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패티투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패티투치는 미국의 재즈 베이시스트이다. 1959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나 10세에 일렉트릭 베이스를 시작으로 어쿠스틱 베이스, 피아노를 연주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칙 코리아의 일렉트릭 밴드, 어쿠스틱 밴드, 콰르텟 멤버로 활동했으며, 이후 자신의 밴드와 세션 활동을 병행했다. 2000년대에는 웨인 쇼터 콰르텟, 허비 행콕 등과 협연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가들과 교류했다. 그는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교직을 맡고 있으며, 버클리 음악 대학의 레지던트 아티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롱비치 동문 - 클래런스 길리어드
클래런스 길리어드는 미국의 배우이자 네바다 대학교 라스베이거스 캠퍼스 교수였으며, 《다이하드》의 테오, 《매트락》의 콘래드 맥마스터, 《워커, 텍사스 레인저》의 제임스 "지미" 트리벳 역할 등으로 유명하다. -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롱비치 동문 - 조 존스턴
조 존스턴은 시각 디자이너로 영화계에 입문하여 특수 효과 아티스트로 활동하며 아카데미 시각효과상을 수상했고, 《애들이 줄었어요》로 감독 데뷔 후 여러 흥행작을 연출하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도 참여했다. -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동문 - 조지 듀크
조지 듀크는 재즈, 펑크, 소울 음악가이자 키보드 연주자, 작곡가, 프로듀서로서, 프랭크 자파, 캐논볼 애덜리와 협연하고 클라크/듀크 프로젝트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디안 리브스, 제프리 오스본 등의 앨범을 제작하고 넬슨 만델라 70세 생일 기념 콘서트 음악 감독을 맡았으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2회 수상했다. -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동문 - 앤 라이스
앤 라이스는 고딕적 상상력과 퇴폐적인 분위기로 특징지어지는 작품들을 통해 1억 3천 6백만 부 이상의 책을 판매한 미국의 작가로, 대표작인 『뱀파이어 연대기』 시리즈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집필했으며, 2021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미국의 음악가 - B.B. 킹
블루스의 왕으로 불리는 B.B. 킹은 미시시피 출신의 블루스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로, 멤피스 디스크자키 활동을 통해 음악 경력을 쌓았으며, 독특한 기타 연주와 소울풀한 보컬로 블루스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음악가 - 제프 하디
제프 하디는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로, 형 맷 하디와 함께 태그팀으로 활동하며 WWE와 TNA에서 태그팀 챔피언을 여러 차례 차지했고, 싱글 선수로도 WWE 챔피언십,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등 다수의 월드 챔피언십을 획득했으며 WWE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고난도 기술과 독특한 페이스 페인팅으로 유명한 음악 활동도 하는 선수이다.
존 패티투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존 제임스 파티투치 |
출생일 | 1959년 12월 22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브루클린 |
활동 기간 | 1980년–현재 |
장르 | 재즈 재즈 퓨전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
악기 | 더블 베이스 베이스 기타 |
레이블 | GRP 스트레치 콩코드 재즈 |
관련 활동 | 칙 코리아 웨인 쇼터 |
웹사이트 | johnpatitucci.com |
학력 | |
학교 |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롱비치 캠퍼스 |
2. 생애
1959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베이스 기타 연주를 시작했다.[10][1] 그는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와 롱비치 주립 대학교에서 베이스를 공부한 후 198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전문 음악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1]
1985년 칙 코리아의 '일렉트릭 밴드'에 합류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고,[9][1] 1987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건 첫 앨범을 발표했다. 칙 코리아의 밴드 활동 외에도 다양한 뮤지션들과 협연하며 자신의 음악 세계를 넓혀갔다.
