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윌리엄슨 네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윌리엄슨 네빈은 스코틀랜드 혈통과 장로교 교육을 받은 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웨스턴 신학교, 머서스버그 신학대학원, 프랭클린 앤드 마셜 칼리지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교육 활동을 펼쳤다. 네안더의 영향을 받아 청교도적 장로교주의에서 벗어나 독일 개혁 교회로 옮겨갔으며, 성찬에서의 "영적 실재 임재" 교리를 옹호하며 논쟁을 벌였다. 그는 또한 '머서스버그 리뷰'를 창간하고, 마셜 칼리지 총장, 프랭클린 앤드 마셜 칼리지 총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신비로운 임재', '불안한 벤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린스턴 신학교 동문 - 윤철호
    대한민국의 조직신학자이자 목사인 윤철호는 개혁교 전통을 존중하면서 에큐메니칼 영성을 추구하며, 과학기술과의 대화를 통해 시대에 맞는 신학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교수이다.
  • 프린스턴 신학교 동문 - 장상
    장상은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졸업 후 신학을 전공, 이화여대 총장을 지낸 교육자이자, 국무총리 서리 지명 후 사퇴, 민주당 입당 등의 정치 활동을 거쳐 현재는 목사로 활동 중인 인물이다.
  • 1886년 사망 - 프란츠 리스트
    프란츠 리스트는 19세기 헝가리 출신의 "피아노의 왕"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혁신적인 기법과 화려한 연주, 교향시 창시, 표제음악 발전, 바그너 지원, 종교 음악 작곡, 후진 양성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6년 사망 - 레오폴트 폰 랑케
    레오폴트 폰 랑케는 19세기 독일의 역사가이자 실증주의 역사학의 선구자로, 사료 비판을 통한 객관적인 역사 서술을 강조했으며, 베를린 대학교 교수로서 세미나 시스템을 통해 사료 분석 및 해석 방법을 가르치고 다양한 역사서를 저술하여 역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03년 출생 - 프로스페르 메리메
    프로스페르 메리메는 19세기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 역사가, 고고학자, 프랑스 역사 유적 감독관으로, 단편소설 《카르멘》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역사 소설과 단편 소설로 문학적 명성을 얻었고 프랑스 건축 유산 보존에 기여했으며 러시아 문학 번역에도 기여한, 낭만주의와 사실주의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스타일의 작가이다.
  • 1803년 출생 - 최한기
    최한기는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기철학자로, 과거 급제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경험론적 사상을 바탕으로 천문학, 지리학, 수학, 사회 개혁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진보적인 사상을 제시하며 실학의 결실 및 개화 사상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존 윌리엄슨 네빈
기본 정보
출생1803년 2월 20일
사망1886년 6월 6일 (83세)
국적미국
직업신학자, 교육자, 작가
종교개신교
교육
학력유니언 칼리지 (학사)
프린스턴 신학교 (신학 학사)
경력
직책머서스버그 신학교 신학 교수
머서스버그 대학 총장

2. 경력

존 윌리엄슨 네빈은 1821년 유니온 칼리지를 졸업하고, 1823년부터 1828년까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1826년부터 1828년까지는 찰스 호지의 강의를 맡기도 했다.[1] 1828년에는 칼라일 장로회에서 설교 허가를 받았다.[1]

1830년부터 1840년까지 펜실베이니아주 앨러게니에 있는 웨스턴 신학대학원(현재의 피츠버그 신학대학원)에서 성서 문학 교수를 지냈으나, 네안더의 영향으로 점차 "청교도적 장로교"에서 벗어나게 되었다.[1] 1840년 웨스턴 신학대학원 교수직을 사임하고 펜실베이니아주 머서스버그에 있는 (독일 개혁) 신학대학원의 신학 교수로 임명되어 장로교회에서 독일 개혁 교회로 옮겨갔다.[1]

