적 The Wisdom of Life, and Other Essays https://archive.org/[...] M. Walter Dunne
[13] 서적 Imperialism: Monster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s://theanarchist[...]
[14] 서적 Manifesto of the Communist Party Marxists.org 2013-11-03
[15] 웹사이트 Alan Woods outlines the resistance to capitalism at Montreal's Concordia University https://www.marxist.[...] 2012-11-02
[16]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ism, Volume II Academic Press
[17] 서적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18] 서적 Philosoph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19] 웹사이트 Patriotism: a menace to liberty https://theanarchist[...] 2022-12-21
[20] 간행물 The Return of Europe's Nation-States https://www.foreigna[...] Hein Company 2016-10-03
[2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24-08-01
[22] 웹사이트 Stolz Deutscher zu sein https://de.statista.[...] 2024-06-03
[23] 웹사이트 5. National pride and shame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24-06-03
[24] 논문 Patriotism in Your Portfolio https://deepblue.lib[...]
[25] 뉴스 Extreme Pride in Being American Remains Near Record Low https://news.gallup.[...] 2023-06-29
[26] 웹사이트 愛国心とは https://kotobank.jp/[...] 2022-07-18
[27] 웹사이트 http://dic.search.ya[...]
[28] 웹사이트 パトリオティズムとは https://kotobank.jp/[...] 2022-07-18
[29] 웹사이트 愛国主義とは https://kotobank.jp/[...] 2022-07-18
[30] 백과사전 pātrĭōta https://www.perseus.[...] 2023-09-23
[31] 백과사전 πατριώτης http://www.perseus.t[...] 2023-09-23
[3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3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Books.google.com 2013-11-03
[34] 텍스트
[35] 서적 The Life of Samuel Johnson Penguin Classics
[36] 웹사이트 『板垣精神 : 明治維新百五十年・板垣退助先生薨去百回忌記念』 https://ci.nii.ac.jp[...] 일반사단법인 板垣退助先生顕彰会 2019-02-11
[37] 웹사이트 改正前後の教育基本法の比較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06-12-19
[38] 웹사이트 愛国とは中国共産党を愛すること 香港の自治は骨抜きに: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07-17
[39] 간행물 中国の愛国主義教育に関する諸規定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04-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