2000년부터는 웨인 쇼터 콰르텟의 멤버로 활동하는 등[11][1] 퓨전부터 스트레이트 어헤드 재즈까지 폭넓은 장르를 소화하며 최고의 베이시스트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연주 활동과 더불어 뉴욕 시립 대학교 교수,[1] 버클리 음악 대학 레지던트 아티스트[4] 등으로 활동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2. 1. 초기 생애
1959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이탈리아계 가문에서 태어났다.[1][10] 그는 10세에 일렉트릭 베이스를 연주하기 시작했고,[1] 12세에는 작곡을 시작했으며, 15세에는 어쿠스틱 베이스를,[1] 16세에는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했다.[1] 그는 라디오와 할아버지의 재즈 음반에서 R&B 곡의 베이스 파트를 들으며 음악에 눈을 떴다.[2] 특히 오스카 피터슨과 레이 브라운이 함께한 앨범, 웨스 몽고메리와 론 카터가 함께한 앨범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2] 리듬 감각을 키우는 데에는 파나마 출신 피아니스트 다닐로 페레즈와 함께한 시간이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했다.[3]1970년대 후반에는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와 롱비치 주립 대학교에서 어쿠스틱 베이스를 공부했다.[1]
2. 2. 음악 경력
1959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이탈리아계 가문에서 태어났다.[1][10] 그는 10세에 일렉트릭 베이스를 연주하기 시작했고, 12세에 연주와 작곡을 시작했으며, 15세에 어쿠스틱 베이스를, 16세에는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했다.[1] 라디오와 할아버지의 재즈 음반에서 R&B 곡의 베이스 파트를 들으며 음악적 영향을 받았고, 특히 오스카 피터슨과 레이 브라운의 앨범, 웨스 몽고메리와 론 카터의 앨범을 중요한 영감의 원천으로 꼽았다.[2] 리듬 감각 개발에는 파나마 출신 피아니스트 다닐로 페레즈와의 교류가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했다.[3]
1970년대 후반, 그는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와 롱비치 주립 대학교에서 어쿠스틱 베이스를 공부했다. 1980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스튜디오 뮤지션으로 활동하며 전문적인 경력을 시작했다. 이 시기 헨리 만치니, 데이브 그루신, 톰 스콧 등과 인연을 맺었으며, B.B. 킹이나 조지 벤슨 등의 백 밴드로도 활동했다.[1]
1985년 칙 코리아의 일렉트릭 밴드에 합류하며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9][1] 1987년에는 칙 코리아의 도움을 받아 리더로서의 데뷔 앨범 'John Patitucci'를 발표했다. 이 앨범에서 선보인 6현 베이스 고음역에서의 빠른 프레이즈 연주는 기타 솔로로 착각할 정도라는 평을 받았다. 1988년에는 드러머 데이브 웨클과 함께 맨해튼 재즈 퀸텟에 참여하기도 했다. 1989년 칙 코리아의 밴드가 어쿠스틱 밴드로 변화하면서, 그는 일렉트릭 베이스뿐만 아니라 어쿠스틱 베이스에서도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칙 코리아의 일렉트릭 밴드, 어쿠스틱 밴드, 콰르텟 등 세 그룹에서 활동했으며, 1991년 칙 코리아 곁을 떠났다.[1]
솔로 활동과 병행하여 다양한 협업을 이어갔다. 리더로서 조이 칼데라조, 피터 어스킨과 트리오를, 비니 콜라이우타, 스티브 타바글리오네, 존 비즐리와 콰르텟을 결성했다.[1] 또한 허비 행콕, 웨인 쇼터, 로이 헤인즈와 같은 거장들과도 함께 연주했다.[1] 2000년부터는 웨인 쇼터 콰르텟의 멤버로 다닐로 페레즈, 브라이언 블레이드와 함께 활동하고 있다.[11][1] 2001년에는 같은 리듬 섹션으로 허비 행콕의 "디렉션스 인 뮤직(Directions in Music)"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05년에는 그레이트 재즈 트리오에 합류하기도 했다. 그는 더블 베이스와 일렉트릭 베이스를 자유자재로 오가며 연주한다.[3]
연주 활동 외에도 교육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뉴욕 시의 베이시스트 학교인 베이스 콜렉티브(The Bass Collective)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으며, Thelonious Monk Institute of Jazz와 베티 카터 재즈 어헤드(Betty Carter Jazz Ahead)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있다. 2002년부터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재즈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며,[1] 2012년 6월에는 온라인 재즈 베이스 학교를 시작했다. 버클리 음악 대학의 레지던트 아티스트로도 임명되었다.[4]
2015년 어거스트 스카이 필름(August Sky Films)은 패티투치의 삶과 음악을 다룬 다큐멘터리 ''백 인 브루클린 (Back in Brooklyn)''을 공개했다. 패트릭 콘(Patrick Cone)이 감독한 이 영화는 그의 앨범 ''Brooklyn'' 녹음 시기를 중심으로 리허설, 스튜디오 세션, 라이브 공연 장면과 더불어 칙 코리아, 웨인 쇼터, 허비 행콕과의 인터뷰를 담고 있다.