1841년부터 1853년까지 머서스버그의 마셜 칼리지 총장을 역임했으며, 1851년에는 머서스버그 신학대학원의 운영비를 줄이기 위해 신학대학원 교수직을 사임하였다. 1861년부터 1866년까지는 프랭클린 앤드 마셜 칼리지에서 역사 강사로 활동했으며, 1866년부터 1876년까지 이 대학의 총장을 지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존 윌리엄슨 네빈은 노스캐롤라이나의 휴 윌리엄슨의 조카였으며, 스코틀랜드 혈통과 장로교 교육을 받았다.[1] 1821년 유니온 칼리지를 졸업했고, 1823년부터 1828년까지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1826년부터 1828년까지는 찰스 호지의 강의를 맡기도 했다.[1] 1828년에는 칼라일 장로회에서 설교 허가를 받았다.[1]

1830년부터 1840년까지는 펜실베이니아주 앨러게니에 있는 웨스턴 신학대학원(현재의 피츠버그 신학대학원)에서 성서 문학 교수를 지냈다.[1] 하지만 네안더의 영향으로 점차 "청교도적 장로교"에서 벗어나게 되었다.[1]

2. 2. 신학적 발전과 머서스버그 신학

존 윌리엄슨 네빈은 네안더의 영향으로 점차 "청교도적 장로교주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1] 1840년 펜실베이니아주 앨러게니에 있는 웨스턴 신학대학원(현재의 피츠버그 신학대학원) 교수직을 사임하고 펜실베이니아주 머서스버그에 있는 (독일 개혁) 신학대학원의 신학 교수로 임명되어 장로교회에서 독일 개혁 교회로 옮겨갔다.[1]

그는 기관지인 ''메신저''에 기고했고, ''불안한 벤치 - 시대의 팜플렛''(1843)을 발표하여 부흥 운동의 악성 과잉을 공격했다. 동료 필립 샤프가 한 취임 연설 ''프로테스탄티즘의 원리''를 옹호했는데, 이 연설은 바울주의적 프로테스탄티즘이 교회의 발전에 있어서 마지막 말이 아니라 요한계 기독교가 그 결과가 될 것이라는 제안과, 베드로적 로마주의를 교회 발전의 한 단계로 인정한 것에 대한 거센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샤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원리''에 대한 122개의 명제에 네빈은 그리스도와 신자들 사이의 신비적 연합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추가했고, 샤프와 네빈은 모두 "로마주의 경향"이라는 비난을 받았다.[1][2]

네빈은 자신의 비판자들을 가짜 프로테스탄트라고 묘사했고, (찰스 호지와 함께 장로교 총회에 반대하여) 로마 가톨릭 세례의 유효성을 주장했으며, 특히 ''신비적 임재: 성찬에 대한 개혁 또는 칼뱅주의 교리의 변호''(1846)에서 그리스도의 성찬에서의 "영적 실재 임재" 교리를 옹호했다. 이에 찰스 호지는 1848년 ''프린스턴 리뷰''에서 합리주의적 청교도주의 관점에서 반박했다.[1]

1849년에는 네빈과 "머서스버그 신학"의 기관지인 ''머서스버그 리뷰''가 창간되었고, 그는 1849년부터 1883년까지 이 잡지에 기고했다.[1]

2. 3. 교육 활동

존 윌리엄슨 네빈은 1821년 유니온 칼리지를 졸업하고, 1823년부터 1828년까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1826년부터 1828년까지는 찰스 핫지가 자리를 비운 사이 그의 강의를 맡기도 했다. 1828년에는 칼라일 장로회에서 설교 허가를 받았다.

1830년부터 1840년까지는 펜실베이니아주 앨러게니에 새로 설립된 웨스턴 신학교 (현재의 피츠버그 신학교)에서 성서 문학 교수로 재직했다. 하지만 네안더의 영향으로 점차 "청교도적 장로교"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1840년 앨러게니에서 교직을 사임하고 펜실베이니아주 머서스버그에 있는 (독일 개혁) 신학대학원의 신학 교수로 임명되어 장로교회에서 독일 개혁 교회로 옮겨갔다.

1841년부터 1853년까지는 머서스버그의 마셜 칼리지 총장을 역임했다. 1851년에는 머서스버그 신학대학원의 운영비를 줄이기 위해 신학대학원 교수직을 사임하였다.

