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매크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매크레이는 캐나다의 군인이자 의사, 시인으로, 1872년 온타리오주 궬프에서 태어났다. 그는 제2차 보어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중 쓴 시 "플랑드르 들판에서"로 유명하다. 이 시는 전쟁의 비극과 희생을 묘사하며, 전후 추모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매크레이는 의학 교수로도 활동하며, 몬트리올 종합 병원 등에서 병리학자로 근무했다. 그는 캐나다 국립 역사 유적지 인물로 지정되었으며, 그의 출생지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존 매크레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존 매크레이는 온타리오주 궬프에서 스코틀랜드인 이민자의 후손으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데이비드 맥크레이 중령은 페니언 습격 당시 궬프 홈 가드에서 복무했으며, 궬프 시의회 의원이었다.[1] 그의 형 토마스 맥크레이 박사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되었고, 여동생 지일스는 매니토바 킹스 벤치 법원 판사와 결혼했다.[2]
매크레이는 궬프 컬리지에이트 직업학교를 졸업하고 토론토 대학교 장학금을 받았으나, 심한 천식으로 1년 휴학해야 했다.[3] 토론토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고 의학을 공부했으며, 의과 대학 시절 학비 마련을 위해 다른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그중 두 명은 온타리오 최초의 여성 의사가 되었다.[5]
1898년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토론토 종합 병원과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 레지던트 하우스 오피서로 근무했다.[6] 1901년부터 버몬트 대학교와 맥길 대학교에서 병리학 교수로 재직했다.[6] 1902년 몬트리올 종합 병원 레지던트 병리학자가 되었고, 로열 빅토리아 병원 부 병리학자를 거쳐 1904년 의학 부교수가 되었다.[6] 같은 해 영국 왕립 의사 협회 회원이 되기 위해 잉글랜드에서 공부했다.[6]
1905년 개인 병원을 개업하고 몬트리올 미숙아 및 유아 병원 병리학자로 임명되었으며, 1908년 알렉산드라 전염병 병원 의사가 되었다.[6] 1910년 캐나다 총독 그레이 백작의 허드슨 만 탐험에 동행했고, J. G. 아다미와 함께 ''대학 의학 학생을 위한 병리학 교과서''를 공동 저술했다.[7][8][9]
매크레이는 형수의 여동생에게 청혼했지만 거절당했다.[10] 그의 성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지만,[12] 매크레이가 동성애자였다는 증거는 없다.[11]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존 매크레이는 1872년 11월 30일 온타리오주 궬프의 맥크레이 하우스에서 스코틀랜드 이민자의 후손으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페니언 습격 당시 궬프 홈 가드에서 복무한 데이비드 맥크레이 중령이었다.[1] 그의 형 토마스 맥크레이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되었고, 여동생 지일스는 매니토바 킹스 벤치 법원 판사와 결혼했다.[2]매크레이는 궬프 컬리지에이트 직업학교를 졸업하고 16세에 토론토 대학교 장학금을 받았다.[3] 그러나 심한 천식으로 1년간 휴학해야 했다.[3] 1893년에는 온타리오주 킹스턴의 포병 훈련소에서 복무하며 로라 케인스에게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3]
1894년, 매크레이는 온타리오 농업 대학에서 영어와 수학을 가르쳤다.[4] 이후 토론토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고, 다시 의학을 공부했다.[4] 의과 대학 시절, 그는 학비 마련을 위해 다른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그중 두 명은 온타리오 최초의 여성 의사가 되었다.[5]