패티투치는 퓨전부터 스트레이트 어헤드 재즈까지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소화하며, 마이클 브레커, 게리 버튼, 스티브 칸, 마이크 스턴, 존 스코필드, 알 디 메올라 등 동시대 및 중견 뮤지션들은 물론, 스탠 게츠, 행크 존스, 돈 프리드먼과 같은 원로 재즈 뮤지션들과도 협연했다. 뿐만 아니라 스팅, 나탈리 콜과 같은 팝 뮤지션, 밀턴 나시멘투, 이반 린스 등 브라질 음악가들과도 작업하며 명실상부한 당대 최고의 베이시스트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2. 3. 교육 활동
뉴욕 시의 베이스 연주자들을 위한 학교인 베이스 콜렉티브(the Bass Collective)의 예술 감독을 지냈다.[4] Thelonious Monk Institute of Jazz와 베티 카터 재즈 어헤드(Betty Carter Jazz Ahead)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있다.[4] 2002년부터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재즈 연구 교수로 재직했다.[1] 2012년 6월에는 온라인 재즈 베이스 학교를 시작했으며,[4] 버클리 음악 대학의 레지던트 아티스트(Artist in Residence)로도 임명되었다.[4]3. 수상 경력
수상 내역 | 주관 | 연도 |
---|---|---|
최우수 선수 | 전미 녹음 예술 과학 아카데미 | 1986 |
최고의 재즈 베이시스트 | 기타 플레이어 잡지 독자 투표 | 1992, 1994, 1995 |
최고의 재즈 베이시스트 | 베이스 플레이어 잡지 독자 투표 | 1993–1996 |
그래미상 후보 (최우수 재즈 연주 앨범(개인 또는 그룹)) | 웨인 쇼터 콰르텟 멤버 (비욘드 더 사운드 배리어) | 2005 |
평생 공로상 | 베이스 플레이어 잡지 | 2019 |
4. 작품 목록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이 섹션에는 별도 내용 불필요)
4. 1. 리더/공동 리더 앨범
- 『존 패티투치』 - ''John Patitucci'' (GRP 레코드, 1987)
- 『온 더 코너』 - ''On the Corner'' (GRP 레코드, 1989)
- 『스케치북』 - ''Sketchbook'' (GRP 레코드, 1990)
- ''Heart of the Bass'' (스트레치 레코드, 1992)
- 『어나더 월드』 - ''Another World'' (GRP 레코드, 1993)
- 『파인 믹스처』 - ''Mistura Fina'' (GRP 레코드, 1995)
- ''One More Angel'' (콩코드 레코드, 1997)
- ''Now'' (콩코드 레코드, 1998)
- ''Imprint'' (콩코드 레코드, 2000)
- 『커뮤니온』 - ''Communion'' (콩코드 레코드, 2001)
- ''Songs, Stories & Spirituals'' (콩코드 레코드, 2003)
- 『라인 바이 라인』 - ''Line by Line'' (콩코드 레코드, 2006)
- 『리멤버런스』 - ''Remembrance'' (콩코드 레코드, 2009)
- ''Viva Hermeto!'' (앙드레 마르케스, 브라이언 블레이드와 함께) (보란다, 2014)
- ''Brooklyn'' (Three Faces, 2015)
- 『소울 오브 더 베이스』 - ''Soul of the Bass'' (AGATE, 2019)
4. 2. 그룹 앨범
'''태머랙'''앨범 제목 | 레이블 | 발매 연도 |
---|---|---|
태머랙 | Parbar Music | 1981 |
'''허드슨 프로젝트''' (with 피터 어스킨, 존 아버크롬비, 밥 민처)
앨범 제목 | 레이블 | 발매 연도 | 비고 |
---|---|---|---|
허드슨 프로젝트 | Stretch | 2000 | 1998년 라이브 녹음 |
'''더 그레이트 재즈 트리오'''
앨범 제목 | 참여 뮤지션 | 레이블 | 발매 연도 |
---|---|---|---|
S Wonderful | 행크 존스, 잭 디조넷 | Eighty-eight's | 2004 |
Speak Low | 행크 존스, 잭 디조넷 | Eighty-Eight's | 2005 |
Stella by Starlight | 행크 존스, 오마르 하킴, 사다오 와타나베 (게스트) | Eighty-Eight's | 2006 |
7월 5일 - 라이브 앳 버드랜드 뉴욕 | 행크 존스, 오마르 하킴 | Eighty-Eight's | 2007 |
7월 6일 - 라이브 앳 버드랜드 뉴욕 | 행크 존스, 오마르 하킴 | Eighty-Eight's | 2007 |
'''기타 협업 앨범'''
앨범 제목 | 주요 협업 뮤지션 | 레이블 | 발매 연도 |
---|---|---|---|
All Strings Attached | 탈 팔로우, 존 아버크롬비, 래리 칼튼, 래리 코리엘, 존 스코필드 | Verve | 1987 |
Continental Talk | 랜디 브레커, 스티브 개드, 스타니슬라브 미트로비치, 라트코 자자 | In+Out | 2009 |
