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천역 (한국철도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천역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동해선 광역전철의 전철역이다. 1934년 운전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소화물 및 화물 취급을 중단했다. 2021년 무궁화호 열차 취급이 중지되고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되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좌천동에 위치한 부산 지하철 1호선 좌천역과 한글, 한자, 로마자 표기 및 발음이 같아 혼동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장군의 전철역 - 기장역
기장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동해선 철도역으로, 1934년 개통 이후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역사를 재건하고 2016년 신역사로 이전, 2023년 ITX-마음 운행을 시작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일반 열차와 광역전철이 운행된다. - 기장군의 전철역 - 일광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에 위치한 일광역은 1934년 삼성역으로 개업하여 1949년 역명이 변경되었고, 동해선 광역철도 개통으로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일광해수욕장 인근에 위치한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역 - 부산역
부산역은 1908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철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건축과 2004년 KTX 개통에 따른 리모델링을 거쳐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현재는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역 - 사상역 (한국철도공사)
사상역은 1921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경부선과 가야선 열차가 정차하며,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이 가능한 역이다. -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 신해운대역
신해운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4년 해운대역으로 시작하여 201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2016년 동해선 편입과 함께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
부전역은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철도역으로, 1943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동해선, 경전선, 경부선 등의 열차 시·종착역이며, 2016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도 기능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좌천역 (한국철도공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 좌천역 (원자력의학원) |
한자 표기 | 佐川驛 |
로마자 표기 | Jwacheonyeok |
역 번호 | K125 |
주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해맞이로 2 |
노선 | 동해선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 1934년 12월 16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정보 | |
노선 | 동해선 광역전철 |
영업 거리 | 부산진 기점 37.7 km |
이전 역 | K124 일광 |
이전 역 간 거리 | 5.1 km |
다음 역 | K126 월내 |
다음 역 간 거리 | 3.5 km |
기타 정보 |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부전관리역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2. 연혁
- 1934년 12월 16일 : 운전간이역(6급)으로 영업 개시[3]
- 1993년 4월 10일 : 소화물 취급 중지[3]
- 2013년 11월 7일 : 부산진 기점 38.6km로 변경[4]
- 2015년 5월 29일 : 화물 취급 중지[5]
- 2016년 4월 29일 : 부산진 기점 37.9km로 변경[6]
- 2016년 12월 30일 : 동해선에 편입.[1]
- 2017년 12월 18일 : 화물 취급 중지[7]
- 2019년 7월 15일: 가설 승강장으로 열차 운행 변경[8]
- 2020년 8월 28일 : 신 역사 사용 개시[9]
- 2021년 8월 26일 : 철도거리표 개정으로 부산진 기점 37.7km 로 변경[10]
- 2021년 12월 28일 : 무궁화호(일반열차) 취급 중지 및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 2022년 4월 1일 : 부기역명 '원자력의학원' 부기
- 2024년 9월 1일 : 부기역명 '''원자력병원'''으로 변경
3. 역 구조
좌천역은 복선전철화 공사 이전에는 일반적인 섬식 승강장 구조에 화물 하역선 1개와 측선 1개가 추가된 형태였다. 그러나 복선전철화 공사로 인해 승강장이 이설되면서 상대식 승강장으로 변경되었고, 고상홈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1]
3. 1. 승강장
좌천역은 원래 섬식 승강장 구조에 화물 하역선 1개와 측선 1개가 있었으나, 복선전철화 공사로 승강장이 이설되면서 상대식 승강장이 되었다. 고상홈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건설되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3. 2. 과거 역 구조
일반적인 섬식 승강장 구조에 화물 하역선 1개와 측선 1개가 추가로 있었으나, 복선전철화 공사로 승강장이 이설되어 상대식 승강장이 되었다.4. 역세권
5. 승차량 변동
역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동해선 | 승차 | 775 | 973 | 1,171 | [11] |
하차 | 712 | 907 | 1,094 |
6. 명칭 문제
동해선 광역전철 좌천역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좌천역(佐川驛)과 한자, 한글, 로마자 표기와 발음이 모두 같다. 두 역 모두 부산 도시철도에 속하는 역이기 때문에 양 역을 이동할 때 교대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7. 인접한 역
일광
월내