2. 2. 의사로서의 경력
맥크레이는 1898년에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토론토 종합 병원과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 레지던트 하우스 오피서로 근무했다.[6] 1901년에는 버몬트 대학교와 맥길 대학교에서 병리학 교수로 재직했다.[6]1902년, 맥크레이는 몬트리올 종합 병원의 레지던트 병리학자가 되었고, 이후 로열 빅토리아 병원의 부 병리학자가 되었다.[6] 1904년에는 영국 왕립 의사 협회의 회원이 되기 위해 잉글랜드에서 공부했다.[6]
1905년, 맥크레이는 개인 병원을 개업하고, 몬트리올 미숙아 및 유아 병원의 병리학자로 임명되었다.[6] 1908년에는 알렉산드라 전염병 병원의 의사로 임명되었다.[6]
1910년, 맥크레이는 캐나다 총독인 그레이 백작의 허드슨 만 탐험에 동행했다.[7] 그는 J. G. 아다미와 함께 의학 교과서인 ''대학 의학 학생을 위한 병리학 교과서'' (1912; 제2판, 1914)를 공동 저술했다.[8][9]
2. 3. 군 복무
존 매크레이는 아버지 데이비드 매크레이 중령의 영향으로 어릴 적부터 군인의 꿈을 키웠다. 그의 아버지는 페니언 습격에 참전했으며, 1870년대부터 1890년대까지 귈프 야전 포병대를 지휘했다. 1886년, 14세의 매크레이는 궬프 하이랜드 사관 생도대에 입대하여 이듬해 온타리오 최고의 사관 생도로 선정되었다. 1887년에는 아버지 부대에 나팔수로 합류했고, 이후 포병으로 복무했다.[1]1890년대에도 민병대에 복무하며 1891년 귈프 포병대 군수 상사가 되었고, 1896년에는 소위로 진급했다. 1899년 12월, 제2차 보어 전쟁이 발발하자 매크레이는 남아프리카에서 복무하기 위해 자원했다.
2. 3. 1. 초기 군 복무
존 매크레이는 아버지 데이비드 매크레이 중령의 영향으로 어릴 적부터 군인의 꿈을 키웠다. 그의 아버지는 페니언 습격에 참전했으며, 1870년대부터 1890년대까지 귈프 야전 포병대를 지휘했다. 1886년, 14세의 매크레이는 궬프 하이랜드 사관 생도대에 입대하여 이듬해 온타리오 최고의 사관 생도로 선정되었다. 1887년에는 아버지 부대에 나팔수로 합류했고, 이후 포병으로 복무했다.[1]1890년대에도 민병대에 복무하며 1891년 귈프 포병대 군수 상사가 되었고, 1896년에는 소위로 진급했다. 1899년 12월, 제2차 보어 전쟁 발발하자 캐나다 야전 포병대 'D' 포대 소위로 남아프리카에서 복무했다. E.W.B. 모리슨이 제1포대를 지휘하는 동안 매크레이는 'D' 포대의 제2포대(우측)를 맡았다. 1900년 2월 케이프타운에 도착한 이들은 카나번 원정과 1900년 8월 베르겐달 전투 등 오렌지 자유국과 트란스발 공화국에서 여러 전투를 치렀다.[1] 1900년 말 귀국한 매크레이는 이 공로로 세 개의 죔쇠가 달린 퀸스 남아프리카 메달을 받았다.[1]
1901년, 매크레이는 캐나다 야전 포병대 제16포대의 대위로 진급했고, 1902년에는 제1포병 여단의 소령이 되었다. 1904년에는 현역 민병대에서 사임하고 예비역 소령이 되었다.[1]
2. 3. 2. 보어 전쟁 참전
1899년 12월, 제2차 보어 전쟁이 발발하자 매크레이는 캐나다 왕립 포병 연대 'D' 포대의 소위로 남아프리카에서 복무하기 위해 자원했다. E.W.B. 모리슨이 제1포대를 지휘하는 동안 매크레이는 'D' 포대의 제2포대(우측)를 맡았다.[1] 1900년 2월 케이프타운에 도착한 이들은 카나번 원정과 1900년 8월 베르겐달 전투를 포함하여 오렌지 자유국과 트란스발 공화국에서 여러 소규모 전투에 참전했다.[1]1900년 말, 매크레이는 귀국하여 이 전쟁에서의 공로로 세 개의 죔쇠가 달린 퀸스 남아프리카 메달을 받았다.[1] 1901년, 그는 제16포대, 캐나다 야전 포병대의 대위로 진급했고,[1] 1902년에는 제1포병 여단의 소령으로 진급했다.[1] 1904년, 그는 현역 민병대 직책에서 사임하고 예비 장교단에 배치되었다.[1]
2. 3.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이 독일 제국의 벨기에 침공을 이유로 선전포고를 하면서 영국 제국의 자치령이었던 캐나다도 참전했다. 매크레이는 41세의 나이로 자원 입대하여 캐나다 야전 포병 제1여단의 군의관(소령)으로 복무했다.[14] 그는 친구에게 "정말 두렵지만, 양심에 따라 집에 있는 것보다 더 두렵습니다."라고 썼다.[13]
1915년 제2차 이프르 전투에서 매크레이는 이저 운하 제방 뒤에 급하게 판 벙커에서 부상병들을 치료했다.[15] 이 전투에서 전사한 친구 알렉시스 헬머 중위[16]를 추모하며 1915년 5월 3일에 "플랑드르 들판에서"를 썼다.