1861년부터 1866년까지는 프랭클린 앤드 마셜 칼리지에서 역사 강사로 활동했으며, 1866년부터 1876년까지 이 대학의 총장을 지냈다.

3. 성찬 논쟁

그는 저서 《The Mystical Presence: a Vindication of the Reformed or Calvinistic Doctrine of the Holy Eucharist(1846)》에서 성만찬에서의 "그리스도의 영적인 실재 임재"를 주장하였다. 이로 인해 필립 샤프와 함께 "가톨릭적인 경향"으로 정죄받기도 하였다. 찰스 핫지와 이 문제로 논쟁을 벌였으며, 핫지는 "개혁교회들은 울리히 츠빙글리의 기념설부터 장 칼뱅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하고 신앙고백서들은 타협적 문서"라고 주장하였다.

로버트 레담은 네빈이 미국 개신교의 개인주의에 거의 홀로 반대하며, 성례와 교회를 무시하는 미국 복음주의 개신교를 질타했다고 주장하였다.[2]

4. 머서스버그 신학에 대한 비판

그는 저서 《The Mystical Presence: a Vindication of the Reformed or Calvinistic Doctrine of the Holy Eucharist》(1846)에서 성만찬 때 "그리스도의 영적인 실재 임재"를 주장하였다. 이 때문에 필립 샤프와 함께 "가톨릭적인 경향"으로 정죄받기도 하였다. 이 문제로 찰스 핫지와 논쟁을 벌였으며, 핫지는 "개혁교회들은 울리히 츠빙글리의 기념설부터 장 칼뱅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하고 신앙고백서들은 타협적 문서"라고 주장하였다.

로버트 레담은 네빈이 미국 개신교의 개인주의에 거의 홀로 반대하며, 성례와 교회를 무시하는 미국 복음주의 개신교를 질타했다고 주장하였다.[2]

5. 저서

제목출판 연도
성스러운 음악에 대한 연설1827년
신의 채찍: 설교1832년
불안한 벤치—시대의 팜플렛1843년
신비로운 임재: 개혁 혹은 칼빈주의 성찬 교리의 변호1846년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와 천재성1847년
성경 고고학 요약; 학교, 성경 수업 및 가족을 위해1849년
인간의 자유와 철학 옹호: 두 개의 에세이1850년
인간의 진정한 운명1853년
프레데릭 아우구스투스 라우흐의 삶과 성격1859년
전례 문제: 독일 개혁 교회의 임시 전례와 관련하여1862년
머서스버그 신학 논문; 또는, 머서스버그와 현대 신학1866년
개정 전례의 변호, 역사적 및 신학적1867년



'''머서스버그 신학 연구 시리즈'''

제목
v. 1신비로운 임재와 성찬에 대한 개혁 교회의 교리
v. 2코에나 미스티카: 개혁 성찬 신학 논쟁
v. 4육화된 말씀: 기독론에 관한 선별된 저술
v. 6물과 성령으로 태어남: 성례전과 기독교 형성에 관한 에세이
v. 3교회의 발전: "프로테스탄티즘의 원리"와 필립 샤프의 기타 역사적 저술
v. 5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적이고, 사도적인, 1권: 네빈의 교회론에 관한 저술 (1844–1849)
v. 7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적이고, 사도적인, 2권: 네빈의 교회론에 관한 저술 (1851–1858)
v. 8초기 신조: 머서스버그 신학자들은 신조 유산을 차용한다
v. 10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독일 개혁 전통에 대한 머서스버그의 이해
v. 11철학과 현대 세계: 머서스버그, 문화 및 교회
v. 12미국 프로테스탄티즘에서 가톨릭성의 회복: 교회 역사 에세이


참조

[1] 서적 American women sculptors : a history of women working in three dimensions https://www.worldcat[...] G.K. Hall 1990
[2] 웹인용 ‘주의 만찬’에 대한 찰스 하지와 존 네빈의 논쟁 https://www.christia[...] 2021-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