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H. 처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H. 처치는 미국의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여했다. 1918년 캉티뉴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십자훈장과 은성훈장을 수여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제45보병사단 참모장과 제157보병연대 지휘관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에는 한국에 파견되어 미군 파병을 건의하고, 제24보병사단을 지휘하며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 참여하여 은성무공훈장과 육군 공로 훈장을 받았다. 1951년 1월 제24보병사단 지휘를 마치고, 육군 보병 학교 사령관을 거쳐 1953년 사망하여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펜실베이니아주 출신 - 보비 라이델
    보비 라이델은 1960년대 초반 십대 아이돌로 인기를 얻은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키싱 타임", "볼라레" 등 히트곡을 발표하고 2천 5백만 장 이상의 레코드 판매고를 올렸으며, 영화 출연 및 "골든 보이즈" 투어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펜실베이니아주 출신 - 제인 제이콥스
    제인 제이콥스는 도시 계획과 경제에 대한 혁신적인 관점을 제시한 캐나다계 미국인 저술가이자 활동가로, 『미국의 대도시의 죽음과 삶』에서 혼합 용도 개발과 하향식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동차 중심 도시 개발을 비판했으며, '거리의 눈'과 '보도의 발레' 개념을 통해 도시 안전과 활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여 도시 계획 및 경제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돈 오버도퍼
    돈 오버도퍼는 워싱턴 포스트에서 25년간 활동한 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한국전쟁 참전 경험과 냉전 종식 및 한국 현대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저널리즘과 국제 관계 분야에 기여했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제임스 M. 케인
    제임스 M. 케인은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저널리스트로, 《우편배달부는 두 번 벨을 울린다》, 《이중 배상》 등의 필름 누아르 스타일 소설로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 작가 연맹 설립 운동에도 참여했다.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존 H. 처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월턴 워커, 로튼 콜린스 장군과 함께한 처치(가운데 가죽 재킷을 입은 남자).
월턴 워커, 로튼 콜린스 장군과 함께한 처치(가운데 가죽 재킷을 입은 남자).
출생일1892년 6월 28일
출생지글렌 아이언, 펜실베이니아 주, 미국
사망일1953년 11월 3일
사망지워싱턴 D.C., 미국
안장지알링턴 국립묘지, 버지니아 주, 미국
별칭(지정된 별칭 없음)
군 복무 정보
복무 기간1917년 – 1952년
최종 계급[[파일:US-O8 insignia.svg|25px]] 소장
군번0-8197
병과[[파일:USA - Army Infantry Insignia.png|25px]] 보병
지휘157 보병 연대
제5보병사단
제24보병사단
미국 육군보병학교
주요 참전 전투/전쟁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훈장수훈 십자장
육군 공로 훈장
은성 훈장

2. 어린 시절 및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존 휴스턴 처치는 1892년 6월 28일 펜실베이니아주 글렌아이언에서 태어났다.[6] 1915년부터 1917년까지 뉴욕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미국이 참전하자, 처치는 미국 육군에 자원 입대하여 소위로 임관되었다. 그는 미국 원정군 제1사단 제28보병연대 소속으로 서부 전선에서 복무했다.[7]

처치는 캉티뉴 전투에서 보여준 용감한 행동으로 수훈 십자장과 은성훈장을 받았다.[2] 그는 전투 중 포탄 폭발로 의식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식을 회복하자마자 다시 지휘에 복귀하는 용기를 보여주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이 끝난 후, 처치는 군 복무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1920년에 프랜시스 마셜 준장의 부관으로 복무했다.[1] 메릴랜드 주방위군 교관으로 근무하며 대위로 진급했다.[1] 1933년부터 1936년까지 필리핀에서 복무했다.[1] 1936년 소령 진급 후 미국으로 돌아와 지휘참모학교에서 2년간 교육을 받았다. 이후 애리조나 주방위군 교관으로 복무했다.[1] 1940년 10월, 제45보병사단 작전담당 보좌관으로 임명되었다.[1]

3.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12월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처치는 제45보병사단의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1] 1943년 말까지 그는 이 사단에서 복무하며 부사단장으로 승진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시칠리아 상륙 작전, 이탈리아 전역의 여러 전투, 그리고 드래곤 작전(연합군의 프랑스 남부 상륙 작전)에 참여했다. 1943년 말부터 1944년 중반까지 처치는 제157보병연대를 지휘했다.[1]

1944년 9월, 처치는 준장으로 진급했고,[1] 제84보병사단의 부사단장으로 배속되었다. 전쟁이 끝날 무렵, 그의 사단이 네덜란드에서 엘베 강으로 진격하는 동안 처치는 다시 부상을 입었다.[1] 1945년 5월 사단이 소련군 부대와 합류하자, 처치는 애국전쟁 훈장 1급을 수여받았다.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이 끝난 후 1년 뒤, 처치는 앨라배마주 포트 맥클렐런의 보병 훈련 센터 지휘관이 되었다. 그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포트 잭슨에서도 같은 보직을 맡았고, 이후에는 제5보병사단을 지휘하였다. 1948년부터 1949년까지는 버지니아주 포트 먼로에서 지상군 사령부 차장을 역임하였다. 1950년에는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도쿄 연합국 최고사령부에서 과장으로 근무했다.[1]