1915년 6월부터 매크레이는 포병대에서 해임되어 프랑스 북부 불로뉴쉬르메르 근처 단-카미에에 제3 캐나다 종합 병원 설립에 참여했다. 8개월 동안 두르바르 텐트(보팔의 베검이 기증)에서 운영되었지만,[17] 폭풍, 홍수, 서리 피해를 겪은 후 1916년 2월 불로뉴쉬르메르의 옛 예수회 대학 건물로 이전했다. C. L. C. 앨리슨은 매크레이가 "군인답지 않게 의료 부서로 전출되어 그가 가장 사랑하는 대포에서 멀어지게 된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나에게] 말했다"고 전하며, "앨리슨, 세상의 모든 빌어먹을 의사들이 이 피비린내 나는 전쟁에서 이기지 못할 거야.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점점 더 많은 전투 병력이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17]
"플랑드르 들판에서"는 1915년 12월 8일 ''펀치''에 익명으로 처음 등장했지만,[18] 그 해 색인에서 매크레이는 작가로 이름이 올려졌다(McCree로 잘못 표기).[19] 이 시는 전쟁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시 중 하나가 되었고, 수많은 기금 모금 캠페인에 사용되었으며 자주 번역되었다 ( 라틴어 버전은 'In agro belgico...'로 시작한다).[20]
1918년 1월 28일, 불로뉴에서 제3 캐나다 종합 병원(맥길)을 지휘하던 매크레이는 폐렴과 "광범위한 폐렴구균 수막염"[23]으로 프랑스 위메뢰의 영국 종합 병원에서 사망했다. 그는 다음 날 위메뢰 묘지의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 구역에 정식 군례를 갖춰 매장되었다.[24][25] 그의 깃발로 덮인 관은 포차 및 탄약차에 실려 운반되었고, 아서 커리 장군을 포함한 조문객들은 매크레이의 군마 "본파이어"가 그의 발걸이에 거꾸로 매달린 부츠를 한 채 앞장섰다. 본파이어는 퀘벡 발카르티에에서 그의 죽음까지 매크레이와 함께 했다.[15][25] 매크레이의 묘비는 불안정한 모래 토양 때문에 다른 묘비와 마찬가지로 평평하게 놓여 있다.[26]
3. "플랑드르 들판에서"
존 매크레이의 시 "플랜더스 들판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가장 유명한 시 중 하나로, 전쟁의 참상과 희생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15년 12월 8일, '펀치'에 처음 게재되었을 때는 작가 미상이었으나, 연말 색인에서 매크레이의 이름이 McCree로 오기되어 알려졌다.[54][55] 이 시는 전쟁 채권 모금 운동에 널리 사용되었고, 여러 외국어로 번역되었다.[56]
3. 1. 창작 배경
이 시의 영감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있지만, 가장 유력한 설은 매크레이가 1915년 5월 3일에 "플랜더스 들판에서"를 썼다는 것이다. 그는 제2차 이프르 전투에서 전사한 친구 알렉시스 헬머 중위의 장례식을 치른 다음 날이었다. 이 시는 이프르 북쪽 에섹스 농장 근처의 야전 의료 구급차 뒤에 앉아 썼다.[28] 시의 핵심 특징인 개양귀비는 플랜더스 전장과 묘지의 훼손된 땅에서 대량으로 자랐다. 캐나다 재향 군인 관리국(Veteran's Administration Canada)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28]
> 그가 유명한 시를 쓰기 전날, 매크레이의 가장 가까운 친구 중 한 명이 전투에서 사망하여 간단한 나무 십자가가 있는 임시 무덤에 묻혔다. 야생 양귀비가 이미 많은 무덤을 표시하는 십자가 사이에서 피어나기 시작했다.