Children of the Light | 다닐로 페레스, 브라이언 블레이드 | 2015 | |
TRIO | 비니 콜라이우타, 빌 커닐리프 | 2021 |
4. 3. 참여 앨범
'''캐린 앨리슨과 함께'''- ''Ballads: Remembering John Coltrane'' (Concord Jazz, 2001) – 2000년 녹음
- ''Many a New Day: Karrin Allyson Sings Rodgers & Hammerstein'' (Motéma, 2015)
'''데이비드 베노이트와 함께'''
- ''Freedom at Midnight'' (GRP, 1987)
- ''Waiting for Spring'' (GRP, 1989)
- ''Letter to Evan'' (GRP, 1992)
'''체릴 벤틴과 함께'''
- ''Something Cool'' (Columbia, 1992)
- ''Talk of the Town'' (Paddle Wheel, 2002)
'''게리 버튼과 함께'''
- ''Departure'' (Concord Jazz, 1997)
- ''For Hamp, Red, Bags, and Cal'' (Concord Jazz, 2001)
'''칙 코리아와 함께'''
- ''The Chick Corea Elektric Band'' (GRP, 1986)
- ''Light Years'' (GRP, 1987)
- ''Eye of the Beholder'' (GRP, 1988)
- ''Chick Corea Akoustic Band'' (GRP, 1989)
- ''Inside Out'' (GRP, 1990)
- ''Alive'' (GRP, 1991) – 라이브
- ''Beneath the Mask'' (GRP, 1991)
- ''Time Warp'' (GRP, 1995)
- ''Live from Blue Note Tokyo'' (Stretch, 1996) – 1992년 라이브 녹음
- ''Rendezvous in New York'' (Stretch, 2003) – 라이브
- ''To the Stars'' (Stretch, 2004)
- ''The Musician'' (Concord Jazz, 2017)[3CD] – 라이브
'''알 디 메올라와 함께'''
- ''The Infinite Desire'' (Telarc, 1998)
- ''World Sinfonía III – The Grande Passion'' (Telarc, 2000)
- ''Consequence of Chaos'' (Telarc, 2006)
'''빅터 펠드먼과 함께'''
- ''To Chopin with Love'' (Palo Alto, 1983)
- ''Rio Nights'' (TBA, 1987) – 1977 & 87년 녹음
'''데이브 그루신과 함께'''
- ''The Gershwin Connection'' (GRP, 1991)
- ''GRP All-Star Big Band'' (GRP, 1992)
- ''Dave Grusin Presents GRP All-Star Big Band Live!'' (GRP, 1993) – 라이브
- ''Homage to Duke'' (GRP, 1993)
- ''All Blues'' (GRP, 1995) – 1994년 녹음
- ''West Side Story'' (N2K Encoded Music, 1997)
'''스티브 칸과 함께'''
- ''The Green Field'' (Tone Center, 2005)
- ''Borrowed Time'' (ESC, 2007)
'''척 롭과 함께'''
- ''The Moon, the Stars and the Setting Sun'' (Shanachie, 1998)
- ''Listen'' (Shanachie, 1999)
'''에릭 마리엔탈과 함께'''
- ''Voices of the Heart'' (GRP, 1988)
- ''Round Trip'' (GRP, 1989)
- ''Crossroads'' (GRP, 1990)
- ''Oasis'' (GRP, 1991)
- ''One Touch'' (GRP, 1993)
- ''Bridges'' with Chuck Loeb (Peak, 2015)
'''다닐로 페레스와 함께'''
- ''Central Avenue'' (Impulse!, 1998)
- ''Motherland'' (Verve, 2000)
- ''...Till Then'' (Verve, 2003)
'''리 리테너와 함께'''
- ''Stolen Moments'' (GRP, 1990)
- ''Wes Bound'' (GRP, 1993) – 1992년 녹음
- ''World of Brazil'' (GRP, 2005) – 컴필레이션
- ''Smoke 'N' Mirrors'' (Peak, 2006)
'''톰 스콧과 함께'''
- ''Keep This Love Alive'' (GRP, 1991)
- ''Born Again'' (GRP, 1992)
'''웨인 쇼터와 함께'''
- ''Phantom Navigator'' (Columbia, 1986)
- ''Footprints Live!'' (Verve, 2002) – 2001년 라이브 녹음
- ''Alegría'' (Verve, 2003)