5. 한국 전쟁

1950년 6월 25일, 북한군대한민국을 침공하면서 한국 전쟁이 시작되었다. 더글라스 맥아더는 처치를 참모 장교 조사단과 함께 한국으로 파견, 존 무초 대사 및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KMAG)과 협력하여 상황을 평가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도록 했다. 수원에 전방지휘소 및 연락단(ADCOM)이 설치되었고,[8] 처치는 ADCOM 사령관으로서 채병덕 육군참모총장과 협력하여 한국군 방어 태세 개선에 힘썼다. 서울 함락 후, 처치는 미군 전투 부대 2개 배치를 건의했으며, 맥아더의 한국 시찰 및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승인으로 미군 파병이 결정되었다.[8]

5. 1. 미 제24보병사단 지휘

1950년 6월 25일, 북한군대한민국을 침공하자 더글라스 맥아더는 처치를 참모 장교 조사단과 함께 한국으로 보내 존 무초 대사와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Korean Military Advisory Group, KMAG)과 협력하여 남한에 어떤 지원을 제공 할 수 있는지 평가하도록 했다. 수원에 전방지휘소 및 연락단(GHQ Advance Command and Liaison Group , ADCOM)이 설립되었다.[8] 6월 27일 한국에 도착한 처치는 ADCOM 사령관으로서 한국의 방어 태세를 개선하기 위해 채병덕 육군참모총장과 함께 일했다.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울은 6월 28일 북한군에 의해 함락되었다. 처치는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미군 전투부대의 배치가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이 때문에 맥아더는 다음 날 한국을 직접 시찰했고 처치로부터의 추가 보고를 받아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재가를 얻어 한국에 미군을 파견했다.[8]

이에 따라 일본에 주둔했던 미8군 소속 제24보병사단은 윌리엄 F. 딘 소장의 지휘 하에 일본으로부터 최초로 파견되었다. 찰스 브래드포드 스미스 중령이 지휘하는 부대가 북한군들을 저지하기 위해 부산에서 북쪽으로 먼저 보내졌다. 대전에서 스미스 중령과 만난 처치는 오산을 방어하도록 지시했다.[8] 스미스 특임대는 탱크 지원이 없었고 통신에 문제가 있어, 북한과의 첫 전투에서 빠르게 무너졌다. 딘 소장은 대전에서 군대를 모아 강력한 방어 체제를 구축하고 완강하게 버텼지만 미군은 결국 후퇴했고 딘은 그의 군대로부터 분리되어 포로로 붙잡혔다. 7월 22일, 처치는 ADCOM의 해산에 따른 명령 없이 제24사단의 지휘를 이어받았다.[8]

5. 2. 낙동강 방어선 전투

제24사단은 병력이 1만 명이 채 되지 않아 대구로 철수하여 재정비했다.[9] 이후 월턴 워커 중장(미 제8군 사령관)은 낙동강 방어선 (부산 교두보) 방어를 위해 제24사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10] 1950년 8월 6일,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북한군 제4사단이 처치 장군의 사단에 큰 피해를 입히며 제34보병연대를 돌파했다. 처치 장군은 처음에는 이 공격이 단순한 정찰이라고 판단했고, 이후 예비 병력이 거의 없었던 워커에게 증원을 요청했다. 소장으로 진급한 처치 장군은 부대를 재편성하여 해병대 여단의 지원을 받아 8월 18일까지 북한군 제4사단을 대부분 격파했다.

5. 3. 낙동강 도하 작전

1950년 9월, 처치낙동강 도하 작전에서 보여준 용감한 행동으로 두 번째 은성무공훈장을 받았다.[8] 그는 낙동강 도하 현장에 직접 가서 병사들을 격려하고 재편성하여 작전 속도를 높였다. 그의 직접적인 지시는 도하 작전 성공에 크게 기여했으며, 병사들에게 큰 영감을 주어 더 큰 노력을 하게 만들었다.

5. 4. 제24보병사단 지휘 종료

골절 및 관절염에도[8] 처치는 1951년 1월 25일까지 제24보병사단을 계속 지휘했다. 1950년 12월 월턴 워커 장군 사망 후 미8군 사령관으로 새로 부임한 매튜 리지웨이 중장은 전장에 자주 있지 못하는 그의 건강이 부대의 상태에 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처치를 블랙시어 브라이언 준장으로 대체했다.[8] 처치는 한국에서 제24사단을 지휘한 공로로 미 육군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다.[8]

6. 생애 후반

처치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 있는 미 육군 보병 학교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52년 6월 군에서 은퇴할 때까지 그 직무를 수행했다. 1953년 11월 3일 워싱턴 D.C.에서 사망했으며, 부인과 함께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9][10]

알링턴 국립묘지에 있는 처치 장군의 묘

참조

[1] 웹사이트 US Army Officers 1939–1945 http://www.unithisto[...] 2011-08-15
[2] 웹사이트 John H. Church: Distinguished Service Cross https://valor.milita[...] Sightline Media Group 2018-06-03
[3] 웹사이트 John H. Church: Army Distinguished Service Medal https://valor.milita[...] Sightline Media Group 2018-06-03
[4] 웹사이트 New Command Team in Korea https://web.archive.[...] Time 2011-08-15
[5] 웹사이트 Burial Detail: Church, John H. (Section 2, Grave 4956-A) https://ancexplorer.[...] Arlington National Cemetery
[6] 웹인용 US Army Officers 1939–1945 http://www.unithisto[...] 2011-08-15
[7] 웹인용 John H. Church: Distinguished Service Cross https://valor.milita[...] Sightline Media Group 2018-06-03
[8] 웹인용 John H. Church: Army Distinguished Service Medal https://valor.milita[...] Sightline Media Group 2018-06-03
[9] 웹인용 New Command Team in Korea https://web.archive.[...] Time 2011-08-15
[10] 웹인용 John Huston Church Major General, United States Army http://www.arlington[...] 2018-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