캐나다 정부는 에섹스 농장 묘지에 있는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 묘지 옆에 "플랜더스 들판에서"가 있는 존 매크레이 기념비를 세웠다. 벨기에 정부는 이 부지를 존 매크레이 기념관으로 명명했다.[29]
3. 2. 내용 및 영향
존 매크레이의 시집 ''플랜더스 들판에서와 기타 시''[27](1918)는 그가 죽은 후에 출판되었다.
'''플랜더스 들판에서'''
플랜더스 들판에서 양귀비꽃이 피어나네
십자가 사이사이, 줄지어 늘어선 곳,
그곳에 우리의 자리가 있고, 하늘에서는
종달새가 용감하게 노래하며 날아오르네
아래 총소리 속에서 거의 들리지 않네.
우리는 죽은 자들, 며칠 전만 해도
우리는 살았고, 새벽을 느꼈고, 저녁 노을을 보았네,
사랑했고 사랑받았네, 그리고 이제 우리는 누워있네
플랜더스 들판에.
적과 우리의 싸움을 이어가라:
넘어가는 우리 손에서 너희에게 던지네
횃불을; 너희의 것이 되어 높이 들어 올려라.
만약 너희가 죽은 우리와의 약속을 깨뜨린다면
우리는 잠들지 못하리, 비록 양귀비가 피어날지라도
플랜더스 들판에.

이 시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2차 이프르 전투에서 전사한 친구 알렉시스 헬머 중위의 장례식을 치른 다음 날인 1915년 5월 3일에 쓰였다. 매크레이는 이프르 북쪽 에섹스 농장 근처의 야전 의료 구급차 뒤에 앉아 이 시를 썼다. 시의 핵심 소재인 개양귀비는 플랜더스 전장과 묘지의 훼손된 땅에서 많이 자랐다. 캐나다 재향 군인 관리국(Veteran's Administration Canada)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28]
캐나다 정부는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의 에섹스 농장 묘지 옆 진료소 부지에 "플랜더스 들판에서"가 새겨진 존 매크레이 기념비를 세웠다. 벨기에 정부는 이 부지를 "존 매크레이 기념관"으로 명명했다.[29]
1915년 12월 8일, '플랜더스 들판에서'는 잡지 '펀치'에 익명으로 처음 게재되었으나,[54] 그 해 말 색인에는 매크레이의 이름이 McCree로 잘못 표기되었다.[55] 이 시는 전쟁시 중 가장 유명한 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전쟁 모금 운동에 널리 사용되었고, 여러 외국어로 번역되었다.[56] 매크레이는 "그들이 'In F.F.'(플랜더스 들판에서)를 제대로 인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의 전기 작가는 "그는 사람들이 이 시를 통해 자신들의 의무가 무엇인지 알게 된다면 만족했을 것이다"라고 썼다.[58]
3. 3. 한국과의 관계
존 매크레이는 한국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그의 시 〈개양귀비 들판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쳐 한국의 독립 운동과 6.25 전쟁 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 시는 전쟁의 비극과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인들에게도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메시지를 전달한다.4. 유산
존 매크레이는 1946년에 캐나다 국립 역사 유적지 인물로 지정되었다.[31] 캐나다 의사 협회는 모범적인 복무를 한 캐나다군 의료 서비스 구성원에게 존 매크레이 기념 메달을 수여한다.[30]
그의 출생지인 온타리오주 궬프의 맥크레이 하우스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캐나다 전쟁 박물관에는 존 매크레이 중령 갤러리가 있다. 그의 이름을 딴 학교, 공원, 거리 등이 캐나다 곳곳에 존재한다. 오타와에는 존 맥크레이 중등학교가 있다.