- ''Beyond the Sound Barrier'' (Verve, 2005) – 2002–04년 녹음
- ''Without a Net'' (Blue Note, 2013)
- ''Emanon'' (Blue Note, 2018)
'''에드워드 사이먼과 함께'''
- ''The Process'' (Criss Cross, 2002)
- ''Unicity'' (CAM Jazz, 2006)
- ''Poesia'' (CAM Jazz, 2009) – 2008년 녹음
- ''Trio Live in New York at Jazz Standard'' (Sunnyside 2013) – 2010년 라이브 녹음
'''기타 참여'''
- 더 맨해튼 트랜스퍼, ''Vocalese'' (Atlantic, 1985) – 1 트랙
- 프랭크 갬베일, ''Present for the Future'' (Legato, 1987)
- 에밀 반 에그돔, ''This Is for You'' (CD Baby, 1988)
- 마틴 테일러, ''Sarabanda'' (Gaia, 1989) – 1987년 녹음
- 데이브 새뮤얼스, ''Ten Degrees North'' (MCA, 1989)
- 워렌 제본, ''Transverse City'' (Virgin, 1989)
- 에브리싱 벗 더 걸, ''The Language of Life'' (Atlantic, 1990) – 1989년 녹음
- 젤리피쉬, ''Bellybutton'' (Charisma, 1990) – 3 트랙
- 마크 이샴, ''Mark Isham'' (Virgin, 1990)
- 에디 다니엘스, ''Nepenthe'' (GRP, 1990)
- 볼프강 무트슈피엘, ''The Promise'' (Amadeo, 1990)
- 토니 테닐, ''Never Let Me Go'' (Bay Cities, 1991)
- 앤디 라버른, ''Pleasure Seekers'' (Triloka, 1991)
- 나탈리 콜, ''Unforgettable... with Love'' (Elektra, 1991) – 1989–91년 녹음
- 곤잘로 루발카바, ''Images'' (Blue Note, 1991) – 라이브
- 로저 워터스, ''Amused to Death'' (Columbia, 1992)
- Pat Coil, ''Just Ahead'' (Sheffield Lab, 1992)
- 아키 아키, ''Playroom'' (Moo, 1992)
- 존 비즐리, ''A Change of Heart'' (Windham Hill Jazz, 1993)
- 찰리 비샤라트, ''Along the Amazon'' (GTS, 1993)
- 제프 빌, ''Three Graces'' (Triloka, 1993)
- 빈니 콜라이우타, ''Vinnie Colaiuta'' (Stretch, 1994)
- 세르지오 살바토레, ''Always a Beginning'' (Concord Jazz, 1996)
- 바비 콜드웰, ''Blue Condition'' (Sin-Drome, 1996)
- 아르투로 산도발, ''Swingin' '' (GRP, 1996)
- 몬티 알렉산더, ''Echoes of Jilly's'' (Concord Jazz, 1997)
- 마이크 스턴, ''Give and Take'' (Atlantic, 1997) – 1996년 녹음
- 린 아리알레 트리오, ''Long Road Home'' (TCB, 1997)
- 크리스찬 제이콥, ''Maynard Ferguson Presents Christian Jacob'' (Concord Jazz, 1997) – 1996년 녹음
- Les Czimber, ''Someday My Prince Will Come'' (Miracle, 1997) – 1996년 녹음
- 피터 어스킨, ''Behind Closed Doors Vol. 1'' (Fuzzy Music, 1998) – 1991–96년 녹음
- 헤라르도 누녜스, ''Calima'' (Alula, 1998)
- 헬리오 알베스, ''Trio'' (Reservoir, 1998) – 1997년 녹음
- 랜디 왈드만, ''Wigged Out'' (Whirlybird, 1998)
- 조앤 브래킨, ''Pink Elephant Magic'' (Arkadia Jazz, 1999) – 1998년 녹음
- 닉 브리뇰라, ''All Business'' (Reservoir, 1999)
- 마이클 데이비스, ''Bonetown'' (Whirlybird, 1999)
- Rich Franks, ''For Our Friend'' (Port-Of-Call, 1999)
- 로이 헤인스, ''The Roy Haynes Trio'' (Verve, 2000) – 1999년 녹음
- Various Artists, ''Celebrating the Music of Weather Report'' (Telarc, 2000)
- 제이 베켄스타인, ''Eye Contact'' (Windham Hill Jazz, 2000)
- 조이 칼데라조, ''Joey Calderazzo'' (Columbia, 2000)
- 데이브 에셜먼, ''Mystique'' (Jazz Garden, 2000) – 1999년 녹음