2015년 5월, 오타와 온타리오의 리도 강에 있는 그린 아일랜드 (리도 강)에 루스 에버네티의 맥크레이 동상이 세워졌다. 맥크레이는 포병 장교 복장을 하고 옆에는 그의 의료 가방이 놓여 있으며, 그는 글을 쓰고 있다. 이 동상은 전장의 파괴를 보여주며, 그의 발 아래에는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모든 무력 충돌을 기념하는 상징인 양귀비가 있다. 그 동상의 사본이 2015년 구엘프 시립 박물관에 세워졌다.
벨기에 이프르 시의 이프르 포목 공회당에는 "플랑드르 들판 박물관"이라는 영구적인 전쟁 박물관이 있으며, 이 박물관은 그의 시 플랑드르 들판에서에서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3]
참조
[1]
웹사이트
Father and grandfather of Colonel John McCrae were prominent
https://www.wellingt[...]
2022-02-17
[2]
서적
A Crown of Life: The World of John McCrae
Spellmount
1997
[3]
웹사이트
John McCrae - Veterans Affairs Canada
https://www.veterans[...]
2020-01-23
[4]
문서
Peddie
[5]
웹사이트
The Early Years
https://www.veterans[...]
Veteran Affairs Canada
2008-12-06
[6]
문서
"A Cyclopedia of American Medical Biography"
1920
[7]
편지
https://guelphmuseum[...]
2023-07-09
[8]
웹사이트
About • UCM
https://ucmontreal.c[...]
[9]
웹사이트
The University Club of Montreal
https://rnwilkins.wo[...]
2014-01-21
[10]
뉴스
John McCrae was a man of letters — and the letters show he was a ladies' man
https://www.guelphme[...]
2013-06-18
[11]
뉴스
Sexual preference of John McCrae questioned by museum
https://www.thespec.[...]
2011-07-27
[12]
웹사이트
Unlocking gay secrets: Bytown Museum uncovers little-known treasures
https://xtramagazine[...]
2011-06-27
[13]
Britannica
In Flanders Fields | poem by McCra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14]
서적
A Crown of Life: The World of John McCrae
Spellmount
1997
[15]
문서
Bonfire – The Chestnut Gentleman
2012
[16]
웹사이트
Casualty Details Helmer, Alexis Hannum
http://www.cwgc.org/[...]
Commonwealth War Graves Commission
[17]
문서
Prescott
[18]
잡지
In Flanders Fields
https://archive.org/[...]
Punch Office
2021-05-03
[19]
잡지
Index
https://archive.org/[...]
Punch Office
2021-05-03
[20]
문서
America's answer to Flanders' Fields
https://www.loc.gov/[...]
1918
[21]
문서
Prescott
[22]
문서
Prescott
[23]
문서
Holt
[24]
웹사이트
CWGC: John McCrae
http://www.cwgc.org/[...]
[25]
문서
Busch, p. 75; Holt, p. 62. Prescott, p. 129.
[26]
문서
Busch
[27]
서적
In Flanders Fields, and Other Poems
[28]
웹사이트
In memory of Lieutenant Colonel John McCrae
https://www.veterans[...]
VAC
2019-12-11
[29]
웹사이트
ESSEX FARM CEMETERY
https://www.cwgc.org[...]
CWGC
2019-12-11
[30]
웹사이트
John McCrae Memorial Medal
https://www.cma.ca/j[...]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31]
웹사이트
Lieutenant-Colonel John McCrae National Historic Person (1872-1918)
https://parks.canada[...]
Parks Canada
2024-04-23
[32]
악보
In Flanders Fields the poppies grow
G. Schirmer
1918
[33]
웹사이트
In Flanders Fields
http://www.inflander[...]
[34]
기사
Mentioned in Despatches – the Flemish Harvest revisited
2007-07
[35]
웹사이트
Lt. Col. John McCrae, M.D. plaque
http://www.cmp-cpm.f[...]
[36]
서적
British Columbia Place Names
https://archive.org/[...]
UBC Press
[37]
웹사이트
Father and grandfather of Colonel John McCrae were prominent
https://www.wellingt[...]
2022-02-17
[38]
서적
A Crown of Life: The World of John McCrae
Spellmount
1997
[39]
웹사이트
John McCrae - Veterans Affairs Canada
https://www.veterans[...]
2024-04-11
[40]
문서
Peddie
[41]
웹사이트
The Early Years
https://www.veterans[...]
Veteran Affairs Canada
2008-12-06
[42]
문서
"A Cyclopedia of American Medical Biography"
[43]
간행물
https://guelphmuseum[...]
2023-07-09
[44]
웹사이트
About • UCM
https://ucmontreal.c[...]
2024-04-13
[45]
웹사이트
The University Club of Montreal
https://rnwilkins.wo[...]
2024-04-13
[46]
뉴스
John McCrae was a man of letters — and the letters show he was a ladies' man
https://www.guelphme[...]
2024-04-13
[47]
뉴스
Sexual preference of John McCrae questioned by museum
https://www.thespec.[...]
2024-04-13
[48]
웹사이트
Unlocking gay secrets: Bytown Museum uncovers little-known treasures
https://xtramagazine[...]
2024-04-13
[49]
웹사이트
In Flanders Fields | poem by McCra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50]
서적
A Crown of Life: The World of John McCrae
Spellmount
1997
[51]
문서
Bonfire – The Chestnut Gentleman
[52]
웹사이트
Casualty Details Helmer, Alexis Hannum
http://www.cwgc.org/[...]
Commonwealth War Graves Commission
2024-04-14
[53]
문서
Prescott
[54]
잡지
In Flanders Fields
https://archive.org/[...]
Punch Office
2021-05-03
[55]
잡지
Index
https://archive.org/[...]
Punch Office
2021-05-03
[56]
문서
America's answer to Flanders' Fields
https://www.loc.gov/[...]
[57]
문서
Prescott
[58]
문서
Prescott
[59]
문서
Holt
[60]
웹사이트
CWGC: John McCrae
http://www.cwgc.org/[...]
[61]
문서
Busch
[62]
문서
Busch
[63]
서적
In Flanders Fields, and Other Poems
http://www.gutenberg[...]
[64]
웹사이트
In memory of Lieutenant Colonel John McCrae
https://www.veterans[...]
VAC
2019-12-11
[65]
웹사이트
ESSEX FARM CEMETERY
https://www.cwgc.org[...]
CWGC
2019-12-11
[66]
웹사이트
John McCrae Memorial Medal
https://www.cma.ca/j[...]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2024-04-23
[67]
웹사이트
Lieutenant-Colonel John McCrae National Historic Person (1872-1918)
https://parks.canada[...]
Parks Canada
2024-04-23
[68]
문서
In Flanders Fields the poppies grow
G. Schirmer
[69]
웹사이트
"In Flanders Fields"
http://www.inflander[...]
[70]
간행물
Mentioned in Despatches – the Flemish Harvest revisited
2007-07
[71]
Webarchive
https://web.archive.[...]
2012-09-11
[72]
Citation
British Columbia Place Names
https://archive.org/[...]
UB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