- 제이 아졸리나, ''Past Tense'' (Double-Time, 2000)
- 랜디 왈드만, ''UnReel'' (Concord Jazz, 2001)
- 월트 바이즈코프, ''Man of Many Colors'' (Criss Cross, 2001) – 2000년 녹음
- 파올로 디 사바티노, ''Threeo'' (Atelier Sawano, 2003) – 1999년 녹음
- 토미 스미스, ''Evolution'' (Spartacus, 2003)
- 팀 갈랜드, ''Change of Season'' (Sirocco Music, 2004)
- 마누엘 발레라, ''Forma Nueva'' (Mavo, 2004)
- 재니스 시겔, ''Sketches of Broadway'' (Telarc, 2004)
- 돈 프리드먼, ''Timeless'' (Eighty-Eight's, 2004) – 2003년 녹음
- 허비 행콕, ''Possibilities'' (Hear Music, 2005)
- 팻 마티노, ''Remember: A Tribute to Wes Montgomery'' (Blue Note, 2006) – 2005년 녹음
- 마이크 홀로버, ''Wish List'' (Sons of Sound Recorded Music, 2006)
- 페렌츠 네메스, ''Night Songs'' (Dreamers Collective, 2007) – 2005년 녹음
- 마이클 브레커, ''Pilgrimage'' (EmArcy, 2007) – 2006년 녹음
- School of the Arts featuring T 라비츠, ''School of the Arts'' (Magnatude, 2007)
- 팀 리스, ''Stones World'' (Sunnyside, 2008)[2CD]
- 토니 데마르코, ''The Sligo Indians'' (Smithsonian Folkways, 2008)
- 잭 드조넷, ''Music We Are'' (Golden Beams, 2009) – 2008년 녹음
- 애덤 로저스, ''Sight'' (Criss Cross, 2009) – 2008년 녹음
- 알레산드로 갈라티, ''Jason Salad!'' (Via Veneto Jazz, 1997)
- 엔리코 피에라눈치, ''Live at Birdland'' (C.A.M. Jazz, 2010) – 2008년 라이브 녹음
- 마고스 에레라, ''México Azul'' (Sony, 2010)
- 안드레아스 외버그, ''Six String Evolution'' (Resonance, 2010) – 1 트랙
- 커트 엘링, ''The Gate'' (Concord Jazz, 2011)
- 벤 먼더, ''Hydra'' (Sunnyside, 2013)
- 안토니오 산체스, ''Three Times Three'' (C.A.M. Jazz, 2014)[2CD] – 2013년 녹음
- 호세 제임스, ''Yesterday I Had the Blues'' (Blue Note, 2015)
- 키스 & 크리스틴 게티, ''Facing A Task Unfinished'' (Getty Music, 2016) – 2 트랙
- 노라 존스, ''Day Breaks'' (Blue Note, 2016) – 2015년 녹음
- 존 핀버리(작곡가), ''Sorte!'' (John Finbury, 2019)
- 존 핀버리(작곡가), ''Quatro'' (John Finbury, 2020)
- 댄 코스타(작곡가), ''Beams'' (Dan Costa, 2023)
- 리처드 바라타, ''Off the Charts'' (Savant, 2023)[8]
- 토미 워드(가수), "From This Moment On" (Le Coq, 2021)
참조
[1]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Grove's Dictionaries Inc.
2002
[2]
간행물
Home Turf
Maher Publications
2015-07
[3]
웹사이트
Warwick Bass Camp 2013: The Best of the Bass
http://www.premiergu[...]
2013-09-30
[4]
웹사이트
John Patitucci {{!}} Berklee College of Music
https://www.berklee.[...]
[5]
웹사이트
Back in Brooklyn!
http://www.augustsky[...]
[6]
웹사이트
Bass Player
https://www.bassplay[...]
2023-12-11
[7]
Discography
John Patitucci - Discography
http://www.johnpatit[...]
[8]
잡지
Richard Baratta: Off the Charts
2023-12
[9]
뉴스
Chick Corea
https://www.arts.gov[...]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10]
문서
강대원, changgo.com
[11]
플레이DB
존 패티투치 - 플레이DB
http://www.playdb.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